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증전문기업 북경매리스의약과학기술유한회사(MARIS그룹)는 최근 수천만위안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투자자는 중국 사모펀드인 취도(趣道)자산버추얼펀드이며 카이청((凯乘)자본이 독점 재무고문으로 참여한다. 중국에서 인증기업이 투자를 유치한 건 향후 NMPA 관련 법규 시장이 확대될 것이란 전망을 보여주는 것이며, 매리스그룹은 이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명성을 쌓아왔다. 매리스그룹은 강력한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능력을 바탕으로 의료기기·특수의학용도건강식품·화장품 관련 플랫폼을 구축했으며, 중국 내 순이익률이 가장 높은 의료기기 CRO(임상시험수탁기관) 회사 중 하나다. 특히 혁신의료기기 제품의 등록 및 출시 진행을 가속화하기 위한 마지막 난제인 ‘라스트 1마일(last 1 mile)’을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해 업계의 호평을 받았다. 매리스그룹의 서비스 영역은 CRO 영역의 등록, 컨설팅으로까지 망라한다. 설립자 왕양(王阳) 총경리는 “매리스그룹은 서비스 품질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는 우리의 중요한 기반이다. 취도자산매니지먼트의 매리스그룹 인정과 카이청 자본의 지분 설계 및 자본계획의 서비스 감사
코로나19 이후 중남미 시장에서 화장품이 유망 품목으로 떠올랐다. 코트라는 최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중남미 주요 5개국의 소비 트렌드로 ①디지털 전환으로 이커머스 성장 ②결제 다양화로 신용카드, 언택트 결제 증가 ③기업 판매전략의 디지털화 등을 꼽았다. 이런 소비 이슈에 맞춰 가장 유망한 품목으로 화장품을 선정, 진출 전략을 소개했다. (KOTRA '코로나19 이후 중남미 소비트렌드 변화와 우리 기업 진출전략') ■ 멕시코 코로나19 이후 뷰티산업 약세, 피부관리·헤어염색 시장이 강세다. 이는 미용실 이용이 줄며 셀프 헤어 관련 관심도가 증가했고, 대면 접촉이 줄어들며 색조 화장품 등의 사용이 감소하여 셀프 피부관리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마스크 착용으로 색조 화장품 구매 선호도가 급감, 뷰티시장 규모가 2.4%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그러나 마스크에 묻어나거나 지워지지 않는 화장품, 지속력이 좋은 제품 선호도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로레알 멕시코는 랑콤, 키엘, 어반디케이의 브랜드를 통해 퍼스널 전자상거래를 실시 중이다. 이처럼 소비자와 뷰티 어드바이저의 비대면 관계가 정착되어 장기적으로 신뢰 관계 구축이 중요하다. 소비자가 구매 검토를 하
K-뷰티의 수출다변화 유망지역으로 꼽히는 중동 3개국의 트렌드와 상품 동향 정보를 담은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7호(UAE·사우디아라비아·터키 편)가 발간됐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은 “중동 주요 3개국 모두 아이메이크업에 관심이 높았다”고 소개했다. UAE와 사우디아라비아는 세대를 불문하고 풍성하고 도톰한 눈썹과 화려한 컬러의 아이 메이크업이 유행 중이다. 얇고 가느다란 눈썹이나 너무 짙은 부자연스러운 눈썹은 올드한 메이크업으로 치부되어 자연스럽고 풍성한 눈썹 관리를 위한 방법과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다. UAE에서는 지속력이 좋은 스머지프루프, 워터프루프 기능을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아이브로우 젤 대신 비누를 활용해 눈썹을 풍성하게 만들고 고정하는 방법이 인기다. 또한 눈매를 강조하기 위한 과감하고 진한 아이 메이크업이 유행하면서 그래픽 아이라이너 등 독특한 메이크업 스킬과 함께 다양한 컬러의 아이라이너와 아이섀도가 주목을 받았다. 터키도 Z세대를 중심으로 컬러 아이라이너를 활용한 화려한 아이 메이크업이 트렌드다. 데일리 룩에서도 포인트를 주기 위해 기존의 블랙, 브라운 컬러에서 벗어나 블루, 핑크, 레드, 오렌지와
LG생활건강이 글로벌 헤어케어 시장에서 입지를 확보하기 위한 M&A를 단행했다. 31일 LG생활건강은 미국 하이앤드패션 헤어케어 브랜드 Arctic Fox(알틱 폭스)를 보유한 ㈜Boinca(보인카)의 지분 56%를 1억달러(약 117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잔여지분 43.96%는 향후 4년간(‘24~’27) 매수/매도할 수 있는 콜/풋옵션을 부여했는데, LG생활건강은 이를 취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rctic Fox는 2014년 미국에서 출시된 비건 콘셉트의 브랜드다. 패션 염모제를 중심으로 SNS를 통한 디지털 마케팅을 기반으로 인스타그램, 틱톡, 페이스북 등에서 200만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하는 등 MZ세대의 호응을 받으며 지난 3년간 평균 89%의 높은 매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수요를 기반으로 미국 아마존 전체 헤어 컬러 제품군에서 1위(‘21년 8월 23일 기준), Sally Beauty(샐리 뷰티)에서 1위, Ulta Beauty(얼타 뷰티)에서 2위를 확보하는 등 주요 채널에서 Top 브랜드 입지를 가지고 있다. 글로벌 헤어케어 시장은 2020년 기준 약 90조원의 규모로, 이 중 하이엔드 헤어케어
