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전체기사 보기

소셜벤처 슬록(SLOC), 화장품 자원순환 플랫폼 노웨이스트 론칭

제품생애 주기에서 버려지는 불용자원, 공급자와 수요자 매칭, 재이용 촉진

소셜벤처 슬록(SLOC, 대표 김기현)이 화장품 불용자원의 순환 경제 전환을 위한 '노웨이스트'(www.nowaste.kr)를 오픈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화장품 업계는 원료, 부자재, 반/완제품 등 제품 생애 전주기에 걸쳐 불용자원이 과다 폐기되는 문제가 고충(pain point)이었다. 또한 MOQ로 인해 수요 이상의 원료 구입 후 재고 소진 전에 사용기한이 만료되는 등 남은 자원이 폐기되는 등 낭비도 많았다. 슬록(에 따르면 이렇게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불용 폐기원료는 제조업체 기준을 연간 약 12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2022년 12월 28일 ‘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화장품산업도 이에 대응하는 과제가 부여됐다. 김기현 대표는 “노웨이스트(No Waste)는 폐기물을 줄이고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방식 확산을 위한 생산자의 환경캠페인이며, 소비자 운동인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와 비교된다”라며 “노웨이스트는 불용자원(원/부자재, 반/완제품)을 보유한 공급자와 적정하고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를 희망하는 수요자를 매칭시키는 B2B2C 회원제 업사이클링 마켓 플레이스”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노웨이

LG생활건강, 100%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화장품 용기 첫 제작

폐플라스틱 원료로 재사용으로 온실가스 배출 감소...친환경 화장품용기 양산

LG생활건강은 국내 화장품 업계 최초로 순도 100%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 화장품 용기를 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클린뷰티 브랜드 ‘비욘드’의 베스트셀러인 ‘엔젤 아쿠아 수분 진정 크림’과 ‘엔젤 아쿠아 보습 장벽 크림’ 2종이 열분해유 플라스틱으로 만든 첫 용기다. 앞으로 열분해유 용기의 강도와 유해물질 유무 등 안전성 평가를 거쳐 내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양산할 예정이다. 지금도 사용하고 버린 페트병을 일부 재활용한 ‘화학적 재활용 패트(CR-PET)’가 생수 용기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100%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 만든 용기에 화장품을 담아 판매하는 건 LG생활건강이 처음이다.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방법으로는 ①열적 재활용(thermal recycling) ②물질 재활용(material recycling) ③화학적 재활용(chemical recycling) 등이 있다. LG생활건강이 적용한 방법은 ③안으로 업계에선 궁극적인 해결방안으로 알려져 있다.(관련기사: 화장품 용기, PLA·PHA 등 생분해 바이오 플라스틱 생태계 구축 (cncnews.co.kr)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폐비닐, 복합 재질 등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

피부 쥐젖, 온라인 불법 광고·판매 569건 행정처분 의뢰

쥐젖 제거 효과 인정된 의약품·화장품은 없어...증상 없고 생명 위험 없어 치료 불필요

식약처는 28일 피부 쥐젖(연성 섬유종) 제거 제품으로 온라인에서 광고·판매한 1269건을 점검한 결과 569건에 대해 접속 차단을 요청하고, 행정처분을 의뢰했다고 밝혔다. 쥐젖이란 각질형성세포와 콜라겐 증식으로 생긴 양성 종양으로 미용 외에는 건강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약처는 “현재 국내에서 쥐젖 제거 효과가 인정된 의약품·화장품·의료기기·의약외품은 없다”라며 “쥐젖 제거를 표방해 광고·판매 행위는 불법이며, 의약품이라도 온라인 유통·판매도 마찬가지로 불법”이라고 설명했다. 화장품의 경우 △ 쥐젖 제거 연고(크림) △ 비립종 제거 △ 쥐젖(제거) 이미지 사용 △ 상처 회복, 피부재생 등 화장품의 정의를 벗어나 의학적 효능·효과를 광고해 적발됐다. 이번에 적발한 쥐젖 제거 제품은 △ 의약품 300건 △화장품 148건 △의료기기 115건 △의약외품 6건 등 총 569건이다. 식약처가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민간광고검증단’(5개 분과 90명)에 자문한 결과 “쥐젖은 섬유화된 피부조직으로 인체에 영향이 경미한 화장품·의약외품으로 제거가 불가능하다”는 답을 얻었다고 소개했다. 또한 “혈액 공급을 차단해 쥐젖을 제거하는 기구의 효능에 대한 객관적 근거는

