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화장품산업은 로컬 브랜드의 약진에 힘입어 어느 때보다 자신감이 엿보인다. 이는 2019년 이후 4년 만에 열린 중국화장품협회(CAFFCI, 中国香料香精 化妆品 工业协会)와 리이치24시차이나(REACH24H CHINA) 공동 주최로 지난(济南)시 켐핀스키 호텔에서 열린 대규모 총회 분위기에서도 풍겨난다. 그 배경은 2022년을 기점으로 “수출 증가, 수입 감소로 화장품 무역적자 폭 감소”로 고무된 분위기도 한 몫 했다. 실제 올해 들어 일본에선 퍼펙트다이어리, 화시쯔 등 중국 메이크업 브랜드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RCEP 회원국인 아세안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리이치24시코리아 손성민 대표는 “중국 화장품협회 총회(24~25일) 및 한국·중국·일본 교류회(26일) + 미국·유럽·아세안 인사들이 대거 포럼에 참가했다. 중국의 프로야, Bloomage 등 기업을 비롯 글로벌 협회, 규제 관계자 등 700여 명이 참석했다”고 전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한화장품협회 연재호 부회장을 비롯 주요 기업 관계자, 중국 지사에서 대거 참석했다. 손성민 대표는 “중국 규제 변화로 한·중·일 3국이 시장 변화를 주시하고 있으며, 공식적인 얘기 외에 각국 사정과 관련 민감한
지난 11월 11일 끝난 솽스이(双11 2023)는 중국 소비자 변화를 엿볼 수 있는 기회였다. 공급자 시장에서 완연히 소비자 시장으로의 손바뀜이 확실해졌다. 더 이상 공급자 마케팅에 일방적으로 감수하지 않겠다는 소비자의 이성적 소비가 눈에 띈다. 중국 IT전문조사기관 Syntun(星圖數据)에 따르면 2023년 솽스이 행사(10월 31일 20시~11월 11일 24시) 기간 주요 온라인 플랫폼의 매출액 합계는 1조 1746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채널별로 △ 종합 전자상거래(티몰, 징둥, 핀둬둬) 9235억 위안(-1.1%) △ 라이브커머스(더우인) 2151억 위안(+18.6%) △ 신유통(배달플랫폼 어러머(饿了么) 236억 위안(+8.3%) △ 공동구매(메이탄 류쉬안(美團優選) 124억 위안(-8.1%) 으로 나타났다. 이중 화장품 매출은 △ 기초 582억 위안(-4%) △ 색조 204억 위안(-5.6%)였다. 기초의 경우 코로나 이전인 2019년에 비해 22.9%나 감소한 수치다. 색조는 2019년에 비해 32.5% 증가했다. 화장품 소비 회복세가 미진한 가운데 솽스이 기간 알리바바 플랫폼(티몰, 타오바오, 타오바오라이브커
‘2023 코스모프로프 아시아’가 홍콩에서 11월 14~17일 홍콩 컨벤션 센터와 아시아 월드 엑스포에서 막을 열었다. 금년에도 아시아 월드 엑스포(AWE)에서는 OEM/ODM, 패키징, 원료, 라벨 등이 ‘코스모팩’이라는 행사명 아래 11월 14일~16일 전시되었으며, 홍콩 컨벤션 센터 (HKCEC)에서는 화장품, 에스테틱, 뷰티/헤어 제품 등 코스모프로프는 11월 15일~17일 진행됏다. 올해 전시에는 약 2천여 개사, 참관객 6만여 명으로 전년 대비 참가사 수와 참관객 수가 크게 증가한 것을 전시장 내에서 실감할 수 있었다. 코이코 주관 한국관에는 총 71개사가 참가 △ 스킨케어 브랜드 (파켓, 제이케이 코스, 스킨1004 등) △ 코스메틱 브랜드 (더샘, 미네랄바이오 등) △ 미용기기 및 에스테틱 (에이피알, SR바이오텍 등) △ 헤어 (닥터스칼프, 화이트코스팜) 등 카테고리별로 국내 유망기업이 참가했다. 또 대구한의대 산학협력단, 서울경제진흥원 등 단체는 각 지역 소재 기업들의 전시회 참가를 지원했다. 코이코 참가사인 주식회사 한스파마, ㈜아크메디코리아, ㈜제이피프로페셔널이 ‘코스모프로프 어워즈’에, 주식회사 한스파마, ㈜코윈바이오, 린제이앤코스이…
2019년 이후 4년 만에 중국향료향정화장품공업협회(CAFFCI, 이하 “중국화장품협회”)와 리이치24시차이나(REACH24H CHINA) 공동 주최로 열리는 한·중·일 화장품 협회 교류회가 오는 11월 26일 지난(济南)시 켐핀스키 호텔에서 열린다. 3개국 화장품 협회 교류회는 2006년에 국가를 순회하며 3년마다 개최하기로 합의하였으나, 대내외적 요인으로 인해 지난 2019년 이후 약 4년 만에 개최되는 것이다. 이번 교류회는 중국화장품협회의 정기총회 일정과 함께 열린다. △ 11월 24일 정기총회 △ 25일 산업 전망 컨퍼런스와 향료 안전성 세션과 중국 시장 브랜드 구축 전략 △ 11월 26일 화장품 산업 지속 가능성 포럼, 중국 향료 포럼과 더불어 국제 화장품 포럼과 교류회 일정이 이어진다. 올해 교류회에는 한·중·일 협회뿐만 아니라 EU 화장품 협회인 Cosmetics Europe과 ASEAN 당국자들이 참석 예정으로, 3개국 + 2권역으로 확장했다. 참석자 수는 2019년 교류회 당시 약 380명이었다. 올해에도 각국의 관계 당국, 기업, 대학, 유관 기업, 단체 및 기관, 뉴스 매체 등이 참석한다. 국내에서는 대한화장품협회 방문단과 국내 주요 기
