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소매유통업계의 체감경기는 여전히 ‘우울’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마트는 경기전망지수(RBSI)가 43으로 역대 최저로 전망됐다. 또 편의점도 78→61로 17p나 하락했다. 반면 온라인·홈쇼핑은 114를 기록 기준치를 넘겼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소매유통업체 10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1년 1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는 ‘84’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4분기(85)보다 미미한 하락세다.((RBSI가 기준치 100 초과시 경기호전 전망, 미달시 경기악화 전망) 대형마트의 부진한 전망은 작년 11월 영업시간 규제의 5년 추가 연장법안 개정에 대한 실망감 때문이라고 분석됐다. 이에 따라 대형마트는 당분간 홈코노미 트렌드에 따른 신선식품과 가정간편식 등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편의점은 지난분기 대비 낙폭이 가장 컸다. 유동인구가 줄어드는 동절기는 편의점의 비성수기인데다 온라인쇼핑, 배달서비스 플랫폼 등 경쟁 채널 증가로 식품·간편식품 매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백화점(98)은 기준치에 근접했는데 이는 2월 구정 특수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슈퍼마켓(65)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근린형 식품소비 트렌드에 대한 기대감이 지
지난 15일 공정위 김재신 공정거래부위원장은 아모레퍼시픽을 방문, 가맹본부의 화장품 온라인 판매 관련 가맹점주와의 상생노력을 격려했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전국아리따움경영주협의회 남효철 회장, 전국아리따움점주협의회 김익수 회장 등과 동반했으며, 아모레퍼시픽 안세홍 대표도 함께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해 10월 가맹본부의 온라인 화장품 판매와 관련해 오프라인 전용상품 비중 확대, 온·오프라인 연계 강화 등 가맹점주단체와 맺은 상생협약에 대한 현장 목소리 청취를 위한 목적으로 알려졌다. 공정위가 가맹점주협의회 회장들과 기업을 방문한 것은 이례적이다.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은 지난해 10월 22일 공정위 종합국감에 증인으로 출석, 가맹점주와의 상생 방안 모색을 답변한 바 있다. 앞서 아모레퍼시픽은 10월 16일 아리따움가맹점주협의회, 19일 전국에뛰드경영주협의회, 21일 전국이니스프리경영주협의회, 22일 전국이니스프리가맹점주협의회 등과 잇달아 상생협약을 맺었다. 안세홍 대표는 “올해 오프라인 전용 상품 중심의 새로운 멤버십 제도를 론칭하고 가맹점 방문고객을 위한 샘플마켓을 도입하는 등 오프라인 가맹점의 새로운 성공모델을 만드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남효
합성수지 재질의 재포장 금지 관련 세부 내용이 확정됐다. 환경부는 지난해 9월 환경부-제조·수입·유통업계 간 ’과도한 포장재를 줄이기 위한 자발적 협약서‘ 체결한 바 있다. 이후 시행 과정에서 '재포장 문의 내용' 관련 업체들의 질의 답변을 정리했다. 먼저 재포장 여부 판단은 ’포장제품의 재포장 예외기준 고시‘ 제2조에 따른다. 즉 화장품의 경우 n+1, 증정·사은품 등을 위한 묶음 포장, 낱개로 판매되는 단위제품·종합제품 3개 이하 포장 등이 해당된다. 세부적으로 보면 2개 이상 제품을 묶기 위하여 제품의 일부만을 감싸는 형태의 띠지나 고리는 재포장 금지 적용대상이 아니며, 띠지나 고리의 재질과도 무관하다. 유통매장에서 여러 개 제품을 비닐봉투에 담아 진열·판매하는 것은 재포장이 아니며, 1회용품 사용규제 적용대상이다. 또 타 매장에서 낱개로 판매되고 있으나 판매자가 임의로 2개 이상 묶은 제품만 판매하는 경우는 재포장 적용 대상이다.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시트는 두께가 0.25mm 미만의 플라스틱 막으로 비닐포장재가 대표적이다. 시트는 0.25mm 이상인 플라스틱의 얇은 판으로 이를 성형하여 제조한 플라스틱 블리스터 포장(blister pack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