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참 러시아’ 미용 박람회가 러시아 모스크바 크로커스 엑스포에서 10월 9일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인터참 러시아는 10월 9일~ 12일까지 4일간 진행되며, 전년 대비 확장된 전시회 규모로 많은 참관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고 해외전시 전문기업 코이코(KOECO, 대표 김성수)가 전했다. ‘인터참 러시아’는 1994년 첫 개최 이후, 유럽, 아시아, CIS 지역을 아우르는 대표 뷰티 전시회다. 금번 전시회에는 중국, 튀르키예 등 러시아와 인접한 아시아 국가 외에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들도 참가했다. 러시아의 현지 브랜드도 다양한 상품을 선보여 현지 시장 및 트렌드를 파악하기에 최적의 기회였다고 한다. 지난해 품목군을 구분하여 세 개의 홀로 진행하였던 것과 달리 금번 전시회는 총 7개의 홀에서 다양한 품목군을 선보였다. 코스메틱 및 향수 제품은 5, 9, 11홀, OEM/ODM 및 패키징은 10홀, 헤어와 네일은 각각 6홀과 7홀, 그리고 매년 많은 참가 수요를 보이고 있는 프로페셔널 코스메틱관은 7홀과 8홀에 위치하였다. 금번 한국관은 7홀과 11홀에 위치하였으며, 7홀에서는 에이치제이 코퍼레이션, 에스타 벨라, 아크메디 코리아, 비에스팜
앞으로 쿠팡, 컬리, G마켓 등 대형 온라인쇼핑몰에서도 화장품에 대한 ‘단위가격표시제’를 시행한다. 이는 슈링크플레이션을 방지하는 안의 하나로 소비자에게 정확한 가격정보를 전달하기 위함이라고 산업통상부는 밝혔다. 이와 관련 ‘가격표시제 실시요령’ 개정안을 행정예고하고 오는 10월 23일까지 의견수렴을 받는다. 단위가격표시제는 현재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의무 시행 중이며 일부 온라인쇼핑몰도 자율적으로 시행 중이다. 이번 개정안은 연간 거래금액이 10조원 이상인 대형 온라인쇼핑몰에 적용된다. 다만 온라인쇼핑몰 내 입점상인에 대한 계도기간 및 시스템 정비기간을 고려하여 1년의 유예기간을 가질 예정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즉석식품 구매 증가, 반려동물 관련 상품 소비 증가 등 새로운 소비트렌드를 반영하여 단위가격표시 품목도 기존 84개 품목에서 114개 품목으로 확대 개편하였다. 단위가격표시 품목 확대는 개정안 고시 이후 즉시 시행한다. 화장품 관련 품목으로 바디워시, 염색약, 로션, 립밤, 선크림, 마스크 등이 해당된다. 표시의무자는 대규모 온라인쇼핑몰에 입점한 통신판매업자이며, 단위가격 등 표시의무를 부담해야 한다.
베트남(3.5억달러)과 태국(1.5억달러)은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4위, 8위국.(‘24. 08월 누계) 아세안의 K-뷰티 거점 국가이자 주변국 확장의 교두보다. 최근 전자상거래 발달로 현지 소비자에게 직접 마케팅도 가능해지며 두 자릿수 성장률이 매력이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이 7일 발간한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8호(태국, 베트남 편)‘에 따르면 2024년 태국 화장품시장 규모는 전년보다 10.4% 성장할 전망이다.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소비자들이 화장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게 됐고 이로 인해 시장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것. 태국 유통사들은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의 현지 유통을 통해 매출 증대에 나서고 있다. 정샘물, 아모레퍼시픽 등 한국 화장품 브랜드와 독점 계약 또는 파트너십으로 한국 제품을 공급하는 동시에 현지화된 제품 개발을 추진하는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 확장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천연화장품이 선호되며, 태국도 이점을 활용해 허브 관련 산업을 확대하려고 있다. 아세안 국가 중 허브 수출량 1위국이 태국이다. 현지 전문가들은 정부가 화장품산업을 지원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는 허브와 화장품을 연결시키면 시장 확장이
‘말레이시아 뷰티엑스포 & 코스모뷰티 2024(Beauty Expo & Cosmobeauté Malaysia 2024)’가 10월 2일 개막, 나흘간 일정을 이어갔다. 이번 전시회는 말레이시아 코스모뷰티와 뷰티 엑스포가 통합해 개최되며 규모와 내용 면에서 변화가 있었다. 이번 전시회에는 KOTRA, 대한화장품협회가 지원하는 20개사,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6개사, 한국뷰티산업무역협회 14개사 등 모두 40개사가 참여해, 아세안 지역 수출 확대를 타진했다. Hall 5 내 통합 한국관은 스킨케어와 코스메틱 외 코스메슈티컬, 전문가용 에스테틱 화장품, 뷰티 디바이스, 패치류와 헤어/바디케어, 향수와 프래그런스 제품 등 다양한 품목을 전시하며 트렌디한 K-뷰티 이미지를 강조했다. 코트라에 따르면 사전에 KOTRA가 주선한 바이어 100여 개사를 포함해 현지 주요 바이어들과 일대일 수출 상담을 진행했다고 한다. 한국관을 방문한 바이어 A사는 “현지 소비자들에게 선보일 좋은 한국 브랜드를 한자리에서 접할 수 있었다”라며, “최근 말레이시아 바이어들은 한국에서 유행하는 주름 개선, 화이트닝, 트러블 케어 등 기능성 화장품에 관심이 많다”라고 귀띔했다. K뷰
