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커머스가 비대면 유통채널로 등장했으나 아직 소비자 만족도는 절반을 겨우 웃도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1년 이내 라이브커머스 상품 구입 경험 소비자 1500명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평균 만족도는 3.65점으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번 조사 대상은 5개사로 사업자별 만족도는 △네이버쇼핑라이브 3.69점 △쿠팡라이브 및 그립 3.66점 △배민쇼핑라이브 3.65점 △카카오쇼핑라이브 3.61점 등이다. 부문별 만족도에서는 부가혜택, 방송진행자 등 상품 및 본원적 서비스를 평가하는 ‘서비스 상품 만족도’가 평균 3.82점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 서비스 체험의 긍정, 부정 감정의 빈도를 묻는 ‘서비스 체험 만족도’는 3.45점으로 가장 낮았다. 세부요인에 따라 △배민쇼핑라이브-신뢰성(앱의 안정성, 약속한 서비스 이행 등을 평가, 3.89점) △네어버쇼핑라이브-주문·결제과정(4.19점) △그립-부가혜택(3.83점)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응답자의 26.1%(391명)가 소비자 불만 경험을 답했다. 소비자 불만 이유로는 △잦은 방송 끊김(51.4%) △객관적 자료 없이 절대적 표현(최고, 최대, 제일 등) 사용 45%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은 지난 8일 MZ세대 기후환경 활동가 ‘글로벌에코리더 YOUTH’ 100여 명과 함께 국회의원회관에서 ‘기후환경 활동 공유 페스티벌’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올해 초 LG생활건강이 에코맘코리아와 함께 20세 이상의 청년 100여 명을 선발, MZ세대 기후환경활동가로 육성하는 프로그램인 ‘글로벌 에코 리더 YOUTH’의 활동상을 소개했다. 이와 함께 캠퍼스 및 지역사회에서 탄소중립을 위해 실천한 기후위기 대응 활동의 성과 발표도 있었다. 100명의 MZ 기후활동가들은 유엔환경계획의 탄소중립 실천 영역인 자원순환·탄소중립·폐기물·소비습관 등 분야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통해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팀별 활동을 선보였다. 주요 발표자로는 △기숙사 및 캠퍼스 자원순환을 위해 ‘세제,섬유유연제 리필스테이션 설치(스타트랙팀)’ △‘비건 진입장벽 낮추기 캠페인(웨이브팀)’ △‘어촌마을 협업 해양 쓰레기 수거활동(안아바다팀)’ △‘내가 만드는 환경동화(YTET팀)’ △‘MZ세대의 소비습관(ECO&Co팀)’ 등이 나섰으며,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기후환경 활동의 성과를 공유했다. 고려대학교 학생들로 구성된 청년 기후환경 활동팀 ‘즐라탄’의 박제현씨는
최근 일부 언론에 게재된 1,2,4-THB 관련 기사에 대해 식약처는 "사실과 다르다"는 반박 의견을 내놓았다. 그러면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의 검증위를 통한 위해평가 실시 결과에 따라 즉각 조치를 취할 것임을 재차 확인했다. 26일 식약처는 전자신문 보도(7.25자) “이해신 KAIST 교수, ‘모다모다 안정성 미국서 인정...불필요한 오해 풀리길” 기사에 대해, 미국 FDA에 문의한 결과 “염모제 성분인 1,2,4-THB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한 사실이 없다”라고 회신받았으며, 1,2,4-THB 안전성 자료 제공 요청에 즉각 답신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국과 미국은 국제화장품규제조화협의체(ICCR: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cosmetics regulation) 정회원으로, 이 협의체의 운영 목표 중 하나인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위와 같은 소통이 이루어졌다고 부연 설명했다. 앞서 기사 내용 중 ①“모다모다 안정성 미국서 인정…” → 미국 FDA 확인 결과 1,2,4-THB에 대한 안전성 평가 실시한 사실이 없다 ②미국 코스모프로프 시상식에서 헤어분야 1위 선정이 안전성을 인정받아 이뤄진 수상 → 홈페이지 게재 수상기준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