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화장품의 대 캐나다 수출액이 큰 폭 증가해 업계의 관심이 뜨겁다. 대한화장품협회의 1~9월 누적 화장품 수출액을 보면 상위 20대 국가 중 13위에 랭크된 캐나다의 수출액은 4474만달러로 전년 대비 52%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몽골(55%)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이다. 특히 캐나다는 북미 화장품 테스트 시장이자 미국 진출 교두보로 여겨지는 중요한 포인트여서 K-뷰티의 수출다변화의 중점 지역이다. 이와 관련 ㈜코리안프렌즈(Korean Friends, 대표 장준성)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해외 화장품 홍보 팝업부스 사업’의 일환으로 선진시장인 캐나다 진출 물꼬를 트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기자와 만난 장준성 대표는 “지난 8월 캐나디언과 함께하는 B2B2C 박람회에 참가해 바이어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2, 3차 미팅 등 현지화를 통한 K-브랜드 노출 및 시장환경 분석을 시행했다”라며 “현재 3개사와 구체적인 공급 계약을 맺기 위한 막바지 작업 중”이라고 전했다. ‘해외 화장품 홍보 팝업부스 사업’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국내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및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해외진출 활성화 견인을 위한 홍보·마케팅 지원 사업이다. ㈜코리안
㈜아모레퍼시픽(대표이사 안세홍)은 미국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한 M&A에 나서 시장에서 한껏 기대감을 모았다. 1일 아모레퍼시픽은 미국의 럭셔리 클린 뷰티 브랜드 ‘타타 하퍼(Tata Harper)’의 운영사인 ‘Tata’s Natural Alchemy’ 지분 100%를 인수한다고 공시했다. 인수가액은 1681억원(미화 1억2500만달러)이다. 현재 미국 뷰티 시장을 주도하는 트렌드는 단연 ‘클린 뷰티(Clean Beauty)’다. 타타 하퍼는 이런 트렌드를 선도하며 가파르게 성장 중인 럭셔리 스킨케어 브랜드다. 2010년 출범 이래 제품 개발부터 포장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서 철저한 클린 뷰티의 원칙을 고수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유전자 조작 원료(GMO), 첨가제, 인공 색소 및 향료, 합성 화학물질 등이 포함되지 않은 100% 자연 유래 성분만을 사용하며 북미 시장에서 탄탄한 팬덤을 구축하고 있다. 네타포르테, 컬트 뷰티 등의 온라인 채널 및 세포라, 니만마커스 등 800개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 중이다. 아모레퍼시픽은 이번 인수를 통해 북미 뷰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타타 하퍼와 함께 강도 높은 마케팅 활동을
수출 2위 국가인 미국 시장 진출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미국 OTC 모노그래프 사용자 수수료(OMUFA)'에 대해 꼭 알아야 할 FAQ를 정리, 소개한다. 웨비나에서 빈도수가 높은 질문 중에서 선별했다. 응답은 FDA 전문컨설턴트인 존 권(John Kwon)이 맡았다. 먼저 미 연방 식품·의약품 및 화장품(FD&C)법의 섹션 744M(a)에 따라 회계연도의 12월 31일 또는 이전 12개월 기간 동안 언제라도 OTC 모노그래프 의약품 시설로 식별된 시설 소유자는 각 시설에 대해 연 수수료가 부과된다. 예를 들어 2022년 1월 1일~2022년 12월 31일 사이 언제라도 비처방 모노그래프 의약품의 제조 또는 가공에 종사했을 경우 그 시설에는 2023년 회계연도 시설 수수료가 부과된다. (관련기사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7215) OMUFA는 제조사만 해당되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아마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B2C 판매 브랜드사는 제조사를 통해서 위탁 생산을 해야 하는데 위탁 생산을 맡긴 CMO 제조사가 OMUFA에 등록이 안 돼 있는 경우에는 미국의 수입 통관이 안되기 때문에 판매할
111명이 접속하고 34개의 질문이 쏟아진 8월 12일 ‘OTC 모노그래프 사용자 수수료 프로그램’ 웨비나는 그만큼 열기가 뜨거웠다. 이는 미국 시장이 작년에 18% 성장하는 등 기업들의 미국 실무가 많아졌고 좀 더 디테일한 수출시 주의사항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반증이다. 대한화장품협회가 주관한 이번 웨비나는 FDA 전문컨설턴트인 존 권(John Kwon)이 강의를 맡았다. 미국에서는 화장품이면서 동시에 의약품인 경우는 OTC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샴푸는 화장품이지만 비듬방지 치료제는 의약품이므로 ‘비듬방지 샴푸’는 화장품이면서 의약품이다. 존권 대표는 "브랜드사는 화장품 전성분 확인을 통해 일반 또는 OTC 제품인지 판단하고, OTC인경우 제조사가 업체 등록 및 OMUFA 시설 수수료 납부 완료된 상태인지 확인 후 제품 등록을 진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발한억제제, 자외선차단제, 비듬 샴푸, 여드름 제품, 피부보호제(살리실산이 들어간 제품)은 OTC로 분류된다. 미국 시장은 제품 안전에 대해 세부적인 요구조건을 명시하지 않지만, 대신 제조사가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화장품을 시장에 출시하도록 요구한다. 2020년 미국은 모노그래프 사용자에게 수수료
