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섹션

전체기사 보기

피부 데이터로 수출시장 개척... ‘국가별 피부특성 정보 활용·성과 세미나’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오는 5월 13일 세미나 개최... 비즈니스 활용 사례 공유 15개국 20개 지역의 1만3천여명 피부특성 정보+이용행태 분양

수출다변화의 차별화 요소로 ‘글로벌 피부특성 데이터’가 꼽힌다. 국내에선 유일하게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이 ‘국가별 피부특성은행’을 운영 중이다. 연구원은 오는 5월 13일(화) 오후 1시~4시30분 여의도 FKI타워 에메랄드홀에서 ‘피부특성 정보 활용·성과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연구원이 구축한 글로벌 피부특성 데이터의 연구 성과와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소개할 예정이다. 특히 피부특성 정보 데이터가 실제 산업 현장에서 활용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국내 기업에게 기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세미나에는 ▲ 아시아 여성의 피부 미생물과 피부특성, 생활습관의 상호작용 비교연구_ 중앙대학교 김혜진 박사 ▲ 인종별 피부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피부과학적 분석 및 활용 제언_ 더마프로 백지훈 소장 ▲ 다양한 산업군에서 피부특성 정보를 활용한 사업 사례로 탈모 Ai 진단 모델 및 사업 개발 사례_ 디레몬 명기준 대표 ▲ 손톱 데이터를 활용한 뷰티 헬스케어 AI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사례_ 링커버스의 박영준 대표가 등이 발표한다. 마지막으로 LG생활건강의 구기남 선임연구원이 글로벌 인종 피부 노화 특성의 다양성 연구와 활용에 대해 발표한다.

생물자원을 新 화장품 소재로... 특허 이전 받으려면?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등 보유 335건 특허기술 소개로 화장품 산업의 생물소재 활용 촉진 도모

국내 화장품산업 생물소재 335건의 특허기술이 한자리에 모였다. 환경부는 산하 생물자원 분야 4개 연구기관이 보유한 생물소재 활용 기술을 ‘2025 코스메틱 인사이드 코리아(CI KOREA)'(4. 22~25)에서 홍보한다고 밝혔다. 4개 기관(국립생물자원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이 보유한 특허기술에 대한 기술 이전 및 기술지원 상담을 진행한다. 이들 기관이 보유한 특허기술 중 총 149건이 기업에 이전됐으며 이중 35%인 52건이 화장품 관련 기업에 이전됐다고 한다. 4월 24일에는 해당 기관의 화장품 원료 발명자가 주요 특허기술을 소개하는 기술설명회도 열린다. 대표적으로 이전된 화장품 관련 기술에는 △ 찰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국립생물자원관, 2024년 4월 2일), △ 하늘지기 추출물 이용한 피부 보습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조성물(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2024년 10월 28일) 등이 있다. 강태훈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이용기술개발실장은 “이번 행사는 환경부 소속·산하 생물자원 분야 연구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생물소재를 화장품 기업과 함께 적극 활용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라며, “각 기관이 보




포토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