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은 기존 100만동 미만(약 5만6700원) 역직구(급행 배송 서비스)에 대해 무관세에서 부가세(VAT) 부과를 2월 18일부터 시행한다. 이후 6월 1일부터 베트남에 사업등록을 하지 않고 직접 해외에서 판매하던 기업들을 대신해 플랫폼 기업이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 17일자 베트남의 Customs News에 따르면 “세관 총무부(GDC)는, 2월 18일부터 급행 배송 서비스를 통해 발송된 저가 수입 상품에 대해 더 이상 부가가치세(VAT) 면제 대상이 되지 않는다”라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결정 번호 01/2025/QĐ-TTg는 이전에 택배 서비스를 통해 발송된 VAT 면제 수입 상품에 대한 가치 한도를 설정한 2010년 11월 30일자 결정 번호 78/2010/QĐ-TTg를 공식적으로 철회한다고 발표했다. 앞으로 저가 수입 상품에 대한 VAT 신고 및 납부는 이제 VAT법 및 관련 법률 규정을 따라야 한다. GDC는 이 결정을 시행함으로써 베트남의 세금 정책이 국제 관행과 일치하고, 현재 세금 규제 시스템 내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며, 세금 기반을 확대하려는 국가의 정책 방향을 따른다고 밝혔다. 100만 VND(미화 39.4 달러) 미만의 저가 상품에 1
LG생활건강과 LG AI연구원은 AI(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해 ‘화장품 효능’ 소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상용화 과정을 거쳐 이르면 내년부터 AI 기반 고효능 성분을 담은 화장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양사는 최근 AI모델을 활용한 공동 연구에서 물질의 용해도와 안전성을 개선한 화장품 효능 소재를 개발했다. 화장품 원료의 경우 물질 자체의 효능은 탁월하지만 용해도가 낮아 제품화가 어려운 성분들이 많은데, 이번 연구 성과를 토대로 최적의 효능 소재를 개발할 수 있게 됐다. LG생활건강은 피부 항노화 트렌드인 ‘스킨 롱제비티(Skin Longevity, 피부 장수)’ 관점에서 화장품 효능 소재의 분자 단계부터 전체 연구 공정을 AI가 설계했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기존 국내 화장품업계는 AI모델에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원료 소재를 분석해왔다. 프로그램으로 LG AI연구원의 신물질 발굴 특화 AI모델인 ‘엑사원 디스커버리(EXAONE Discovery)’가 활용됐다. 물질의 분자 구조 데이터를 대량으로 분석해 각 물질 특성을 예측함으로써 연구에 활용할 후보 물질을 찾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였다. 기존 연구는 연구자의 경험과 논문에 의존하다
과거는 미래가 된다. 실제 있었던 일은 미래에도 일어날 수 있다. 초보 화장품 연구원이 꿈꾼 ‘프랑스처럼 K-화장품의 국가 이미지 산업화’는 37년 후 ‘글로벌 K-코스메틱’으로 현재가 됐다. 성신여대 김주덕 뷰티융합대학원장이 『화장품의 정석』을 16일 출간했다. (김주덕·김지은·김행은·곽나영 공저) 화장품과학자이자 교육가로 봉직한(1987~2024) 기간 Cos-History가 어떻게 진화하고 미래로 펼쳐졌는지 후학들에게 보여주고 싶었다는 게 출간의 변이다. 이 책에 소개된 에피소드는 소비자와 산업계의 대화록이자 K-코스메틱 변화 양상을 보여준다. 저자는 “화장품은 직접 체험해보고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 이게 바로 정석(定石)의 출발점”이라고 말한다. 오늘날 K-뷰티가 글로벌 ‘신드롬’이 된 이유도 발견할 수 있다. 김주덕 교수는 이 기간, LG생활건강 연구원부터 성신여대 뷰티융합대학원장에 이르기까지 소비자와 업계의 소통 창구이자, K-뷰티 미래 로드맵 설계자로 활약했다. 에피소드마다 그의 경륜과 숙고가 고스란히 드러난다. 저자는 화장품이 13대 수출유망 산업이자 정밀화학의 융·복합 화장품과학으로 자리잡기까지 무려 32년의 세월이 걸