11월 11일 자정을 기점으로 솽스이(2023 双11)가 종료됐다. 이번 솽스이에선 ‘아침 보호(Protect), 밤 회복(Recover) '早P晚R' 트렌드는 얼마나 많은 제품에 반영됐을까? 다음 트렌드로 다수 기업이 중복 등록 원료로 부각된 NMN 제품은 몇 개나 나왔을까? 매리스그룹 김선화 차장은 “중국 소비자들의 성향은 예전에 많이 주고 싸니까 ‘일단 사고 보자’에서 이젠 필요한 것만 사는 것으로 바뀌었다. 올해 솽스이에서도 ‘저렴한 가격’과 ‘품질’을 모두 갖춘 화장품을 선택하는 합리적 소비자가 많아졌다는 게 공통 인식”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2차 세미나에서 “플랫폼의 유통 판매 트렌드의 지난 10년과 앞으로의 10년을 유추 분석하고, 플랫폼의 지각변동에 따른 알리바바, 징둥 → 더우인, 핀둬둬, 샤홍슈으로의 소비자 이동에서의 트렌드 변화도 짚어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전에는 ‘듣보잡’ 브랜드가 등장했으나 SNS 커머스에서는 ‘괜찮은 브랜드’의 소비자 니즈와 맞아떨어지는 제품에 대해 샘플이라도 사고 싶다는 글이 올라온다. 때문에 이들 브랜드가 재조명받는 사례가 많아졌다. 김 차장은 “찐 팬을 만들어야 한다. 출시된 지 10년 넘은 제품
중국 NMPA가 기사용 화장품 원료 안전성정보 등록 플랫폼을 변경했다가 1개월여 만에 되돌린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인허가 전문기업 리이치24시코리아(대표 손성민)에 따르면 지난 9월 플랫폼을 개정하면서 단일 조성원료만 등록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렇게 되자 복합원료 등록이 불가 상태가 되면서 국내외 업계는 혼란에 빠졌다. 이에 따라 주요 기업과 협회, 리이치24시컨설팅 그룹 등 전문가 단체에서 당국에 공식 의견서를 제출했었다. 손성민 대표는 “지난 9월 식약처의 중국 NMPA 방문, 10월 NIFDC(중국식약품검정연구원)의 한국 방문 등이 있었다. 이 과정에서 기업들의 우려와 의견이 효과적을 전달되어 이를 중국 당국이 수용하는 데 역할을 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현재 원료 등록 플랫폼에서는 예전처럼 복합원료를 등록할 수 있는 상태라고 한다. 9월 개정 때와 마찬가지로 관련 당국의 별도 공지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내부에서 많은 의견이 오간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중국 정부가 산업계 제안을 단기간에 빠르게 수용했다는 데에 업계는 놀랄만한 변화라는 입장을 보였다.
코로나 이후 최대 쇼핑데이인 솽스이(双11 2023)의 사전 판매가 10월 20일부터 시작, 11월 11일까지 진행된다. 플랫폼마다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며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는 소식이다. 코트라 베이징무역관에 따르면 “중국판 블랙 프라이데이로 불리는 솽스이는 올해 경영실적을 크게 올릴 수 있는 마지막 이벤트로 업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양상”이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소비자의 트렌드와 수요에 만족하기 위해 플랫폼들은 가격, 제품 및 브랜드 다양화, 서비스, 유통 등에서 차별화된 전략을 세우고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이에 공급망과 재고관리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中 최대 쇼핑데이를 앞두고 마케팅 총력전에 나선 전자상거래 플랫폼' 인용) 작년의 경우 코로나 봉쇄로 티몰 등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11월 11일 당일 거래 실적을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아이미디어 리서치는 2022년 당일 매출액은 전년 대비 2.2% 감소한 3076억위안이라고 추산했다. 이 때문에 올해 시장의 기대가 더욱 커졌다. 다만 △ 지난 618 쇼핑데이 플랫폼 누적 판매액( 5.31~6.18)은 6143억위안(+5.44%) △ 2023년 전자상거래 라이브방송 판매액 4
중국 화장품시장에서 유행은 계산된 유행일까? 아니면 절호의 기회를 잡은 걸까? 그 배경엔 성분당(成分党)이 있다. 성분당은 화장품 성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확인하고 구매하는 소비자 움직임을 말한다. 지난 19일 열린 매리스그룹코리아(Maris Group Korea))의 ‘중국 화장품 법규로 본 트렌드+원료 동향 세미나’는 법규와 트렌드의 상관관계를 통해 시장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또 유행은 소비자와의 케미(chemi)라는 점도 일깨워준다. 매리스그룹코리아 김선화 차장은 “법규에 나타난 화장품 효능은 26가지나 된다. 소비자의 관심도 효능별 과학적 근거와 확실한 효과를 기대한다. 소비자의 효능 선호를 잘 읽어야 트렌드를 리드하는 브랜드사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김 차장은 “중국 화장품 법규에 따르면 효능별 4가지 효능 시험 중 단일 또는 결합 테스트를 거쳐야 한다. 또한 14가지 안전성 평가 항목 중 6가지 유형의 자료를 제출할 의무가 있다”며 법규 준수를 강조했다. 이는 중국 판매 시 규제당국이 유통채널에서 적법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후 심사’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성분당의 탄생은 2021년 화장품감독관리조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