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화장품의 부당광고 점검 결과가 발표됐다. 올해 식약처의 부당·허위·과대 광고 적발은 ➊ 모발 66건(6.21) ➋ 라방 10건(6.17) ➌ 피부과 추천 373건(5.24) ➍ 숏폼 73건(4.21) ➎ 화장품 둔갑 허위 144건(3.16) 등에 이어 여섯 번째다. 현행법 상 모든 책임은 화장품 책임판매업체에게 귀속되는 관계로 주의가 요구된다. 6일 식약처는 피부재생, 염증완화 등 화장품 부당광고 83건을 적발해 방통위에 접속 차단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의학적 효능·효과 등을 내세우는 화장품 부당광고를 주제로 온라인 상의 화장품 판매게시물을 점검한 결과 ‘화장품법 제13조’(부당한 표시·광고 행위 등의 금지) 위반에 대한 조치다. 이번 점검은 일부 업체가 화장품에 대해 피부 표피를 관통하고 진피층까지 도달해 의료시술과 유사한 효능·효과가 나타나는 것처럼 광고하는 등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거나 화장품의 범위를 벗어나는 부당한 표시·광고를 하고 있어, 이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적발된 광고들의 경우 ▲ 화장품을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53건, 64%) ▲ 화장품 범위를 벗어나는 광고(25건, 30%) ▲
올해 상반기 대형 유통업체(오프 13, 온 10)의 매출 동향에 따르면 오프라인 매출은 0.1% 감소하고 온라인은 15.8% 증가해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매출의 마이너스 성장은 코로나 시기 ‘20년 상반기 이후 5년만이다. 이는 처음으로 온라인 매출이 오프라인을 넘어섰음을 뜻한다. ‘25년 상반기 오프라인 vs 온라인 매출 비중은 46.4% vs 53.6%였다. ’24년 상반기 오프(50.1%) vs 온(49.9%)에서 역전한 것이다. 이런 흐름은 화장품에서도 드러난다. 화장품 소매액은 △ 1/4분기 3조4440억원(-5.8%) △ 2/4분기 3조4478억원(-2.7%)으로 감소했으나 온라인 매출은 △ 1/4분기 +8.3% △ 2/4분기 +7.6%로 성장했다. 6월 화장품의 온라인 침투율은 41%로 역대 최고치다. 다만 올리브영, 다이소 등 옴니채널 운영으로 온라인이 절반을 넘어서는 시점은 대형 유통업체보다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1일 발표된 화장품의 온라인 매출은 1조 1475억원으로 10.7% 증가했다. 8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가며 금액으로 1108억원 증가했다. 이중 모바일 비중은 77.7%였다. 한편
넥스트 더마 비건 코스메틱 토코보(TOCOBO)가 신라면세점과 롯데면세점 온라인몰에 신규 입점하며 면세 유통 채널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독창적인 브랜드 감성과 우수한 제품력으로 MZ 세대의 큰 호응을 얻고 있는 토코보는 지난해 신세계면세점 온라인몰 입점을 시작으로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내 신세계면세점 오프라인 매장까지 전 제품 입점시켰다. 이어 올해 5월 신라면세점 온라인몰을 비롯해 롯데면세점 온라인몰에도 입점하며 국내 주요 면세점에 모두 진출, 국내 유통 채널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신라·롯데면세점 온라인몰을 통해 선보이는 제품은 선케어, 스킨케어, 메이크업까지 토코보의 주요 라인업을 아우른다. 대표 베스트셀러인 ‘바이오 워터리 선크림’ 및 ‘코튼 소프트 선스틱’, 진정 케어에 특화된 ‘시카 카밍 선세럼’ 및 ‘시카 쿨링 선스틱’ 등 선케어 라인을 비롯해 시카 성분이 함유된 ‘시카 카밍 토너’, ‘시카 파우더 워시’ 등 시카 스킨케어 라인까지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 시카 라인 제품군은 해외 고객은 물론 내국인 여행객들 사이에서도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스킨케어 라인으로, 민감한 피부를 위한 진정 케어와 비건 포뮬러로 주목받고 있다. 신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