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모리가 다이소 전용 브랜드 ‘본셉’을 4월 26일 론칭한다. 레티놀 라인 6종을 출시하고 5월엔 색조라인을 내놓는다. 브랜드명인 본셉(Boncept, BEAUTY+CONCEPT)은 본연의 내 모습을 더 아름답게 가꾸어주며 ‘나만의 뷰티 콘셉’을 만들어 준다는 의미라고 한다. 론칭과 동시에 피부 탄력과 모공케어의 고가, 고효능 레티놀을 함유하면서도 1천~5천원 대 가격으로 승부를 건다는 전략이다. 나노 리포좀 공법의 안정화된 ‘독일산 순수 비타민A 레티놀’은 캡슐 상태로 피부침투력을 향상시키며, 피부 자극을 최소화한다. 이어 △ 레티놀 2500IU 링클샷 퍼펙터-주름개선 기능성 인증을 받은 고기능성 안티에이징 크림 △ 레티놀 500IU 세럼-고농축 제형의 피부 케어 △ 레티놀 토너-앰플 타입의 보습 토너 △ 레티놀 500IU 크림-영양 보습 크림 △ 레티놀 아이크림-눈가 케어 △ 레티놀 세럼 마스크-피부 탄력 리프팅 효과 등으로 제품 간 시너지를 볼 수 있다고 소개했다. 본셉 개발담당자는 “토니모리만의 기술력과 노하우가 함축적으로 담긴 ‘본셉’은 가성비와 효능을 모두 잡은 브랜드다”라며, “다가오는 5월에는 무더워지는 계절에 활용하기 좋은 강력한 워터프루프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연작(YUNJAC, 然作)이 25일 5년 간 준비해 온 고가 스킨케어 라인 ‘알파낙스(ALPHANAX)’를 론칭하며 럭셔리 화장품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시장 양극화로 럭셔리 스킨케어 수요를 겨냥해 기존 제품보다 약 2배 이상 높은 가격대로 VIP 및 2040 영리치 고객을 정조준한다는 전략이다. 이는 럭셔리 시장이 연평균 8.6% 성장 전망에 따른 선제적 대응이라는 설명이다. (2032년 시장 규모는 4.9억 달러(약 6884억원, 비즈니스리서치인사이트 조사) 알파낙스는 개인별 맞춤형 피부 진단과 상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백화점 오프라인 매장 단독 상품으로 출시된다. 알파낙스는 알파인(Alpine: 높은 산)과 알파(Alpha: 뛰어남), 파낙스(Panax: 불로초)의 합성어.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강인한 생명력의 원료로 만든 포뮬라를 상징한다. 알파낙스 라인에는 핵심 성분인 알파낙스™ 콤플렉스(Alphanax™ Complex)가 함유되어 있다. 극한지대에서 자라는 세 가지 식물인 흑효삼, 송라, 천산설연을 최적의 조합으로 배합해 항노화에 효과적인 특허 성분을 완성했다는 설명이다. 알파낙스™ 콤플렉스에는 구증구포(9번
마케팅은 어렵다. 과잉시대이다 보니 “소비자의 95%는 자기 의지로 물건을 사지 않는다”고 한다. (Duck Tape Marketing, 존 잰스) 하물며 외국의 이름 없는 중소 브랜드가 북미를 두드리면 당연히 벽에 부닥칠 일뿐이 없다. 그래서 “구조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북미 컨설턴트 ALC21 알렌 정 대표는 말한다. 셀러(seller)인 브랜드사라면 북미 바이어(buyer)의 마인드를 읽을 줄 알아야 한다는 게다. 소비자를 알고, 바이어의 마음을 훔칠 수 있어야 한다. 이른바 초크 포인트(choke point)를 공략할 수 있어야 한다. 22일 열린 씨앤씨뉴스와 ALC21이 주최한 ‘북미 현지화 마케팅 및 글로벌 유통 세미나’에는 ‘정확한’ 마케팅을 원하는 10개사만 초대돼, ‘진솔한’ 대화를 나눴다. 기업들의 어려움은 북미 시장의 낯섦과 ‘메이저’라는 무게감이다. ALC21 알렌 정 대표는 “소비재 중에서 뷰티 아이템은 마진이 크다. 바이어들이 취급하고 싶어 하는 상품이다. 또 메이저에서 통하면 글로벌 어느 곳에서라도 판매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시장의 성격에 대해 그는 “한국에서 마케팅 목표가 매출 성적서라면 북미에선 고객 이해에 중점을 둬야
2분기 소매유통업 경기 전망은 상승했지만 유통기업들은 중국 플랫폼의 국내 진출에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500개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2분기 경기전망지수(RBSI) 전망치는 ‘85’로 전분기 보다 6p 상승했다. 기준치 100 이상이면 ‘긍정’이지만 미만이면 체감경기가 부정적이라는 뜻이다. 업태별로 백화점(97)과 대형마트(96)이 기준치에 근접했다. 또 온라인쇼핑(78→ 84), 편의점(65→ 79)은 바닥에서 벗어나면서 기대감을 드러냈다. 백화점은 전반적인 소비심리 위축에도 불구하고 경기의 영향을 덜 받는데다가 명품‧식품‧여가 등의 강화를 통해 쇼핑에다 먹거리, 놀거리, 즐길거리도 함께 누릴 수 있는 복합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다. 여기에 원화 약세에 따른 외국인 매출 증가도 기대감 상승에 한몫 했다. 대형마트는 ‘96’을 기록하며 높은 전망치를 보였다. 온라인과의 경쟁 심화에 따른 성장 정체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음에도 신선식품과 체험형 공간 확대에 따른 집객효과에다가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 등 대형마트에 대한 규제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됐다. 실제 지난해 대구시와 청주시에 이어 올해 서
