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 코스메틱(mass cosmetic)이 범용이라면 에스테틱(esthetic)은 독창성이 강조된 제품이다. 특히 예민성·문제성 피부 개선은 전문가(esthetician)의 서비스가 필수다. 에스테틱은 미용학(cosmetology)으로도 불린다. -ology(學)가 붙으면 지식의 체계란 뜻. 유해환경으로부터의 자극과 피부 노화를 지연시키는 고도의 산업화가 요구된다. 프로페셔널 시장으로 성장성이 기대된다. #1 Made in Korea 호치민시의 베트남미용박람회에서 만난 MK유니버셜의 이미경 대표는 “MK는 에스테틱 외길만 걷는다. 일부 기업들이 매스 코스메틱으로 옮겨가면서 시장의 신뢰가 무너졌었다. 하지만 MK는 대한민국 에스테틱 시장의 자존심이자 리딩기업으로 성장 중”이라고 강조했다. MK유니버셜의 이미경 대표는 ’대한민국‘ 넉 자를 ’가슴 뛰게 하는 단어‘라고 말한다. 엠케이의 MK도 ’Made in Korea No. 1’에서 땄다. MK의 발걸음은 늘 글로벌을 향해 있다. 16개국에 수출하며, 2017년 1천만 달러 수출 탑을 받았다. 이 대표는 MK의 네이밍과 관련 에피소드를 소개했다. 이른바 ‘옥상사건’이다. 이미경 대표는 회사 설립 후 국내 브랜드
메타브랜딩&디자인은 △브랜드의 중국 네이밍 및 디자인 △온라인 마케팅 및 웨이상 판매 연계의 전문가 그룹으로 꼽힌다. 특히, 메타브렌드의 중국 법인 메타브랜딩&디자인의 수장인 김민수 총경리는 중국 진출 기업의 애로사항인 상표등록 대행 서비스를 기획한 장본인이다. CNC NEWS는 중국 시장 진출을 준비하거나 진출 후 어려움에 처한 중소기업을 위해 ‘김민수 칼럼’을 새롭게 연재한다. 김민수 총경리는 본지를 통해 ‘중국 시장 진출 시 성공적인 브랜딩을 위한 전략’을 대주제로 다양한 사례를 엮을 계획이다. 그간의 컨설팅 경험과 사례 중심의 생생한 칼럼이 기대된다. 이에 독자의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중국 현지에 있는 메타브랜딩&디자인 김민수 총경리와의 서면 인터뷰를 게재한다. <편집자 주> 반갑습니다. 김민수 총경리님. 먼저 독자를 위해 ‘메타브랜딩&디자인’의 간략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반갑습니다. 메타브랜딩의 중국법인인 메타브랜딩&디자인(중문 上海敏凯设计咨询有限公司)의 김민수 총경리입니다. 메타브랜딩은 ‘좋은 브랜딩으로 세상을 아릅답게 만든다’를 모토로 1999년 설립된 국내 최대의 브랜딩 서비스 회사입니다. 이미
유독 ‘K-뷰티 유럽진출 청신호’ 보도에 몸서리쳤다. 실상을 알아서다. 오히려 “유럽을 포스트차이나 시각으로 접근하면 안 된다”고 경고하는 사람. 작년 11월 유럽지사장으로 인생의 제2막을 연 조성선 SD생명공학 이사다. 8개월... 그는 유럽 곳곳으로 출장을 다녔다. 시간이 갈수록 현지에서 격감한 K-코스메틱의 미래는 무거웠다. 유럽에서 K-뷰티의 브랜드가 자취를 감추고 있어서다. 특히 1등을 지킬 것 같았던 마스크팩 시장은 이미 로레알과 에스티로더 등 글로벌 브랜드에게 주도권을 내줬다. 조성선 SD생명공학 유럽지사장은 “유럽에 한국 브랜드는 없다. Made in Korea만 있을 뿐”이라며 K-뷰티의 위기를 내다봤다. 그래서 “준비되지 않은 브랜드가 개별적으로 뛰어들어서는 안 되는 곳, 섣불리 아이디어·콘셉트만 빼앗기는 시장이 유럽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1. Made in Korea ‘유럽 브랜드’ 판친다 조성선 유럽지사장의 주요 일과 중 하나는 오프라인 채널 둘러보기다. 화장품이 주 업무지만 콜래보레이션을 대비해 패션이나 액세서리 동향도 함께 체크한다. 거주지인 독일 외 출장 간 지역의 리테일도 꼼꼼히 살펴야 직성이 풀린다. 조성선 지사장은 “작년
