한국콜마는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화장품 인체적용시험 분야의 국제공인시험성적서 발급 자격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해당 자격에 따라 한국콜마는 △미백과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 인체적용시험 △미생물 분야에 대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공인성적서를 자체 발급할 수 있게 됐다. 한국콜마는 지난 2020년 품질관리 분야에서도 업계 최초로 공인시험기관 인정을 받은 바 있다. KOLAS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산하의 한국인정기구다. KOLAS는 ISO17025 국제표준 등에 의거해 품질경영시스템, 기술력을 종합 평가하여 국제수준의 시험 능력이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공인시험기관 인정제도를 운영한다. 공인시험기관 인정은 1년~2년 주기의 사후관리 현장 평가와 4년 주기의 갱신 평가가 필요해 자격 유지가 까다롭다. 국내 화장품 기업 중 한국콜마가 유일하게 화장품 인체적용시험분야와 품질관리 분야에 모두 인정기관 자격을 갖고 있다. 앞으로 한국콜마에서 발행한 성적서는 국제시험기관인정협력체(ILAC)에 가입한 104개국 105개 인정기구와 아시아태평양 시험기관 인정협력체(APAC)에 가입한 28개국 46개 인정기구에서 활용 가능하다. 아울러 해외 기관에 시험을
건강기능식품 ODM기업 콜마비앤에이치가 업계 최초로 메타버스(Metaverse) 플랫폼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젊은 조직 문화 확산에 나선다. Z세대들의 놀이터라고 알려진 메타버스를 통해 세대간 공감대를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메카버스(Metaverse)란 가상을 뜻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과 가상세계를 혼합한 공간을 말한다. 콜마비앤에이치는 지난 21일 메타버스 화상회의 플랫폼인 ‘게더타운’에 가상 연수원 ‘KBH Town’을 개설하고 신입사원을 포함한 직원대상 직무역량교육을 진행했다. 이날 교육에는 콜마비앤에이치 윤여원 공동대표를 비롯한 50여 명의 직원들이 자유롭게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콜마비앤에이치는 코로나19로 화상회의, 재택근무 등 비대면 업무환경이 일상화되면서 Z세대에게 친숙한 디지털 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했다. 서울·세종·음성 사업장 직원들이 현실에 기반한 가상 ‘조별학습방’, ‘OX퀴즈존’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화상소통, 미니게임과 같은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이번 연수에 참여한 신입 직원은 “멀리 떨어진 공간에 있으면서도 함께 모여있는 것 같은 느낌으로 연수를 받을 수 있었
한국콜마는 14일 보도자료를 내고 글로벌 패키징 전문기업 ‘연우’ 인수를 공식화했다. 인수가는 2864억원이다. 한국콜마는 “연우 인수를 통해 화장품 사업의 밸류체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확실한 성장 모멘텀을 확보해 나간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인수에는 CJ헬스케어(현 HK이노엔)를 비롯해 미국 화장품 제조기업인 PTP, 캐나다 CSR 등의 인수를 이끌었던 윤상현 한국콜마 부회장이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에서 연우 인수를 결정했다는 후문이다. 한국콜마는 국내외 화장품업계의 최대 화두인 친환경 용기 화장품 시장의 주도권을 확실히 선점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2020년 친환경 종이튜브를 전세계 최초로 상용화시켰던만큼 화장품 용기 제조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연우와 함께 시너지를 극대화시켜 나간다는 구상이다. 연우도 3R(Recycle, Refill, Reduce)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용기 개발에나서, 지난 2월에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추적·관리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국제 친환경 인증 ‘ISCC PLUS(International Sustainability & Carbon C
글로벌 화장품 ODM 1위 한국콜마가 용기 제조 1위 연우를 인수했다. 공시에 따르면 연우의 기중현 대표와 배우자 김여옥 씨의 지분을 주당 4만2천원씩 681만8900주를 한국콜마가 인수하는 계약을 13일 체결했다. 한국콜마는 연우의 지분 55%를 가진 최대 주주로 올라 연우를 자회사로 편입하게 된다. 3월 31일 주총에 보고된 연우의 ‘21년 매출액은 2871억원이며 영업이익 299억원, 당기순이익 264억원 등이다. 연우는 1994년 설립되었으며 펌프, 튜브 용기의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및 해외에 화장품용기를 제조, 공급하며 국내 1위에 올라섰다. ’21년 매출액 중 펌프용기가 2075억원(72.3%), 튜브형 용기 376억원(13.1%), 견본용 용기 376억원(13.1%) 등의 구성을 보였다. 연우는 국내 최초로 화장품 디스펜스 펌프를 개발하였으며 내용물의 적정한 토출과 공기 차단 기능이 우수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관련 지적재산권 840건을 보유 중이다. 주요 거래처는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등이다. 중국 상해에 판매법인과 후저우에 생산법인을 두고 있으며 연우 차이나는 코스맥스, 한국콜마를 비롯한 중국 현지 고객사에 제품을 공급한다. 한국콜마그룹
