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중소기업의 상반기 수출액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3일 중소벤처기업부의 ‘2023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에 따르면 총수출 199개 품목 가운데 화장품은 중소기업 기여도가 55%(‘22. 상) → 62%(’23. 상)로 1위였다. 6월 누적 화장품 총 수출액은 40.9억달러다. 화장품 수출액은 26억달러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다. ‘21년 7월부터 이어진 감소세가 ’23년 2월부터 플러스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은 신흥시장인 러시아·UAE 등의 수출이 확대되며 호조를 보였다. 중국 삼소 영향이 상쇄되며 역대 상반기 1위 실적을 달성했다는 분석이다. 상위 20개국 중 17개국이 플러스 성장했다. 국가별로 △ 중국 5.9억달러(-16.6%) △ 미국 4억달러(+21.9%) △ 일본 2.9억달러(+1.3%) △러시아 1.8억달러(+62.6%) △베트남 1.7억달러(+23.8%) △ UAE 0.4억달러(+63.5%) 등을 기록했다. 특히 △ 우크라이나 +218.6% △ 튀르키예 +101.4% 등이 세 자릿수 증가하며 순위를 끌어올렸다. 중국 감소분을 이들 국가가 상쇄하는 효과를 보였다. 미국 일본 베트남 러시아 홍콩(+34.2%) 대만(+12.
7월 화장품 수출액이 6.49억달러(+5.8%)로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로써 누적 47.4억달러로 전년 대비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의 ‘23년 수출목표액 98억달러의 절반(48%)에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국가별 수출액은 발표되지 않았다. 다만 대한화장품협회의 6월 누적 수출입통계에서 보면 “중국 지속 감소, 중국 외 지역 두 자릿수 증가” 패턴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올해 상반기 중국 수출은 14.3억달러로 24.6% 감소했다. 중국을 제외한 지역은 26.7억달러로 21.4% 증가했다. 주요 특징의 하나가 미국 수출 호조다. 작년 4.5억달러 → 올해 5.4억달러로 21% 증가하며 중국 감소분의 상당액을 미국이 메워주면서 전체 수출 실적의 플러스 전환에 기여하고 있다. 3위 수출국인 일본은 K-뷰티 진출 러시가 계속 되는 가운데 상반기 일본 수출액은 4억달러로 3.4% 감소했다. 물량은 증가했으나 환율 차 때문이다. 8월 1일 100엔당 899원대를 기록 중이다. 상위 20국까지 누적 3천만달러를 넘어서며 국가당 수출액도 크게 늘었다. 이중 우크라이나 120% 카자흐스탄 81% 키르기스스탄 77% 등 CIS지역 증가율
세계스카우트잼보리 대회에 참가한 전세계 Z세대에게 K-뷰티의 우수성을 알린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은 8월 1일~12일 전라북도 새만금 잼버리부지에서 열리는 ‘2023 새만금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에 ‘K-뷰티 홍보 부스’를 운영한다. 세계스카우트잼버리는 세계 각 국의 청소년들이 인종·종교·이념·문화의 차이를 뛰어넘어 소통·교류하는 세계스카우트연맹 주관 행사다.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 170여 개국에서 5만여 명의 청소년과 지도자들이 참가한다. 연구원은 홍보 활동으로 ▲ 전시 화장품 체험 및 샘플링 행사 ▲ 피부 측정 기기 체험(피부에 맞는 화장품 안내) ▲ 메이크업 체험(아이돌 글리터 메이크업) ▲ 퍼스널 컬러 셀프 체험 ▲ 페이스 페인팅 체험(타투 스티커) ▲뷰티플레이 메타버스 체험(제페토) 등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연구원은 “K-뷰티가 전세계 확산 중인 K-분화 콘텐츠로 수출경쟁력과 잠재력이 높다”고 보고 “K-뷰티 우수성을 알리고 글로벌 잠재고객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실제 ‘2023 해외한류실태조사(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에서 해외 26개국 조사 결과 한국문화콘텐츠 11종 중 뷰티가 소비비중 1위,
동대문의 패션 마에스트로가 K-뷰티의 일본 진출 선봉에 나선다. 유통 접점은 이노사이트(https://ec-iinno.com/)로 일본 내 인큐베이팅 채널링이다. 이를 통해 일본의 인기 온라인 쇼핑몰 조조타운(ZOZOTOWN) 등 유통망에 K-뷰티를 대거 입점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노패션(IINNO FASHION) 강희범 대표의 일본 상륙작전의 목표는 B2C2B다. 먼저 일본 셀럽·연예인·모델 500여명이 소속된 ’스타링크‘를 통해 PPL로 한국 브랜드의 인지도 확장을 겨냥한다. 이어 일본 양대 홈쇼핑 QVC, 숍채널 및 이노도쿄 네트워크를 활용해 일본 전국의 밴더와 제휴해 브랜드 또는 OEM 생산으로 매출을 견인한다. 별도 입점비 없이 공급가 베이스로 계약해 일본 시장에서 '브랜드사 & 이노패션 상생'을 이끌겠다는 게 강 대표의 구상이다. 강희범 대표는 “이미 일본 시장에 10여 개 브랜드 제품을 유통시킨 경험이 7년이나 된다. 일본시장에서 통(通)할 제품 선별 후 밴더 미팅-계약 생산-유통 등을 진행한다. 한번에 110만 개 이상 수출 경험도 있다. 30여년 한·중·일 패션 유통사업을 진행한 경험도 풍부하다. 라벨, 3P 물류, 약기법 등 현지 사정