통계청의 ‘2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2월 온라인 화장품 매출은 9662억원(+10%)로 11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조업일수가 짧아 전월 대비 1275억원 감소했다. 기저효과, 설 명절 특수와 물가 상승 영향으로 두 자릿수 증가율을 유지했다. 상품군별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 비중은 △ 음식서비스(98.4%) △ 아동·유아용품(84.1%) △ 화장품(82.6%) 순으로 높았다. 전월 대비 4.4%p 증가하면서 모바일에서의 화장품 구매가 보편화됐음을 알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2월 유통동향’에서는 온라인 대형 플랫폼 12개사(쿠팡 등)의 2월 매출은 18.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 특수 및 외국 온라인플랫폼에 대응한 저가 마케팅 활성화 등으로 매출이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한편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의 한국 진출에 대해 연일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유통 붕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4월 1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우리나라 소비자의 중국 온라인 쇼핑 이용실태’ 조사를 전했다. 대체적으로 중국 온라인 쇼핑플랫폼들이 초저가 상품을 앞세워 국내 시장을 공략하고 있지만 국내 소비자의 쇼핑 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는 최근 1년 이내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 전자상거래 관련 소비자 상담이 ‘23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운영하는 ’국제거래 소비자포털‘과 소비자단체가 참여하는 ’1327 소비자상담센터‘ 접수 건에 따르면 ’23년 1만9418건이 접수되어 전년 대비 17% 증가했다. 거래유형별로 소비자의 직구 상담이 1만1798건으로 69% 증가한 반면 구매·배송 대행서비스 상담은 7218건으로 17% 감소했다. 특히 해외직구 상담이 136% 늘었는데 이는 사기의심사이트와 중국 알리익스프레스 관련 상담 증가 때문으로 파악됐다.( 알리 상담건수 (’22년) 228건 → (’23년) 673건) 이와 관련 한국소비자원은 알리익스프레스와 소비자불만 해결을 위한 핫라인 구축을 협의 중이며, 다른 해외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와도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품목별로 △ 항공권·항공서비스 5254건(27.7%) △ 의류·신발 4665건(24.6%) △ 숙박(2331건(12.3%) 순이었다. 화장품은 268건(‘22) → 180건(’23)으로 전년보다 33% 감소했다. 불만 이유는 △ 취소·환급·교환 지연 및 거부 7521건(39%) △ 배송관련 2647건(14%) △ 위약금·수수료 부당청
세포라(sephora)가 한국 시장에서 철수한다고 19일 SNS 및 웹사이트를 통해 공지했다. 관련해서 세포라는 “무거운 마음으로 한국에서의 영업 종료를 결정했다. 오는 2024년 5월 6일부터 단계적으로 온라인 몰, 모바일앱 스토어, 오프라인 매장 운영을 종료하며 시장 철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세포라는 프랑스의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가 운영하며 2019년 10월 24일 삼성 파르나스 점에 1호점을 오픈했었다. 세포라 매장은 ▲해외 독점 브랜드 ▲국내 독점 브랜드 ▲니치 향수 컬렉션 ▲세포라 컬렉션 등 100여개 브랜드 라인업으로 구성됐다. 특히 한국인의 취향을 저격, 해외직구 또는 국내에 없는 유명 브랜드를 독점 공급한다는 전략을 펴며 주목을 받았다. 이후 서울 명동 롯데영플라자, 신촌 현대 유플렉스, 잠실 롯데월드몰, 여의도 IFC몰, 갤러리아 광교점 등으로 점포를 확장하며 H&B 시장의 올리브영의 아성에 도전했다. 하지만 올리브영과의 차별화가 벽에 부닥치면서 결국 사업을 접는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이미 2022년 14개 매장 오픈 목표를 세웠으나 4개에 그치면서 영업손실이 크게 증가해 버티기 쉽지 않았다. 이에 따라 국내
잘 설계된 공간은 고객을 불러들이고, 머물게 하고, 브랜드의 팬으로 만든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이 운영하는 K-뷰티의 ‘핫플’ 명동 뷰티플레이가 봄을 맞아 새단장 했다. K-인디 브랜드의 전략이 함축된 공간으로의 변신이 눈에 띈다. K-뷰티만의 체험+공간+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만남, 뷰티플레이를 방문한 이유를 만들어내는 디스플레이다. 먼저 입구와 안쪽 셀프 메이크업 존 사이 단차를 두어 진열된 화장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확장성을 강조했다. 또 평균적 매대에 빼곡하게 차지하기보다 제품과 패키징을 여유 있게 살펴볼 수 있는 진열이 시원함을 더했다. 블루밍 비건(Blooming Vegan) 코너는 카테고리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연구원 류보미 팀장은 “향수, 비건, 색조 등 기획 존(zone)을 도입해 방문객에게 즐거운 체험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 외국인에게 인기 높은 자개 및 드로잉 아트 콘셉트의 포토존도 새롭게 꾸몄다. 특히 3월부터 ‘향기체험존’에서 봄의 꽃향기 향연을 느낄 수 있도록 중소기업의 프래그런스(fragrance)를 만나볼 수 있다”고 콘셉트를 설명했다. K-인디브랜드의 수출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도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