‘2021 코스모프로프 라스베가스’가 29일 개막했다. 참가 규모는 약 500여 개사이며, 방문 바이어수는 약 40여 만명으로 예상된다는 게 주최 측의 설명. 참가 규모는 20% 정도 감소했으나 포스트 코로나를 기대하는 바이어의 참여율이 높다는 게 현지를 찾은 국내 해외전시 전문기업 코이코(KOECO 대표 김성수)의 전언이다. 상당 기간의 대면 상담이 어려웠던 점에 비춰 참가사 간 상담률이 높을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하듯 전시장은 활기를 띠고 있다고 한다. 코로나19 델타 변이의 확산으로 다소 우려가 있었으나 박람회 현장 참가와 바이어 상담률을 제고한다면 기대 이상이라는 평이 들렸다고 한다. A대표는 “박람회 1주일 전까지만 해도 진행에 대한 의문이 있었지만, 막상 참가해보니 해외 바이어와의 상담 기분이 새로웠다. 해외 진출을 위한 박람회의 중요성을 새삼 느꼈다. 한국 복귀 후 향후 해외 박람회를 통해 바이어와의 연계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성수 대표는 “2021 코스모프로프 라스베가스 한국관에 MPR브레인, 셀라니코를 포함 28개사가 참가, 미국 시장에 K-뷰티를 널리 알릴 계획”이라며 “참여 기업이 좋은 결과를 얻어 돌아갈 수 있
K-뷰티 중소기업의 수출 전선이 수상하다. 중국에서 밀려나는 대신 미국·일본·신남방·신북방 등에서 현지화를 통해 활로를 모색, 선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수출액은 7월 6.5억달러를 기록하며 순항 중이다. 8월 1일 산업통상부의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은 전년 대비 11.7% 증가하며 14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이어갔다. 산통부는 화장품의 경우 ①유튜브, SNS 등 다각화된 마케팅 창구를 통하여 K-뷰티에 대한 관심과 선호 확산 ②한국의 깨끗하고 안전한 기술력에 대한 신뢰가 브랜드 이미지로 연결 ③중국・미국・일본으로의 수출이 모두 증가 등의 특징을 보였다고 요약했다. 품목별로는 △메이크업·기초화장품 4.2억달러(+18.2%) △세안용품 0.2억달러(+14.3%) △기타 화장품 0.4억달러(-3.1%) 등이었다. 국가별로는 △중국 2.4억달러(+14.9%) △미국 0.6억달러(+19.1%) △일본 0.5억달러(+18.9%) 순이었다. 이로써 1~7월 누적 화장품 수출액은 52.7억달러로 전년 대비 31% 성장했다. 국가별로는 중국·미국·일본이 3대 수출국이다. 7월 화장품 수출 동향 특징은 ▲총 수출액 증가세 유지 ▲중국 비중 하락 ▲신남방
중국 색조시장에서 로컬 브랜드 강세가 뚜렷하다. 상반기 중국의 대표 쇼핑행사인 6·18 쇼핑축제에서 티몰(Tmall) 색조 카테고리 Top10에 로컬 3곳 vs 글로벌 브랜드 7곳이 랭크됐다. 지난해에 비해 로컬브랜드 한 곳이 늘어나며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메이크업 ODM전문기업 씨앤씨인터내셔널(대표 배은철) 중국법인 관계자는 “중국 색조시장은 화시즈(花西子, 2017년 창업), 퍼펙트다이어리(完美日记, 2018년 창업) 등의 성공과 상장에 힘입어 신생 브랜드의 도전이 거세다”라며 “Colorkey(珂拉琪 2018년 창업)가 6·18 쇼핑축제에서 Top 6에 오르면서 색조 삼국지를 형성하는 등 변화가 엿보인다”라고 전했다. Colorkey는 ‘세계 최고의 공급사를 통합하고 메이크업+패션+디자인+품질관리 등의 전문가를 모아 3억 젊은 여성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메이크업 제품’을 브랜드 콘셉트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씨앤씨인터내셔널(C&C International) 상해법인 관계자는 “한국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젊은 층을 겨냥한 로컬 브랜드의 문의가 늘고 있다. 브랜드 기획에서 출하까지 최소 2~4개월의 짧은 제품 주기에 대응하기 위해 하반기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이 2분기 매출 2조 214억원, 영업이익 3358억원을 기록, 분기 매출 실적을 경신했다. 이로써 2021년 상반기 매출은 4조 581억원, 영업이익 7063억원, 당기순이익 4852억원으로 역대 최고 실적을 올렸다고 22일 공시했다. LG생활건강은 백신 접종 확대로 코로나19 해소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감이 높았지만 변이 바이러스 발생 등으로 경영환경 개선에는 더 오랜 시간일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럭셔리 브랜드와 중국 시장 선전이 상반기 실적을 견인하며, 뷰티+데일리 뷰티 합산 전체 화장품 매출은 2조 9111억원, 영업이익 573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9%, 17.4% 증가한 수치다. 화장품 사업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빠르게 회복했다. 중국 럭셔리 시장의 경쟁 심화에도 후, 오휘, 숨 등 6대 브랜드가 호실적을 거두면서 현지에서의 인기를 반영했다. 중국 수입화장품 시장은 럭셔리 글로벌 브랜드 vs 매스·매스티지 로컬 브랜드의 양분 현상을 보이고 있다. 본지가 파악한 2분기 글로벌 브랜드의 성장률은 로레알 53% 에스티로더 46% 랑콤 24% 시세이도 49% SK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