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의 꽃잎 추출물이 피부 미백 효과가 있다는 게 밝혀졌다. 3일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과 제주대 김기영 교수팀의 공동연구에 의하면, 무궁화 꽃잎의 안토시아닌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기미, 잡티, 노인성 반점 원인인 멜라닌 색소 합성을 억제한다는 것. 안토시아닌은 과일과 채소 등에서 붉은색과 보라색을 나타내는 색소 성분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아 노화 방지, 면역력 강화, 당뇨 심혈관 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안토시아닌이 생체 내 멜라닌 색소 합성 저해에 따른 피부 미백 효능 관련 기작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공동연구팀은 무궁화 ‘백단심’과 ‘불새’ 품종의 꽃잎 추출물을 멜라닌 합성 호르몬(α-MSH)이 활성화된 조건에서 제브라피쉬 배아에 0∼400㎍/㎖ 농도로 처리했다. 그 결과 멜라닌 합성이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92% 수준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했다. 고농도의 처리구에서도 배아의 심장 박동수가 정상으로 유지됨으로써 꽃잎 추출물의 무독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무궁화 꽃잎의 붉은색 부분에 포함된 17종의 안토시아닌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진피세포에서 세포 외 신호조절 인산화효소(ERK)의 신호전달 체계를 활성화함으로써, 멜라닌 합
녹차유산균 엑소솜(Exosome)이 피부 항염증 효과가 있다는 논문이 국제저널 Journal of Extracellular Vesicles 7월 17일 자 온라인판(volume 9)에 게재했다.(논문명: Lactobacillus plantarum-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duce anti-inflammatory M2 macrophage polarization in vitro) 저자는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의 녹차유산균 연구센터(Green Tea Probiotics Research Center) 조은경 수석연구원과 연구 그룹. 센터는 올해 2월 개소 이래 제주 유기농 차밭에서 독자적으로 발견한 새로운 식물성 녹차 유산균주(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P설록 331261(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소재의 효능을 밝히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를 인체에 서식하는 미생물 및 그 유전정보를 일컫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연구로도 확장하고 있다. 그동안 연구센터에서는 녹차유산균이 기존 유산균주보다 장과 위에 우수하다는 효능을 밝혀냈었다. 이번에 녹차유산균 유래 엑소솜이 사람의 피부
‘CI KOREA 2020(국제화장품 원료·기술전)’가 7월 27일 고양 킨텍스 1전시장에서 열렸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해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한 가운데, 예년의 분위기를 기대하긴 어려웠다. 다만 화장품산업계의 3대 키워드인 뉴패러다임+지속가능경영+융복합을 주제로 한 ‘제1회 CI KOREA 컨퍼런스가 동시 개최돼, 트렌드 탐색에는 도움이 됐다. 3일 동안 더케이뷰티사이언스가 진행하는 ’뉴패러다임‘ 세미나는 화장품 연구개발의 흐름과 패턴을 집중 조명했다. ’중국 시장과 규제 동향 워크샵‘은 REACH24H 주관으로 열렸다. 손성민 책임연구원은 “내년 1월 1일 시행되는 화장품관리감독조례의 ’신원료 등록 규정‘은 그동안 신원료 등록에 인색했던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를 보여준다”며 “신원료 신제품으로 중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①중국으로 원료 수출 ②완제품 수출 등의 절차를 진행하면 된다”고 소개했다. 화장품관리감독조례의 신원료의 의미는 “중국 영토에서 화장품에 처음 쓰이는 천연성분이나 인공성분”을 말한다. 그는 “신원료(NCI) 등록은 현재 규정상 매우 어려운 편이지만, 저위험 원료의 신원료 신청기간은 줄어들게 된다. 특히 제품의 안전성 관련해 정부보
산과 들의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인 콩제비꽃 추출물이 모발 성장 및 탈모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과 제주대는 공동연구를 통해 ‘콩제비꽃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을 특허 출원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실험용 쥐에서 추출한 모유두세포(포유류의 섬유아세포로 모낭의 형성, 모발의 생장에 중요한 역할)에 콩제비꽃 추출물을 적용한 실험에서 모발 성장 및 탈모 억제에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학계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내용이다. 연구진은 콩제비꽃 추출물 0.1μg/ml를 모유두세포에 처리했을 때 모유두세포가 증식했으며,현재 발모제로 쓰이는 미녹시딜(처리량 2μg/ml)과 효과가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것을 확인했다. FDA 승인을 받은 발모제 약물인 미녹시딜, 파나스테라이드는 고혈압 치료용 혈관확장제로 개발되었다가 부작용으로 다모증이 보고되면서 발모제로 쓰이고 있다. 즉 모유두세포가 증식하면 발모 및 탈모 억제에 효과를 보인다. 콩제비꽃 추출물은 모유두세포의 증식 주기를 활성화하는 사이클린D1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고, 증식 주기를 억제하는 p27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다. 콩제비꽃
제주도에 국내 세 번째 ‘국가생약자원관리센터’가 들어선다. 식약처는 오는 29일 ‘제주 국가생약자원관리센터’ 기공식을 식약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 생방송으로 진행한다고 오늘(27일) 밝혔다. 제주센터는 한약재의 품질관리 기준이 되는 표준생약을 확보하고 각국의 생물자원 주권을 인정하는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대응하기 위해 옥천, 양구에 이어 새로 설립된다. 서귀포시 상효동에 들어서는 제주센터는 △아열대성 생약자원을 재배하는 재배장과 온실 △생약표본 보존·연구하는 연구동 △표본 전시 및 체험활동을 위한 전시동으로 구성된다. 식약처 관계자는 “제주센터 신축으로 수입 의존하는 아열대성 생약자원을 확보, 보존하며, 국내 천연물의약품 개발이 활성화되도록 관련 연구를 수행 지원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29일 11시부터 시작되는 온라인 기공식에는 ▲환영사·축사 ▲생약자원 관리 중요성에 대한 출연자 대담 ▲공사현장 소개 및 관계자 인터뷰 ▲마을주민 인터뷰 ▲퀴즈 이벤트 순으로 방송될 예정이다.