쏘내추럴(SO’ NATURAL)이 빈틈없는 고정력과 강력한 지속력을 갖춘 ‘수퍼 픽스 슬림 마스카라’를 출시했다. 2.5mm의 초슬림 커브 브러쉬로 속눈썹 뿌리부터 세밀하게 터치할 수 있어, 어떤 눈매에도 또렷한 인상을 선사하는 고정력 최강 컬링 마스카라다. 특히, 픽서 성분을 함유해 번짐, 가루 날림, 처짐 없이 24시간 깔끔한 메이크업을 유지해 준다. 또한, 빌더블 텍스처로 한 올 한 올 가볍게 볼륨을 쌓을 수 있으며, 화이버 프리 포뮬러로 뭉침 없이 매끈한 롱래쉬 연출이 가능하다. 트위저를 활용하면 마치 샵에서 연출한 듯한 가닥 속눈썹도 손쉽게 완성할 수 있다. 여기에 판테놀, 비오틴, 식물성 단백질이 함유되어 속눈썹 케어 효과까지 더했다는 설명이다. 컬러는 ▲ 딥 애쉬블랙 컬러(세련된 애쉬 컬러를 더한 클래식 블랙) ▲ 02 다크 브라운(깊이감 있는 차분한 브라운) ▲ 03 소프트 로지(은은한 로즈 컬러) 총 3가지로 구성되어 있어 피부 톤과 스타일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LG생활건강의 오가니스트(ORGANIST)에서 ‘5대 두피 고민’의 관리를 위한 신제품 ‘클리니컬 솔루션’ 라인을 새로 출시했다. 5대 두피 고민은 고객이 불편함을 겪는 비듬, 두피 건조로 인한 가려움, 건조, 유분 과다, 열감 문제를 말한다. 이번 신제품은 두피 진정을 위한 진저 에센셜 오일과 두피 개선 특허 성분인 프리 & 파라 프로바이오틱스와 비듬 개선 특허 세정 성분의 독자 성분 ‘진저바이오틱스TM‘을 함유했다. 이를 통해 두피 장벽 강화부터 비듬, 건조로 인한 가려움 등 여러 두피 고민을 개선해준다. 두피 열감이 고민인 고객을 위한 ‘쿨멘솔’ 샴푸에는 시원하고 청량한 느낌을 더하는 멘톨을, 두피 건조로 인한 가려움이 고민인 고객을 위한 ‘가려운 두피용 샴푸’에는 마데카소사이드와 시카를 첨가했다. 또 머리가 자주 떡지고 정수리 냄새가 고민인 고객을 위한 ‘유분·냄새 딥클린 샴푸’에는 AHA, PHA, 애플사이다비니거를 함유해 평소 두피 고민에 따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인체적용시험에서도 △ 두피 가려움 63% 개선 △ 두피 각질 65% 개선 △ 두피 온도 8℃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고 한다. 사용 2주 후부터는 비듬의 양이 62%
지하철 7호선 이수역에서 내방역으로 가는 서초대로 언덕엔 국내 최대 규모의 화장품 임상시험기관 더마프로(DERMAPRO)가 자리잡고 있다. 화장품, 기능성화장품, 의약외품, 미용기구, 기능식품 등에 대한 임상 및 임상 전 단계에서의 안전성, 유효성 및 감성평가를 실시하는 곳이다. 한국화장품수출협회(회장 이경민)의 ’25년 두 번째 세미나인 ’임상기관 투어‘의 목적지다. 이경민 회장은 “실제 화장품 출시 전 임상 평가가 이뤄지고 있지만 어떤 기기로 어떻게 평가하는 지 실무자들이 경험해보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번 랩 투어(Lab Tour) 및 최신 임상 트렌드를 알아봄으로써 상품기획과 화장품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방문 취지를 설명했다. 더마프로의 서울 본사는 7층 건물로 ▲ 피부평가센터 ▲ 광·모발평가센터 ▲ 안전성평가센터로 구성된다. 제주지사는 생명과학연구소, 강서지사는 임상지원센터로 활용된다. 면역학, 피부장벽을 전공한 백지훈 연구소장(이학박사)은 임상 관련 깊이 있는 논문을 66편 출판했으며, 더마프로의 ‘시험법 개발과 연구역량’ 향상을 이끌고 있다. 현 대한화장품학회 안전성분과 위원장, 한국피부장벽학회 부회장, 건국대 화장품공학과
