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전문점 전용 브랜드로 론칭한 카이트 코리아의 ‘에이지제로(AGE:ZERO)’가 해외 관광객과의 접점 확대에 나섰다. 최근 카이트 코리아는 신라 면세점과 롯데면세점 본점, 신라HDC에 잇달아 입점하면서, 리오프닝에 따른 중국 및 아시아 관광객을 맞을 채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에이지제로는 ‘세월이 지나도 우리는 변하기 싫으니까’라는 슬로건의 40대 이상 시니어를 위한 토털 안티에이징 스킨케어 라인. 수십 년 업력의 화장품 전문점 대표와 전문가들과의 콘셉트, 디자인, 가격 등의 품평을 통해 탄생시켜 화제를 모았다. 에이지제로 라인은 ▲스킨 소프너 ▲에멀전 ▲리페어 세럼 ▲멀티 트리트먼트 ▲리치 크림 등 저자극 제품 5종으로 구성됐다. 전 제품 모두 이탈리아 비건 V-LABEL 인증을 받았다. 이밖에 제주 특허 성분인 제주해녀콩추출물, 제주 동백꽃추출물, 식물성 콜라겐을 함유했다. 패키지는 젊음의 생기가 느껴지는 로즈골드 컬러를 적용했으며, 전세계적으로 사랑 받아온 랑방의 에끌라 향이 편안함을 전한다는 설명이다. 카이트 코리아 관계자는 “개발 단계부터 화장품 전문점 활성화를 위해 기획된 만큼, 다양한 마케팅 전개를 통해 지원할 방침이다. 제품 출시와 함께 에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마스크 부분 해제, 설 명절 등에 따른 외부활동 증가에도 불구하고 2023년 1월 화장품의 온라인 매출은 전년 대비 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통계청은 ‘23년 1월 화장품의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9250억원이라고 발표했다. 2021년 7월 이후 19개월째 감소세다.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로 색조가 팔렸으나 전체 화장품 매출액을 플러스로 올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전월(’22. 12월, 9306억원) 대비로도 0.6% 감소했다. 팬데믹이 해소되더라도 소매시장에서 온라인 비중이 줄지 않을 것이라 게 유통가의 전망. 그렇다면 화장품 소비는 소비태도의 근본적 변화에 달려 있는 게 아닐까? 먼저 물가와 소득 동향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우선 인플레이션이다. 3월 2일 발표된 한국은행의 ‘물가 여건 변화 및 주요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소비자 물가는 오름세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국제 유가 추이 △공공요금 인상 폭 및 시기 △유가 및 공공요금 상승에 따른 이차 파급영향 △기대인플레이션 변화 등이 향후 물가 흐름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잠재해 있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리스크 요인들이 적지 않게 잠재해 있는 만큼 물가 오
생산은 0.5% 늘었는데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2.1% 감소했다. 2일 통계청의 ‘2023년 1월 산업활동향’을 한마디로 정의한 내용이다. 선행종합지수는 100이하로 떨어졌다. 음식료품, 화장품, 의약품 등 비내구재(-1.9%), 의복 등 준내구재(-5.0%), 승용차 등 내구재(-0.1%) 모두 판매가 줄어 전월 대비 2.1%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에서도 비내구재 중 화장품, 서적·문구 등 비내구재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태별로는 전년 동월 대비 △무점포 소매(-4.7%) △면세점(-37.6%) △전문소매점(-0.7%) △백화점(-2.5%)에서 판매가 줄었다. 대신 △승용차 연료소매점(10.1%) △슈퍼마켓·잡화점(10.2%) △편의점(13.8%) △대형마트(4.3%) 등은 판매가 늘었다. 화장품은 전월 및 전년 동월에 비해서도 감소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1월 말 해제됨에 따라 2월부터 화장품 소비가 늘었다곤 하나 증가세는 미지수다. 기재부는 지난달 17일 ‘최근 경제동향 2월호’에서 작년 6월 이후 8개월째 경기 둔화가 우려된다“고 진단했었다. 소비 위축이 아닌 감소세로 접어들었음을 인정한 것이다. 소매업태별로도 면세점 매출이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