이태희 (주)리디아위밍 대표가 뿔났다. 정품인증 플랫폼을 둘러싸고 중국업체 농간에 빠지지 말라는 애끓는 호소와 함께. 이 대표는 지난 5월 29일 서울시청 앞 중국 업체의 정품인증 전시회가 ”기만‘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수출이든 내수든 정품인증을 하는 이유는 우리 회사가 만들었다는 제3자 인증이 목적이다. 그런데 국내시장이나 생산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중국 업체의 인증을 받아들인다는 건 중국에 귀중한 데이터를 송두리째 내주는 꼴”이라고 강조했다. #1 QR코드에서 마케팅 데이터 얻으려면... 이 대표는 “중국의 정품인증 플랫폼은 단순히 QR코드를 이용한 인증일 뿐, 제품 생산자의 제품 소개 및 소비자 데이터가 중국인증업체로 넘어감으로써 추가적인 마케팅 기회를 잃어버리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검역을 통관하려면 중국 업체를 이용해야 하며, 자신들만이 중국정부로부터 정품인증사업에 대한 모든 것을 지정 받았고, 또한, 모바일 기술은 중국이 한국보다 앞선다는 등 현혹에 주의해야 한다”며 “QR코드는 어려운 기술이 아니며 한국과 중국 동일하며, 한국 업체의 QR코드도 중국에 등록되어 있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2015년 특허침해 및 모조품 처
#1.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코스메틱을 사랑하는 모임-코메당’ 페이스북에서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로 불리는 유명인이 김주희 한국인터텍테스팅서비스 이사다. 여기서 ‘밥=rice’은 마케팅을, 누나는 연결자(connector)를 말한다. 다시 말해서 ‘화장품을 팔아주려고 노력해주는 예쁜 파트너’ 쯤 되겠다. 제품을 팔아준다는 게 유통전문가란 뜻은 아니다. 대신 잘 팔리도록 화장품 입문 단계에서 제대로 컨설팅 해준다는 의미다. 바로 ATIC이다. 화장품법 제20조는 식약처장의 화장품에 대한 검사명령을 규정하고 있다. 이 조항에 따라 ‘식품의약품분야 시험검사등에관한법률’ 제6조제2항제5호에 따른 화장품시험검사기관 중 하나가 한국인터텍테스팅이다. 김주희 이사는 화장품 개발 담당자(Business Development Director)다. ATIC은 △보증(assurance) △시험(testing) △검사(inspection) △증명(certification)의 4단계를 말한다. 단순히 ‘시험성적서’라는 요식행위로 보면 곤란하다. 진짜 제품을 잘 팔기 위해서라면 첫 단추인 ATIC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게 김 이사의 말. ”화장품을 만드는 이유는 잘 팔리도
잉글우드랩 데이빗 정 회장이 2015년 설립한 파머시(Farmacy)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 전략과 K-뷰티 발전을 위해인디(indie) 뷰티 브랜드와의 협업 계획을 밝혔다. 4월 23일 코스메카코리아에 잉글우드랩의 매각 공시 후 기자와 만난 데이빗 정 회장은 “천성적으로 어머니에게 물려받은 개척정신이 내게 새로운 도전을 일깨워준 일주일이었다”고 말했다. 지난주 내내 데이빗 정 회장은 잉글우드랩의 미래에 대해 엄청난 고민을 했다고 토로했다. 