동남아 대표 뷰티박람회인 ‘2023 코스모뷰티 베트남’이 호치민시 사이공전시컨벤션센터(SECC)에서 7월 27일 개막했다. 한국관 주관사인 코이코(KOECO, 대표 김성수)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대구한의대, 대구테크노파크, 제주경제통상진흥원 등 단체관을 비롯 약 60여개사가 참가했다고 밝혔다. 포스트 코로나 이후 베트남 뷰티시장은 회복에서 성장세에 진입했다는 게 현지 분위기. 이를 반영하듯 참가기업이 800여 개사에 1만여 명의 아시아 및 해외바이어가 참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관 중 최대 규모의 한국관은 △스킨케어 (해피엘앤비, 제이케이 코스 등) △코스메틱 브랜드(삐아, 엘케이코스메틱 등) △미용기기(비알팜, 에이치에스씨 등) △헤어/네일(킹케어, 알에이치앤비브랜즈) △여성용품(라엘코리아) 등 카테고리를 구성했다. 이어 지자체관 및 지역 소재 기업이 참가해 K-뷰티의 우수한 경쟁력을 현지인에게 확인시켰다. 코이코는 주최사(인포마 마켓)와 협업을 통해 ▲우수 브랜드 선정 실시간 온라인 스트리밍 방송 참여 ▲온라인 바이어 매칠 플랫폼 활용 ▲코이코 협력사인 B2B 화장품전문 뷰티 플랫폼 ‘COS247'에서의 현장 홍보 등의 지원 활동을 펼쳤다고 설명했다. 김
글로벌 화장품시장의 트렌드는 ‘클린뷰티’다. 용어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나 규정은 없다. 브랜드마다 ‘클린’으로 간주하는 기준이 다를 수 있다. 미국의 세포라 관련 ‘클린뷰티’ 소송에서 드러났듯 ▲파라벤, 프탈레이트, 황산염, 포름알데히드 및 기타 화학물질과 같은 잠재적으로 유해한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뷰티 제품(무독성) ▲일반적으로 천연 및 유기농 성분을 함유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 가능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동물친화적(cruelty-free)으로 제조 등을 의미한다. 소송 문제가 불거진 것도 ‘클린뷰티 앳 세포라’ 선정 제품 중에 유해 성분이 섞여 있고 이를 미끼로 고가의 제품을 팔고 있다는 불신에서 비롯됐다. 소비자는 끊임없이 ‘클린뷰티’가 마케팅 도구 또는 그린워싱(green washing)으로 사용되는가에 불신감을 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보도에도 미국에서 ESG 소송이 작년에 2700여건이나 발생했으며 이중 환경(E) 1467건 지배구조(S) 937건 사회적 이슈(S) 275건 ESG 공시 23건 등이었다. 따라서 해외 진출 시 제품 기획 단계부터 어떠한 ‘클린’ 이미지를 확보할 것인지, 마케팅 측면을 고려하여 결정을 내리는 게 중요하
대한화장품협회는 오는 8월 31일 오후 2시30분부터 ‘일본 시장을 통해 본 한국 화장품 전망’을 주제로 무료 웨비나를 개최한다. 강의를 맡은 비지티컴퍼니 김병수 대표는 일본 지사를 통해 화장품 제조 및 책임판매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설립 1년 만에 300만불 수출의탑을 수상하고, 한국화장품수출협회 세미나에서 ‘일본 화장품시장 동향’ 강의를 진행한 바 있다. 강의는 일본 시장 현황과 한국 화장품의 진출 전망을 강의하고 이후 실시간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사전 등록 링크: : https://forms.gle/K9Kp9Cj1TVfVirFW8 ) 협회 측은 사전 등록한 분에 한해 진행되며, 개최 1일 전에 URL링크를 메일로 전달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7622 )
KOTRA(사장 유정열)는 24~26일 일본 중부지역에서 ‘뷰티월드 재팬 나고야(Beauty World Japan Nagoya)’ 내에 K-뷰티 공동전시관을 운영한다. 도쿄·오사카가 아닌 나고야에서 처음 열리는 전시회로 참관객 1만여 명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동관에는 마스크팩, 향수, 색조, 주름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헤어 등 한국 기업 50여 개사가 참가하며 △온라인 수출상담회 △K-뷰티 공동관 운영 △유통망 진출 상담 등 여러 행사가 동시에 추진된다. 이번 한국관 운영은 ▲오사카 권역과 비슷한 규모의 살롱수(인구 대비 1위) ▲미용실 이용액 전국 1위(도쿄 5위) ▲뷰티 살롱 소비액 전국 2위(도쿄 1위) ▲‘나고야 헤어스타일’ 등 뷰티 관련 독자 스타일 유행 및 전국 확대 등 영향력을 고려해 진출이 결정됐다. 참가 품목도 화장품, 오가닉, 미용식품, 미용기기, 네일, 헬스, 헤어 등으로 특화됐다. 일본 화장품 시장은 약 350억달러로 세계 3위. 올해 1분기 화장품 수입국가 1위는 K-뷰티 1.7억달러(+24%, 점유율 25.4%)이며 프랑스(1.5억달러, +10.7%) 점유율 22.1%)가 2위다. 일본 시장조사기업 테스티(TesTee)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