8월 화장품의 온라인 매출은 1조 133억원(+2.5%)으로 집계됐다. 17개월째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전체 소매판매액이 감소(-1.2%)하면서 업황은 내수 정체에 빠졌다. ‘22년(37.5조원) 수준으로 회복하기엔 ’24년 예측치는 2조원대 매출이 부족하다. 그렇다고 온라인 매출이 오프라인 부진을 커버할 정도로 증가하지 못하고 있어 체력이 부치는 모양새다. 8월은 기록적인 폭염일수(21일=‘23 11일+10일), 휴일 수 증가(+1), 전년보다 이른 추석 선물 수요 등으로 오프라인(5%), 온라인(13.9%) 증가에 힘입어 전체 매출은 5% 늘었다.(산업통상자원부, 대형 쇼핑업체 대상 ’유통동향‘) 대형 플랫폼의 온라인 매출은 음식배달, 여름 보양 간편식, 화장품(자외선차단제), 반려동물 용품 구매등이 증가하여 서비스(60.4%), 식품(19.8%), 생활가정(10.8%) 등의 품목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무더위에 따른 가을 야외용품 구매 축소로 패션(△5.1%), 스포츠(△4.5%) 분야는 부진하여 전체 매출은 13.9% 증가에 그쳤다는 분석이다. (온라인 유통업체 10개사: G마켓글로벌(G마켓‧옥션), 11번가, 인터파크, 쿠팡, SSG(이마트‧신
화장품 수출이 16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가며 월간 최대인 9억달러를 돌파, 순항 중이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9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은 9.3억달러로 12.2% 증가했다. 이로써 9월 누적 74억달러(+17%)를 기록했다. 특히 하반기 글로벌 시장에서 K-뷰티 인기가 지속될 전망이어서 100억달러 달성이 기대된다. 하반기 화장품 수출의 가장 큰 특징은 미국 수출액이 중국을 추월한 사실. 7, 8월 미국향 수출은 각각 80%씩 증가하며 합계 3.7억달러였다. 이에 비해 중국 수출액은 3.3억달러로 역성장했다. 이에 따라 8월 누적 수출액은 △ 미국 12.3억달러 vs 중국 15.2억달러로 그 차이는 2.9억달러로 좁혀졌다. 그런데 미국 수출증가율은 65%로 중국 –17%와 격차가 크다. 이런 추세라면 ‘24년 화장품 수출 1위 국가는 미국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관련기사: 드디어 '화장품 수출 1위 미국'... 두 달 연속 중국 제쳐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9560 ) 화장품 수출국 순위 변동도 눈에 띈다. 일본은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며 3위를 지켰다. 베트남은 3.5억달러(+14.7%)
매년 3천개 이상의 책임판매업체가 생기고 있으며, 이에 힘입어 제조업체는 연평균 11.9%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부 기반기술 개발 사업단(단장 황재성)은 ‘23년 화장품 생산 및 실적을 분석한 결과다. 식약처에 따르면 ’23년 기준 화장품 책임판매업체는 31,524개, 제조업체는 4,567개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2.5%와 0.4% 증가한 수치다. 특히 책임판매업체는 지난 10년간 연평균 23.1% 증가하고 있으며, 제조업체 증가율(11.2%) 및 화장품 생산 증가율(5.5%)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책임판매업체의 증가율은 둔화되었으나 여전히 매년 3천개 이상의 새로운 업체가 생겨나고 있다. 제조업체도 국내외 위탁생산 증가와 OEM 기업 성장에 힘입어 최근 5년간 11.9% 성장 중이다. 하지만 책임판매업체 중 38%에 해당하는 1만 1861개사만 생산실적을 보고했다. 2016년 61%의 기업이 보고한 데 비해 해마다 감소 추세다. 이에 대해 사업단은 “책임판매업체의 급격한 증가는 산업 성장의 자연스러운 결과로 볼 수 있지만, 동시에 소규모 업체의 난립으로 산업 기반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이에 따라
미국이 중국을 추월하며 7, 8월 연속 화장품 수출 랭킹 꼭대기에 올랐다. 이는 화장품 수출 사상 역대 최초 기록이다. 또 세계 화장품 시장 규모 1위 미국에서 한국 화장품의 ’글로벌 경쟁력 입증‘을 뜻한다. 28일 대한화장품협회에 따르면 미국 vs 중국의 월별 수출액은 ▲ 7월 1억 7400만달러 vs 1억 6600만달러 ▲ 8월 1억 9500만달러 vs 1억 5700만달러로 나타났다. 미국과 중국 수출액은 6월 800만달러 차이로 좁혀졌다가, 7월 미국향 수출 실적이 중국을 800만달러 차이로 누르며 1위에 올랐다. 이어 8월 미국과 중국 수출액 차이는 3700만달러로 더욱 벌어졌다. 미국 vs 중국 월별 증가율도 ▲ 7월 80% vs –16% ▲ 8월 80% vs –24%로 그 격차가 커졌다. 이런 추세라면 ’24년 누계 실적에서도 미국이 중국을 추월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향 화장품 수출은 아마존, 울타뷰티, 월마트, 타겟, 세포라 등에서 한국의 인디 화장품을 대거 입점시키면서 변화가 감지됐다. 인스타그램, 틱톡 등 SNS를 통한 저비용, 고효율 마케팅이 효과를 보이면서 코스알엑스, 아누아, 구달, 조선미녀, 티르티르, 스킨1004 등이 매출 호조를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