지난 1년여 동안 미국 글로벌 브랜드의 지인들은 오딧(audit) 통과에 따른 오더 주문과, 아시아 시장을 겨냥해 잉글우드랩을 전진기지로 하는 방안을 놓고 데이빗 정 회장과 지속적인 의견을 나누었다고 한다. 이에 부응하고자 지난해 미국과 한국의 공장 신축 및 증설, 일본콜마와의 협업 등 시스템 구축을 마치고 올해 본격 도약을 다짐했다고 한다. 그 와중에 “코스메카코리아와의 매각 협상이 불거졌고, OEM/ODM 전문기업의 역량을 다시 들여다보게 됐다”고 그는 전했다. 매각 결심엔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개척정신(frontier spirit)'이 새삼 그를 꿈틀거리게 했다고 한다. 12세 때 어머니를 따라 기회의 땅인 미국에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이하 화중협)이 발기인 및 회원 모집에 나서 업계 관심이 높다. 지난 3월 2일 코메당(코스메틱을 사랑하는 모임)을 통해 본격 활동에 들어간 추진위원회는 23일까지 1차 발기인 및 일반회원을 모집한다. 이와 관련 박진영 화중협 추진위원장(코스메랩 대표)으로부터 협회 설립 취지와 향후 계획 등을 들었다. Q 협회 발족에 업계의 관심이 높습니다. 취지를 설명해 주십시오? A 작년 화장품 수출이 50억 달러를 달성,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으며 이중 80%가 중소기업이 올린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편으로 국내 화장품 업체 수는 1만 2000개를 넘어섰습니다. 중소기업들은 매출액이 미미하고 경쟁력이 낮아서 각각의 기업이 개별적으로 뛰어서는 수출 경쟁력 향상이 더딜 수밖에 없습니다. 각 사의 이익 추구를 위해 열심히 뛰면서 ‘K-뷰티의 수출’이라는 공동 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공동 자원 활용, 공유 가능한 부분을 만들자는 데 많은 분들과 인식을 같이 했습니다. Q 화장품 중소기업이 가장 목마르게 생각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A K-뷰티가 꽃 피운 지 10년 정도여서, 중소기업의 경우 조직·해외 지사·인프라·인력 면에서 대기업에 비해 열악할 수
변화(change)와 기회(chance)는 글자 하나(g→c)만 바꾸면 된다. 작은 변화이지만 전부일 수 있다. 인사(人事)는 만사라고 했다. 변화를 기회로 만드는 첫 단추는 인사다. #1 봄은 왔으나 인사로 어수선한 분위기 화장품 업계에 봄은 왔으나 파고(波高)가 높다. 제1파는 브랜드사의 사옥 이전 붐이다. 아모레퍼시픽이 작년 말 용산 신사옥 입주를 시작으로 잇츠한불, 토니모리, 에이블씨엔씨 등이 사옥 이전 또는 확장해 분위기 쇄신에 나섰다. 제2파는 정기인사와 함께 작년 실적에 따른 임원 이동, 조직 정비 등이다. 제3파는 차이나 충격을 벗어나 K-뷰티의 모멘텀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다. 잇단 파고는 작년 실적이 그만큼 부진했음을 반증한다. 이제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어 갈 게임 체인저(game changer)가 필요한 시점이다. 화장품 업계의 전문 헤드헌터인 최선희 HR비즈코리아 대표로부터 업계 고용사정과 인사 채용의 매칭 노하우를 들었다. 그는 “화장품 업계는 타 분야에 비교해 성장과 더불어 덩치를 불린 기업이 많아 고용이 늘고 있다. 임원급은 자체 수급이 가능한 빅2에서 중견기업으로의 이동이 눈에 띈다. 이들은 실제 헤드헌터를 통하기보다는 인맥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