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은 ‘오설록사업부’를 ㈜오설록에 양도한다고 20일 공시했다. ㈜오설록은 아모레퍼시픽의 100% 자회사이며 9월 기업집단의 소속회사로 편입하며, 10월 1일 독립경영체제로 출범한다. ㈜오설록의 2019년 6월말 자산은 367억원, 부채는 82억원이며, 매출액은 504억원이다. 양도 목적은 오설록 사업의 확장 및 경쟁력 강화 때문이라고 아모레퍼시픽은 밝혔다. 우리나라 고유의 차 문화를 전수하며,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티 브랜드인 ‘오설록’은 1979년 서성환 선대회장이 제주도 한라산 남서쪽 도순 지역을 개간하며 시작됐다. 수천 편의 국내외 논문을 검토하며 황무지를 일궈 100만평 규모의 비옥한 녹차밭을 조성하면서, 한국 차 문화의 대표 명소로 부각됐다. 서광차밭, 돌송이차밭, 한남차밭 등을 아우르는 오설록 유기농 차밭에서 생산된 차는 눈 쌓인 한라산 정상의 모습(雪)과 푸르른 차밭(綠)의 장관에 탄복하는 감탄사 ‘오’와 어우러진 오설록 브랜드로 우리나라 고유의 차(茶) 문화 부흥에 앞장서 왔다. 이후 40년간 오설록은 친환경 유기농 재배기술을 통해 미국 농무부의 USDA-NOP, 유럽의 EU-Organic을 비롯한 대표 유기농 인증을 획득하
일본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제외와 관련, 화장품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의 경우 선크림에 들어가는 이산화티타늄 분말과 세안제용 부틸렌글라이콜, 마스크팩 시트, 향료 등이 일본산 원료 수입비중이 크다는 보도가 나왔었다. 하지만 전략물자관리원은 화장품에 사용되는 ‘고순도 이산화티타늄 분말’은 전략물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19일 대한화장품협회는 공식 설명을 통해 화장품 분야에서 3개 성분(트리에탄올아민, 알루미늄분말, 철분말)을 제외한 다른 원료는 전략물자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한 3개 성분조차도 최근 3년간 일본에서 수입된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명규 부회장은 “화장품 원료는 범용 원료라서 세계 각국에서 생산되는 원료로 대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에 따른 영향은 없다”고 확인했다. 실제 트레에탄올아민은 독일·미국 등에서, 알루미늄분말은 미국에서 수입되며, 철분말은 국내에서 생산된다는 것. 앞서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는 작년 한국이 일본에서 수입한 화장품 원료는 1억 3489만달러(약 1636억원)로 전체 수입 물량 중 23.5%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한때 일본산 원료 수입 비중이 절반에 달했지만 후쿠시마 원전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8월 수상자로 화장품용기회사인 (주)대경피앤씨 박규수 대표가 선정됐다. 대기업부문은 네이버랩스(주) 석상옥 대표가 수상했다. 박규수 대표는 제약 및 화장품용기 분야의 연구개발을 통해 디자인, 금형, 제품생산기술을 상용화하여 우리나라 자체 용기개발 및 생산 수출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첨단 제약용기 개발과 생산은 기술난이도가 높고, 높은 초기 투자비와 장기간의 개발 일정으로, 해외 수입 의존도가 크다. 이에 박 대표는 제약 및 화장품 용기의 정확한 치수와 이물질 및 스크래치 방지 기술의 정확도를 99% 이상 확보하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불량률을 개선해 한국산 용기 기술의 국산화를 이끌었다는 평가다. 박규수 대표는 “제약 및 화장품 생산회사와 더욱 긴밀한 협력을 통해 용기의 생산기술의 연구개발 활동을 지속해 세계 최고의 용기생산기술로 발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화장품 용기는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제조회사의 요구사항을 반영해야 하기 때문에 설계 및 분석기술의 고도화가 요구된다. 이에 박 대표는 ▲사용 편리성을 기반으로 한 용기 설계기술 ▲정량적으로 용기를 조립하고 평가하는 기술 ▲각종 용기의 성능과 치수
우리나라 자생식물 개서어나무의 추출물이 환경 유해물질로부터 뛰어난 세포 보호효과가 있음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 등재, 안티폴루션 화장품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19일 국립생물자원관(관장 배연재)이 밝혔다. 개서어나무는 산지의 숲속에 자라는 낙엽·활엽 큰키나무로 높이 15미터, 지름 70센티미터에 이른다. 주로 경상남도, 전라남북도, 제주도 등에 자생한다. 민간요법에서는 초봄에 채취한 수액을 견풍건(見風乾)이라 하여 골다공증 치료에 썼다. 연구진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기능인 항산화 활성이 뛰어날수록 오염물질로 인한 독성반응과 염증반응을 제어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데 착안, 자생식물 437종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했다. 이중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 자생식물 추출물 50여 종을 대상으로 오염물질에 의한 세포독성 저감 효과를 연구했다. 이를 위해 미세먼지의 구성성분(방향족 탄화수소 등)과 직경(10㎛)이 유사한 경유(디젤)화합물을 자극원으로 사용하여 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Cell Lines, HaCaT)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했다. 연구결과 각질형성세포에 경유화합물을 처리하면 세포생존율은 8% 미만으로 감소하나 개서어나무 추