아모레퍼시픽 오산 뷰티파크, 폐기물 매립 제로 검증 획득

전체 폐기물 중 94% 재활용 전환율 기록...순환경제 구축, 온실가스 간접배출량 절감 노력

아모레퍼시픽이오산 뷰티파크가 화장품업계 최초로 폐기물 매립 제로 국제검증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폐기물 매립 제로 검증(ZWTL: Zero Waste To Landfill)은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폐기물을 순환 자원화하여 순환 경제를 구축한다는 개념이 바탕이다. UL사의 평가 규격에 따라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재활용 수준을 평가 및 검증하여, 재활용률에 따라 실버(90∼94%), 골드(95∼99%), 플래티넘(100%) 등급을 부여한다. 아모레퍼시픽은 전체 발생 폐기물량 4,292톤 중 4,043톤을 순환자원화하여 94%의 재활용 전환율을 기록해 UL솔루션으로부터 실버등급을 받았다. 이번 등급 판정을 받기 위해 아모레퍼시픽은 폐기물 자원화를 위한 환경운영지수를 자체 개발하여 폐기물 배출 감량과 재활용률 등 목표 관리 매뉴얼을 마련했다. 사규에 따라 폐기물 수집 운반 및 처리 업체에 △방문 정기평가 실시 △협력업체가 적법한 규제에 따라서 폐기물 처리를 진행하는지 확인 등 노력을 기울였다. 아모레 뷰티파크는 543㎡(164평)규모의 폐기물 재활용센터에서 생산활동 중 발생된 폐기물을 21종으로 분류하고, 12가지의 자원순환 방식으로 재활용한다. 사업장

라이브커머스, 고객 불만 경험 26%...인플루언서 영향력은 5.9%

한국소비자원, ’라이브커머스 만족도‘ 조사...화장품 구매 10%, 홈쇼핑보다 장점 없다

라이브커머스가 비대면 유통채널로 등장했으나 아직 소비자 만족도는 절반을 겨우 웃도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1년 이내 라이브커머스 상품 구입 경험 소비자 1500명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평균 만족도는 3.65점으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번 조사 대상은 5개사로 사업자별 만족도는 △네이버쇼핑라이브 3.69점 △쿠팡라이브 및 그립 3.66점 △배민쇼핑라이브 3.65점 △카카오쇼핑라이브 3.61점 등이다. 부문별 만족도에서는 부가혜택, 방송진행자 등 상품 및 본원적 서비스를 평가하는 ‘서비스 상품 만족도’가 평균 3.82점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 서비스 체험의 긍정, 부정 감정의 빈도를 묻는 ‘서비스 체험 만족도’는 3.45점으로 가장 낮았다. 세부요인에 따라 △배민쇼핑라이브-신뢰성(앱의 안정성, 약속한 서비스 이행 등을 평가, 3.89점) △네어버쇼핑라이브-주문·결제과정(4.19점) △그립-부가혜택(3.83점)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응답자의 26.1%(391명)가 소비자 불만 경험을 답했다. 소비자 불만 이유로는 △잦은 방송 끊김(51.4%) △객관적 자료 없이 절대적 표현(최고, 최대, 제일 등) 사용 45%