붉나무 추출물에서 항산화 및 미백효과 개선용 유효성분을 확인했다고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과 한국수목원관리원 국립백두대간수목원(원장 김용하)이 22일 밝혔다. 공동연구에 따르면 옻나무과에 속하며 전국 산야에 자라는 붉나무((Rhus javanica L.)의 잎, 가지, 뿌리의 추출물을 이용해 생리활성 연구를 수행한 결과 항산화, 미백,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향후 화장품 원료 및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을 위한 산업화 연구를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국립수목원은 독성 산림생명자원의 가치 발굴을 위해 ‘독성 산림식물의 수집, 분류 및 평가연구’를 추진, 이들 독성식물에서 신규 유용물질 발굴 및 효능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국내 주요 독성식물에 대한 독성 강도, 유용물질 분리 및 유용성 DB 구축, 산림생명 특화소재 개발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오승환 과장은 “독성 산림생명자원은 학술적, 산업적으로 잠재적 활용 가치가 큰 미래바이오산업의 원천 특화 분야로, 국내 독성생물자원의 신가치발굴을 통한 바이오산업에 대한 실용화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해양미세조류에서 체지방을 줄여주는 물질을 추출, 화장품에 활용 가능한 표준원료가 개발됐다. 12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강릉분원 스마트팜융합연구센터) 김상민 박사팀은 체지방 감소 효능이 있는 ‘푸코잔틴(fucoxanthin)’을 추출, 대량생산 기술과 공정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푸코잔틴은 미역과 다시마 등 해조류의 색소 성분으로 항비만, 항산화, 노화 억제 등의 효능이 있다. 이전까지 미역 등에서 추출된 푸코잔틴은 순도가 낮고 점성이 높아 식품 외 분야에는 활용이 제한됐었다. 이번에 개발 성공한 해양미세조류 추출물은 기존 해조류 추출물보다 푸코잔틴 함량이 5배 이상 높고 점성이 낮아 식품은 물론 화장품, 의약품 등에 활용이 기대된다. 연구팀은 2015년부터 해양수산부의 ‘해양미세조류 색소 기반 고부가 소재 및 활용기술 개발’ 과제를 수행했으며, 2017년 해양미세조류 추출물의 동물실험에서 복부지방이 감소하는 항비만효과를 입증했다. 이어 인체 적용시험에서 섭취 6주 후에 체지방 및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 관련 내용은 2019년 5월 해양바이오 식품 및 의약분야 국제학술지인 ‘Marine Drugs’에 게재됐다. 이후 추출물의 제조 및 대량생산 기술
화장품 ODM OEM 전문기업 ‘유씨엘(대표 이지원, www.e-ucl.co.kr)’이 세계적인 비건 인증 기관 프랑스 이브(EVE; Expertise Vegane Europe)사로부터 화장품 생산 설비에 대한 비건(VEGAN) 인증을 획득했다. 비건은 동물 권리와 환경, 윤리적 소비를 중요시하는 행태와 함께 제조 과정에서의 윤리성이 부각되면서 동물 원료로 만들어진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비건 라이프스타일’을 포함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유럽 전역은 물론 전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이브사는 비건 프랑스 협회가 설립한 단체로 화장품을 비롯해 식품, 섬유, 건강보조제 등 비건 제품에 대한 인증 및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유씨엘은 원료의 제조 공정도, 원천 확인서, 동물 실험 및 동물성 원료 배제 등 서류심사와 제조시설과 설비의 청결도 등을 포함한 현장실사를 최종 통과해 생산설비에 대한 이브비건 인증을 얻게 됐다. 이에 유씨엘 인천 공장과 제주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은 비건 인증을 원하는 고객사에 발 빠른 대응을 할 수 있게 됐다. 유씨엘 연구소에서는 이미 비건 인증 가능 처방 라인을 개발 완료한 바 있다. 한편 유씨엘은 업계 최초로 M-ODM 개념을 도입해 다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