화장품의 원산지 증명서 발급 시 입증서류 제출이 기존 8종에서 1종으로 대폭 간소화된다. 12일 기획재정부는 ‘FTA 활용지원을 위한 관세행정 추진 전략’을 발표하고 국내 제조 확인서 또는 유관기관 발급 인증서 1종으로 원산지증명서 입증자료를 충족시킨다고 밝혔다. 화장품의 경우 립스틱, 마스크팩, 아이섀도, 마스카라 등 6개 품목을 새롭게 간이확인대상으로 신규 지정했다. ‘25년 상반기 중에 총 332개 품목이 해당된다. 이는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라 상대국의 원산지 검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위반율도 상승 추세여서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요청되기 때문에 취하는 조치다. 또한 원산지증명서 전자교환시스템(EODES) 확대로 통관애로를 사전에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즉 우리나라 주도 전자원산지증명서(e-C/O) 국제표준으로 필리핀 등과 EODES를 구축, 한-아세안 e-C/O체인을 완성하고, GCC(‘23.12 타결) 등에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기획재정부는 숨겨진 FTA 활용 기회를 적극 발굴, 지원하여 수출동력을 확보한다는 전략하에, 한류 접목 수출 유망품목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이에 따라 화장품과 농축수산물의 원산지 증명 절차 간소화로 입증
피부기반기술개발사업단 임병연 사무국장이 오늘(12일) 별세했다. 향년 58세. ■ 빈소 : 삼성서울병원장례식장(서울시 강남구 일원로 81) 3호 ■ 발인 : 2025년 02월 14일(금) 오전 11시 ■ 장지 : 성남영생원 ■ 연락처 : 02-3410-3151(https://samga.co.kr/obituary.do?bn=391585 )
대한화장품협회 창립 80주년 & 화장품 수출 60년, 화장품 수출 100억달러 달성 기념식이 대한화장품협회 주최로 11일 롯데호텔(서울) 사파이어볼룸에서 열렸다. 이날 기념식에는 대한화장품협회 서경배 회장이 호스트로, △ 국회K-뷰티포럼 회장 김원이 의원 △ 식품의약품안전처 오유경 처장 △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 △ 식약처 신준수 바이오생약국장 △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조신행 원장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홍현우 기획이사 △ 대한화장품학회 황재성 회장 △ 여성단체협의회 허명 회장 △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남인숙 회장 △ LG생활건강 최남수 상무 △ 한국콜마 최현규 대표 △ 코스메카코리아 조임래 회장 △ 엘앤피코스메틱 권오섭 회장 등 산·관·학·연·소비자 단체 관계자들이 참석, 축하했다. 협회는 ‘세계를 빛나게 하는 K-코스메틱’을 슬로건으로 산업계 유공자 포상 및 세리머니를 통해, 새로운 도약을 다짐한다고 밝혔다. 서경배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올해 우리 협회가 창립 80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다. 지난 80년 동안 업계 여러분의 열정과 헌신이 있었기에 어려움을 극복하고 혁신을 거듭, 지난해 ‘대한민국 화장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큰 이정표를