LG생활건강, MZ세대의 탄소중립 아이디어 100가지 공유

‘기후환경 활동 공유 페스티벌’ 개최...‘글로벌 에코 리더 YOUTH’의 탄소중립 실천 및 기후위기 대응활동 성과 발표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은 지난 8일 MZ세대 기후환경 활동가 ‘글로벌에코리더 YOUTH’ 100여 명과 함께 국회의원회관에서 ‘기후환경 활동 공유 페스티벌’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올해 초 LG생활건강이 에코맘코리아와 함께 20세 이상의 청년 100여 명을 선발, MZ세대 기후환경활동가로 육성하는 프로그램인 ‘글로벌 에코 리더 YOUTH’의 활동상을 소개했다. 이와 함께 캠퍼스 및 지역사회에서 탄소중립을 위해 실천한 기후위기 대응 활동의 성과 발표도 있었다. 100명의 MZ 기후활동가들은 유엔환경계획의 탄소중립 실천 영역인 자원순환·탄소중립·폐기물·소비습관 등 분야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통해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팀별 활동을 선보였다. 주요 발표자로는 △기숙사 및 캠퍼스 자원순환을 위해 ‘세제,섬유유연제 리필스테이션 설치(스타트랙팀)’ △‘비건 진입장벽 낮추기 캠페인(웨이브팀)’ △‘어촌마을 협업 해양 쓰레기 수거활동(안아바다팀)’ △‘내가 만드는 환경동화(YTET팀)’ △‘MZ세대의 소비습관(ECO&Co팀)’ 등이 나섰으며,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기후환경 활동의 성과를 공유했다. 고려대학교 학생들로 구성된 청년 기후환경 활동팀 ‘즐라탄’의 박제현씨는

“FDA는 1,2,4-THB 안전성 평가 사실 없다” ...식약처, 미국에 자료 전달

1,2,4-THB 관련 언론의 규제 지적에 식약처 반박..."소협 검증위 위해평가 결과에 따라 즉각 조치"

최근 일부 언론에 게재된 1,2,4-THB 관련 기사에 대해 식약처는 "사실과 다르다"는 반박 의견을 내놓았다. 그러면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의 검증위를 통한 위해평가 실시 결과에 따라 즉각 조치를 취할 것임을 재차 확인했다. 26일 식약처는 전자신문 보도(7.25자) “이해신 KAIST 교수, ‘모다모다 안정성 미국서 인정...불필요한 오해 풀리길” 기사에 대해, 미국 FDA에 문의한 결과 “염모제 성분인 1,2,4-THB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한 사실이 없다”라고 회신받았으며, 1,2,4-THB 안전성 자료 제공 요청에 즉각 답신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국과 미국은 국제화장품규제조화협의체(ICCR: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cosmetics regulation) 정회원으로, 이 협의체의 운영 목표 중 하나인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위와 같은 소통이 이루어졌다고 부연 설명했다. 앞서 기사 내용 중 ①“모다모다 안정성 미국서 인정…” → 미국 FDA 확인 결과 1,2,4-THB에 대한 안전성 평가 실시한 사실이 없다 ②미국 코스모프로프 시상식에서 헤어분야 1위 선정이 안전성을 인정받아 이뤄진 수상 → 홈페이지 게재 수상기준 중

LG생활건강 '베비언스 온리7 물티슈' 전 품목 자진회수 결정

문제가 된 로트에서 잔여세척제 통해 CMIT/MIT 극미량 검출...4일 이전 제조된 로트 포함 전량 회수

LG생활건강은 22일 가습기 살균제 성분으로 알려진 CMIT(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와 MIT(메틸이소티아졸리논)의 검출 관련 물티슈를 전량 회수한다고 밝혔다. 회수 제품은 지난 4일 식약처가 회수 명령을 내린 7920개뿐 아니라 4일 이전 제조된 베비언스 온리7 물티슈 전 로트다. 이와 관련 LG생활건강은 문제 발생 과정과 자체 조사 결과를 설명하고 해당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들은 고객상담실(0802-023-7007)로 조치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고 당부했다. 다음은 관련 내용 전문이다. 당사는 최근 발생한 베비언스 물티슈 제품 문제로 소비자 분들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머리 숙여 사과 드립니다. LG생활건강은 소비자들의 선택과 신뢰에 보답하는 마음으로 안전한 제품을 판매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번 물티슈 관련 문제가 발생하게 된 것에 다시 한번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이번 일을 당사의 제품 안전관리 전 과정을 되짚어보는 계기로 삼으려고 합니다. LG생활건강은 물티슈 문제가 제기된 즉시 원인 확인절차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베비언스 온리7 에센셜55 캡 70매’ 한 개 로트인 1LQ(23.11.08)에서 CMIT/MIT 성분




포토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