중국에서 코로나19로 홈 뷰티가 활성화되면서 셀프 네일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2030 여성들이 매니큐어 소비의 85.5%를 차지하면서 주 소비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 11월~2022년 1월 사이 중국 화장품 매체 기사량 1만4천여 건의 빅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네일 아트의 발생 빈도가 3,624로 전년에 비해 55%의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발맞춰 네일 스티커 제조사인 ㈜비포텍(대표 김진석, 구 뷰티인더스트리)은 가평 신공장을 준공하고 OEM·ODM 생산 채비를 갖췄다고 밝혔다. 비포텍은 액상 매니큐어 성분인 니트로셀룰로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신개념 네일 스티커 제조업체다. 비포텍 '리얼 매니큐어 네일 스티커'의 특징은 매니큐어를 바른 듯 가벼운 밀착감, 공기 순환성, 얇은 두께감이다. 기존 합성수지 젤 네일 스티커의 단점으로 지적돼 온 손톱 손상이 없고 유통기한도 2년 이상(미개봉 시)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말 가평 신공장으로 생산라인을 이전하고 추가 생산시설 구축과 안정화에 힘써 기존 월 60만 개 생산량을 월 100만개 수준까지 끌어올렸다고 비포텍은 설명했다. 향후 추가 증설을 위한 생산
한국콜마홀딩스가 펩타이드 소재를 활용한 더마화장품 개발에 나선다. 의약품 성분과 화장품 기술을 융합한 제품군 확대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국콜마홀딩스는 노바셀테크놀로지와 ‘스킨케어용 펩타이드 원료물질 개발 및 마케팅’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한국콜마홀딩스 문병석 기술연구원장, 노바셀 이태훈 대표 등이 참석했다. 노바셀이 스킨케어용 펩타이드 후보물질을 공급하고, 한국콜마홀딩스는 이 물질을 활용한 더마화장품 개발 및 마케팅을 지원한다. 노바셀이 발굴한 염증해소 펩타이드 NCP112K를 활용해 피부장벽 기능 회복과 가려움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을 개발할 예정이다. NCP112K는 화장품 임상시험 서비스 기관인 ‘글로벌의학연구센터’에서 가려움증 개선 및 보습 기능을 검증받았다. 펩타이드는 통상 50개 이하의 아미노산이 연결된 물질로 단백질보다 더 작다. 종류에 따라 체내에서 염증 방지, 세포 활성화, 세포 생성 촉진 등의 역할을 한다. 노바셀은 기능성 펩타이드 소재와 신약을 개발하는 전문 기업이다. 염증해소 유도 효능의 펩티로이드(PEPTIROID) 후보물질 NCP112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외용치료제는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를 통
대학과 제조기업 간 밸류체인 관련 산학협력 모범사례가 나왔다. 성신여대 뷰티생활산업국제대학 뷰티산업학과와 ㈜코스메카코리아는 3월 28일 산학 협약식을 맺고 유기적 협력체제 구축 및 상호 협력을 다짐하는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코스메카코리아 지재성 사장·경영지원사업부 나수민 상무·인사팀 선란옥 팀장·이준하 선임 등이, 성신여대에서는 뷰티융합대학원 김주덕 원장·학과장 한지수 교수·황선희 교수·이경 교수 등이 참석, 공동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4차 산업혁명의 고도화에 따라 화장품산업도 신기술과 정보 교환, 인재양성이 당면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화장품산업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변화의 바람이 일며, 산업 내 혁신기술 도출과 이를 적용하는 전략이 필수가 됐다. 혁신기술 보유 기업은 기존 제품 포트폴리오에 신기술 적용 및 관련 인재를 적극적으로 채용해서 기업 역량강화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공동 인식 하에 ㈜코스메카코리아는 뷰티산업학과 우수 인재 2명에게 각각 매학기 장학금 200만원 지원 및 인턴십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로 했다. 뷰티산업학과는 신기술 정보 및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해 상호 지원제도·홍보 등 제반 여건 협조도 다짐했다. 뷰
화장품 제조업체의 2분기 경기전망지수(BSI)는 ‘맑음’으로 나타났다. 28일 대한상의의 ‘2022년 2분기 경기전망지수’에 따르면 화장품은 22년 2분기(123) 호조로 예측되며 1분기(103)에 이어 기존의 호조세가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화장품 BSI는 ‘21년 1분기(66) 침체였다가 2분기(107)→3분기(103)→4분기(103)로 기준치 100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다가 ’22년 2분기는 큰 폭 상승하며 전체 업종 가운데 가장 높은 전망치를 보였다. 하지만 1분기까지 한·중 화장품 제조업계의 사정은 녹록지 않다는 게 발견된다. 일단 내수 부진은 국내 브랜드사의 실적 저하와 함께 ODM업계에도 부담이다. 통계청의 1월 화장품의 온라인 판매액은 전년 대비 20.5% 감소하며 ‘21년 7월 이후 7개월째 마이너스다. 향후 방역 완화 조치의 전면 시행까지 화장품의 절대 소비량 감소 영향으로 화장품업체의 실적 정체 가능성이 높다. 수출 비중이 가장 큰 중국시장도 소비자·시장·제품 트렌드의 변화 외에 ’화장품감독관리조례‘의 시행과 더불어 제조업체에게 상당한 변신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화장품의 고전이 예견된다”는 점은 한·중 양쪽에서 공통으로 흘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