아모레퍼시픽이 지난 7월 12~13일 ‘아마존 프라임 데이’에서 역대 최대 성과를 냈다고 밝혔다. 특히 라네즈는 아마존 뷰티&퍼스널 케어 부문 전체 1위(판매수량 기준) 브랜드에 올랐다고 덧붙였다. 아마존 프라임 데이는 유료 서비스 회원 대상 연중 최대 할인행사로 아마존은 전세계에서 각종 브랜드가 참여해 3억개가 넘는 상품이 판매됐다고 전했다. 아모레퍼시픽의 브랜드 가운데 라네즈가 ‘아마존 프라임 데이 베트스셀러 브랜드’로 선정됐다. 대표 제품인 ‘립 슬리핑 마스크-베리향(Lip Sleeping Mask-Berry)’이 아마존 뷰티&퍼스널 케어(Beauty&Personal Care) 부문에서 가장 많이 판매한 제품으로 집계됐으며, ‘립 글로이 밤-베리향(Lip Glowy Balm-Berry)’은 세 번째로 판매량이 많았다. ‘워터 슬리핑 마스크’도 해당 카테고리의 Top 100내로 진입했다는 설명이다. 이밖에도 설화수 윤조에센스는 행사를 위해 준비한 제품이 전량 매진됐고, 이니스프리 ‘데일리 UV 디펜스 선스크린’도 아마존 뷰티&퍼스널 케어 카테고리 34위에 올랐다. 아모레퍼시픽 나정균 북미법인장은 “이번 프라임 데이 성과는 옴니
지난 7월 12~14일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된 ‘2022 북미 코스모프로프’(Cosmoprof North America (CPNA)의 IBITA 한국관 참여 80여 개사 가운데 2개사가 ‘코스모프로프 어워드’를 받는 쾌거를 이뤘다.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IBITA, 회장 윤주택)는 ‘2022코스모프로프 어워즈’ 파이널에 IBITA관 2개사가 진출하여 그중 ‘GLAMBUX’(대표 주진웅)가 2022 코스모프로프 CPNA 어워드' 뷰티 분야 최종 1위 우승(Winner)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코스모프로프 어워즈’는 제품의 기술력, 혁신성, 스토리 등 다양한 항목에서 브랜드사·유통사·디자이너·연구개발(R&D)로 구성된 전문가들이 심사해 △Makeup △Natural & Organic △Skin Care △Tools & Devices △Hair Beauty 등 5개 카테고리 부문에서 파이널을 선정해 최종 어워즈를 수여한다. 윤주택 회장은 “IBITA 한국관으로 참가한 80여 개사(코스메틱섹터·프로페셔널섹터·코스모팩섹터·IBITA 개별관 참가사)들은 엄정한 기준을 통과한 우수 기업들이었다”라며 “섹터별·품목별로 선별된 IBITA 한국관이 해외 바이
한국화장품수출협회(회장 곽태일)은 지난 12일 ‘아마존 설명회’를 열고 화장품기업의 북미 진출 전략을 공개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날 설명회에는 유명 아마존 마케팅사로 알려진 △비욘드어스 △이공이공 △수퍼비글로벌디자인그룹 △컨택틱 및 화수협 회원사 20여 개사, 협회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수출다변화 또는 북미 진출을 위해선 아마존에서의 생존 여부가 기업의 미래와 직결된다. 그렇다 보니 아마존을 두고 데스 바이 아마존(death by Amazon)이냐 or 아마존 생존자(Amazon survivor)로 남을 것인가가 초미의 관심사가 됐다. ‘데스 바이 아마존’은 아마존에 의해 위기에 처한 기업이다. 아마존의 전략에 따라 운명이 결정됐다. 반면 생존한 기업은 나름 성공 신화를 써나간다. 때문에 국내 유명 아마존 마케팅사 4곳의 ‘아마존 활용법’은 시사할만한 내용이 많았다. 4곳 모두 ▲계정관리의 경우 ①위탁운영 ②완사입의 두 가지 모델 ▲마케팅은 키워드 검색→STP 분석 통한 타깃 노출→구매전환율 확대 ▲브랜드 보호 방안 ▲물류 최적화 ▲피드백 ▲바우처 활용 등에서 각사마다 디테일 방안을 제시해 박수를 받았다. 첫 발표에 나선 비욘드어스(Beyond Earth)
화장품은 워낙 종류가 다양해 소비자가 고르기 어렵고 입소문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써보니 좋다더라’를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알려주어 제품의 올바른 선택을 돕는 게 필요하다. 오프라인 매장도 그러한데 하물며 온라인, 더욱이 세계 최대 사이트인 ‘아마존’이라면야... 브랜드사는 ‘선택의 도움’을 수단으로 강구해야 한다. 한국화장품수출협회는 미국 진출의 첫 단추인 ‘아마존 제대로 알기’를 위한 회원사들의 열망을 담아 7월 아마존 설명회를 12일 개최한다. 장소는 서울 역삼동 소재 화원빌딩 3층 CDRI다. 아마존을 통해 매출을 끌어올린 화장품 기업 사례에서 보듯 미국 소비자와 아마존의 알고리즘을 꿰뚫고 있는 아마존 대행사 4곳 및 아마존코리아가 집중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 화수협 곽태일 회장은 “미국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이라면 높은 수준의 다채로운 아마존 운영사들의 생생한 이야기와 진행 방법을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참가를 권했다. 참가를 희망하는 기업은 https://cosbridge.pro/session/71 로 신청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