7월 16일부터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일부개정법률(생활방사선법)’이 시행된다. 이에 따라 모나자이트 등 방사성 원료물질의 화장품, 비누, 향수 등과 같이 신체에 바르거나 뿌리는 제품에 사용이 금지된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방사성 원료물질의 부적합한 사용을 원천 금지하고 방사성 원료물질 수입부터 해당 물질을 사용한 가공제품의 제조·판매까지 관리를 강화하는 등 생활방사선 안전관리체계를 대폭 강화한다”고 밝혔다. 방사성 원료물질은 천연방사성핵종의 농도가 기준치(우라늄 238, 토륨 232는 그램당 0.1 베크렐(0.1Bq/g), 포타슘 40은 그램당 1 베크렐(1Bq/g))를 초과하는 물질을 말한다. 생활방사선법의 주요 내용은 신체 밀착제품 방사성 원료물질 사용금지를 규정하고 있다. 화장품의 경우 화장품법 제2조 1항의 화장품 전부를 포함한다.("화장품"이란 인체를 청결ㆍ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ㆍ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바르고 문지르거나 뿌리는 등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여기에는 쌍꺼플용 테이프 및 인조속눈썹, 티슈, 면봉, 수건, 세척제, 칫솔,
식약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OECD 승인 피부감작성 동물대체시험법의 국내 도입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간했다. ‘화장품 동물대체시험법 가이드라인’에 수록된 시험법은 인체피부각질세포에서 항산화반응인자(ARE-Nrf2)의 조절을 받는 특정 효소(루시퍼라아제)의 발현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피부감작성 반응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는 UN GHS 기준에 따른 피부감작물질과 비감작물질을 구별하는데 사용하는 시험법이다. 때문에 피부감작성 독성발현경로의 두 번째 핵심 단계인 ‘각질세포의 활성화’에 대한 생체외 시험이다. 유전자의 항산화 반응요소에 의해 전사(transcription) 조절을 받는 루시퍼라아제(Luciferase) 유전자를 안정적으로 삽입한 인체 각질세포주를 사용한다. 발현 수준은 발광측정기(luminometer)를 통해 측정한다. 시험법은 두 단계로 이뤄진다. 첫째는 세포독성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이고, 둘째는 루시퍼라아제 발현을 평가하는 단계다. 결과 판성 시 세포독성(즉 세포생존율이 70% 이상)이 없는 두 개의 연속적인 시험농도에서 용매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루시퍼라아제 유도가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적어도 세 개의 시험
‘인코스메틱스 코리아 2019’가 행사 기간 동안 9044명의 퍼스널케어 전문가가 참여했다고 주최측이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29% 증가한 수치다. 세계 화장품업계는 역동적인 트렌드와 신기술 관련 K-뷰티에 대한 관심을 반영 로레알, P&G, 디올 등 글로벌 브랜드들이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는 280개 원료업체가 참가했으며, K-뷰티 인스피레이션존(Inspiration Zone)이 선보여 화제를 모았다. K뷰티의 성장 잠재성과 비즈니스 기회 등, 활발한 한국 퍼스널 케어 시장의 핵심적인 측면을 요약한 전시였다. 이와 함께 민텔(Mintel)이 케모포비아(chemophobia, 화학물질 공포증)와 같이 향후 K뷰티에 영향을 미칠 미래의 뷰티 트렌드 20가지를 설명했다. 올해 이노베이션 존은 전시회 중심에 자리해 연구개발(R&D) 전문가에게 가장 영감을 주는 원료와 제품 콘셉트를 알아내는 코너였다. 참관객들은 전시된 여러 포뮬레이션 시제품을 보고, 만지고, 느끼고, 테스트하며 영감을 얻을 수 있다. 전시된 시제품의 한 예로, 나올리스(NAOLYS)의 활성성분인 옵티멈 라이프 안젤리카(Optimum Life Angelica)는 호흡, 영양
황기가 자외선으로 생긴 피부염증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4일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열처리 과장을 거친 ‘가공 황기’가 자외선(UVB) 손상으로 생긴 피부염증 억제 효과가 있음을 인공피부 실험을 통해 입증됐다고 밝혔다. 자외선 UVB는 피부조직과 DNA에 손상을 주어 광노화를 일으킨다. 광노화는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돼 생긴 피부 노화로 피부염증, 미세 주름, 색소 침착 등을 일으킨다. 연구진은 생황기를 200℃에서 30분간 열처리하고 쉬는 과정을 반복해 가공 황기를 만든 뒤, 이를 자외선으로 손상된 동물실험 대체용 인공 피부에 발라 경과를 지켜봤다. 그 결과, 손상된 인공 피부의 염증 인자(COX-2, iNOS, p65, Ikb-a)의 발현이 최소 30%에서 최대 70%까지 억제됐다. 또 면역‧염증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단백질(사이토카인) 생성도 최대 75%가량 억제됨을 확인했다. 시험 결과 가공 황기가 생황기보다 50% 더 효과가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 특히 가공 황기가 세포 내 신호 전달을 하는 미토겐활성화단백질키나아제(MAPK)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해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자외선 피부 손상을 차단하는 점도 밝혀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