아모레퍼시픽의 정통 더마 브랜드 에스트라(AESTURA)가 새로워진 '에이시카365 흔적진정세럼 pH4.5'를 출시한다. 기존 '에이시카365 흔적진정세럼'을 새롭게 리뉴얼한 제품으로, 민감한 피부의 붉은기* 고민과 피부 pH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에스트라는 민감 피부의 pH 보호막 불균형에서 비롯되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으로, 외부 자극에 의한 붉은기 발생에 주목했다. 이번에 선보이는 '에이시카365 흔적진정세럼 pH4.5'는 진정 성분인 'pH4.5CICATM'를 함유해 민감해진 피부를 진정하고, PHA(Poly Hydroxy Acid) 성분이 약산성 환경 개선에 도움을 준다. 또한 4대 CICA 성분(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애씨드, 마데카식애씨드, 아시아티코사이드)을 함유해 손상된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해 준다. '에이시카365 흔적진정세럼 pH4.5'는 피부 표면의 pH를 12시간 유지해 주는 아모레퍼시픽 기술을 최초로 적용했다. 출시 전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1회 사용 시 피부 온도 5.3도 감소, 붉은기 121% 개선, 손상된 피부 장벽 142% 개선 등 민감 피부의 붉은기 진정 효과를 확인했다고 한다.
로레알코리아가 중소벤처기업부 및 창업진흥원에서 진행하는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25 ‘로레알 빅뱅’ 프로그램에 디지털 및 혁신기술 참가기업을 모집한다. ‘로레알 빅뱅’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은 로레알 그룹이 북아시아 지역에서 진행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이니셔티브다. 뷰티 분야에 적용 가능한 혁신기술을 보유한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0년 중국에서 시작해 2023년 한국과 일본, 2024년 홍콩과 대만까지 확장되며 아시아 전역으로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다. 한국에서는 2023년 6월 로레알 그룹과 중기부가 체결한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중기부와 공동으로 매년 진행해 오고 있다. 로레알코리아는 중기부와 함께 디지털 및 뷰티 분야의 혁신기술을 보유한 유망 스타트업 최대 4개 기업을 선발해 지원할 계획이다. 연구혁신 분야에서는 ▲ 의료 기반 뷰티 솔루션 ▲ 피부·두피 항노화 관련 바이오마커 솔루션 분야를 모집한다. 디지털 분야에서는 ▲ 시장 데이터 및 BI 서비스 솔루션 ▲ AI 기반 뷰티·쇼핑 개인화 서비스 ▲ 콘텐츠 분석 기반 추천 서비스를 모집한다. 선발된 기업들은 로레알로부터 멘토링·컨설팅과 마케팅·네트워킹
미국 FDA의 화장품규제 현대화법(MoCRA) 일정이 일부 변경됐다. 미국 정보 및 규제사무국(OIRA)는 지난 2024년 12월 13일 발표된 2024년 가을 규제 및 규제 완화 조치 통합 의제에서 MoCRA가 의무화한 3개의 규칙을 포함한 총 4개의 화장품 규칙 제안의 목표 날짜를 수정하며 연기를 알렸다고 캠링크드(CHEMLINKESD, Reach 24h)가 전했다. 이에 따라 △ MoCRA 규칙: 탈크(활석 함유) 화장품에서 석면을 검출하고 식별하기 위한 테스트 방법→ 2024년 12월 △ MoCRA 규칙: 화장품 라벨에 향료 알러젠 성분 표시→ 2025년 1월 △ MoCRA 규정: 화장품 시설에 대한 우수제조관행→ 2025년 10월 △ 헤어 스무딩 및 스트레이트닝 제품의 성분으로 포름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 방출 화학물질 사용→ 2025년 3월 등으로 연기됐다. 한편 FDA는 ’24년 12월 27일 탈크 화장품 안전성 확보 위한 새로운 석면 검사 기준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표준화된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오염물질로 존재할 수 있는 석면을 탐지하고 식별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번 제안에 대해 FDA는 '25년 3월 27일까지 의견을 받는다. 활석은 다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