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는 19일 서울 YWCA회관에서 ‘식의약 소비자 감시단 ’컨슈머아이즈(Consumer Eyes)‘ 발대식을 개최하고, 온라인 유통감시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주요 활동으로 ▲소비자 상담사례에 기반한 식품․의약품 온라인 모니터링 ▲모니터링 결과 공유 및 행정조치 요청 ▲소비자 식품․의약품 안전교육 내용 전파 등을 진행한다. 컨슈머아이즈는 향후 3개월 동안 온라인 거래 중 소비자 안전 사각지대를 중심으로 모니터링 등을 수행하며, 그 결과를 식약처와 함께 논의하고 중요 사례를 모아 교육자료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원영희 회장은 “비대면 소비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비자가 자율적으로 온라인 사각지대를 감시하고 스스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컨슈머아이즈’를 운영하게 되었다”라며 “이를 계기로 식의약 소비자의 단순 참여를 넘어 소비자가 주도하는 민‧관 거버넌스 체계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정부에서 적극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식약처 김강립 처장은 “이번 컨슈머아이즈 활동 경험을 소비자 교육에 적극 활용하면 식의약 안전문화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시민사회와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소비자 주도의 식품‧의약품
탈모증상 완화 기능성 샴푸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탈모 관련 인식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10명 중 3명(30.9%)이 탈모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조사기관 앰브레인 트렌드모니터, 19~59세 성인 남녀 1천명 대상) 대체로 탈모증상은 40대 이후에 시작됐으며, 주원인으로는 스트레스(67.3%, 중복응답)와 유전적 요인(42.4%)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여성의 경우엔 폐경기 등 호르몬 불균형 문제(32.8%), 지나친 다이어트로 인한 부작용(16.8%)을 원인으로 꼽았다. 눈여겨볼 점은 전체 응답자의 42.7%가 사전 예방(57.8% 중복 응답)과 노화에 대한 우려(56.4%)로 현재 탈모 증상이 없어도 탈모 예방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했다는 점. 증상이 있는 응답자를 포함하면 10명 중 7명이 탈모 예방 및 관리에 관심이 많았다. 이는 탈모 관련 시장 성장세를 예상할 수 있으며, 실제 90.2%가 같은 의견을 냈다. 탈모 증상 경험자의 스트레스 수준은 77%로 높게 나타났다. △자존감 하락(53.4%) △염색 또는 파마 등 원하는 헤어스타일 포기(37.2%) △우울감(34.6%)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 응답자의 탈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
“현장에서 경험하고 느꼈던 내용을 내실 있게 전달해줘서 유익했다.” “제형만 소개하는 게 아니라 브랜드사의 고민을 제조사가 나름 어떻게 해결하려 노력했는지를 엿볼 수 있어서 좋았다.” “공통으로 잘 팔려야 하기 때문에 제조사와 브랜드사의 활발한 소통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금 깨달았다. 오늘 들은 얘깃거리를 상품화해야겠다는 욕심이 생겼다.” 18일 열린 한국화장품수출협회(회장 곽태일)의 5월 제형발표회에 참가한 기업들의 소감이다. 한 참가사 임원은 “제조사마다 차별화가 뚜렷해서 ‘다 만들어보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다”며 알찬 내용에 만족도를 나타냈다. 이날 발표회는 브랜드 25개사가 참석해 코로나시기에 잠시 소원했던 제형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한국화장품수출협회 곽태일 회장은 “강의장이 꽉 찼음에도 추가 신청자가 많아 일부 제한을 할 수밖에 없었다.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맞아 브랜드사들이 K-뷰티의 활기를 화끈하게 지필 수 있도록 화수협이 회원사들에게 한발 더 다가서겠다”라고 감사의 말을 전했다. 그러면서 곽 회장은 “화수협은 회원사의 수출 증대를 위한 구심점 역할을 목적으로 창립됐다”라며 “제조사-브랜드사, 브랜드사 간 우정과 유대, 연대는 화장품산업 발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