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콜마는 화장품의 효능 성분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탄성리포좀’을 개발하고 특허를 취득했다고 10일 밝혔다. 탄성리포좀은 피부전달체인 리포좀(Liposome)에 탄성을 부여해 피부 속에서 몸집을 자유자재로 늘렸다 줄였다 하며 피부 깊숙한 곳까지 침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홍인기 한국콜마 융합기술연구소장은 “탄성리포좀 기술을 통해 바르는 것만으로도 피부침투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며 “효능 성분이 콜라겐을 생성하는 피부진피 속까지 빠르고 안전하게 전달되면서 피부미백과 주름개선의 효과가 극대화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국콜마는 이 기술을 의약품∙의약외품에도 적용한 신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즉 연고크림제와 같은 의약품과 탈모완화제 등 의약외품에도 탄소리포좀 기술을 적용해 효능효과를 업그레이드 연구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탄성리포좀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라며 “앞으로도 새로운 소재 및 기술을 개발하는데 역량을 집중해 K뷰티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콜마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사회에 손 소독제를 지원한다고 27일 밝혔다. 사업장이 소재한 세종시청과 서초구청을 방문, 손소독제 5천개, 3천개를 각각 기부했다. 아울러 종합기술원이 있는 서울 내곡동 인근 초등학교와 어린이집, 서울특별시어린이병원 등 지역주민기관에도 2천개를 전달한다. 이번에 기부한 제품은 ‘한국콜라 크리너겔’로 식약처의 의약외품 허가를 받은 제품이다. 이날 이영주 공장장은 손소독제를 이춘희 세종시장에게 전달하며 “최근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 위험성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지역사회의 건강과 안정을 위해 손소독제를 기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같은날 경영지원본부 이정규 상무도 서초구청을 방문해 이 같은 뜻을 전했다. 아울러 한국콜마는 오는 29일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지역을 방문해 손소독제 1만개를 전달할 계획이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사회 곳곳에 침체 분위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기 위한 고민을 많이 했다”며 “작은 보탬이지만 현재의 어려운 상황을 함께 이겨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글로벌 화장품 ODM전문제조기업 한국콜마가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국내 화장품기업 중 유일하게 국제공인시험성적서를 발급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자격에 따라 한국콜마는 화장품 유해물질(중금속) 및 미생물분야에 대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공인성적서를 자체 발급할 수 있다. 이로써 객관적인 기준에 의한 제조사로서의 공신력을 인정 받았다. 한국인정기구(KOLAS)는 국가표준제도 확립과 각종 시험기관 자격인증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시험기관의 품질경영시스템, 시험능력 및 시설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국제수준의 시험능력이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한다. 까다로운 인증절차와 주기적인 자격시험으로 인정 유지가 어려운데, 국내 화장품기업 중에서는 한국콜마가 유일하게 취득했다. 이번 인정으로 한국콜마에서 발행한 성적서는 국제시험기관인정협력체(ILAC)에 가입한 103개국 100개 인정기구와 아시아태평양 시험기관 인정협력체(APLAC)에 가입한 24개국 39개 인정기구에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자사 제품 품질 완성도를 확인하고 싶은 고객사에서 제품의 완성도와 취약 부분 개선에 활용할 뿐만 아니라 해외진출 마케팅에도 활용할 수 있다. 한
세포라가 2020년 북미지역 매장을 100개 오픈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세포라가 20년 전 북미시장에 진출한 이래 최대 규모다. 세포라는 ‘19년 보다 2배가 넘는 매장을 개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모기업인 LVMH에 따르면 작년에 세포라는 전세계에 110개의 새로운 매장을 오픈했다. 세포라의 북미 매장 확대 전략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지역 중심가 또는 커뮤니티 센터에 매장을 설치함으로써 로컬 영업을 강화한다. 세포라의 부동산매장개발 부사장 제프 갈(Jeff Gaul)은 “오늘날 미용 고객들의 쇼핑은 지역 중심의 다목적 쇼핑 목적지로 향하고 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며 “쇼핑몰과 교통량이 많은 쇼핑센터뿐만 아니라 집에서도 더 가까운 세포라 매장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소개했다. 종래 대단위 쇼핑몰에 매장을 열거나 JC페니 등 유명 백화점, 양판점 등에 입점하는 전략을 수정한 것이다. 이와 관련 세포라는 “소매업은 온라인 판매 외에 오프라인에서도 지속적인 기회가 되고 있다”고 전망했다. 둘째 세포라의 신규 매장 위치는 기존 고객의 편의를 보완하고, 좀 더 개인화되고 맞춤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주요 도로와 지역센터, 신
보통 사회생활에서 사(네) 가지는 인의예지(仁義禮智)를 말한다. 이들 중 하나라도 없으면 ‘싸가지 없다’고 말한다. 마찬가지로 비즈니스 모델이 성립하려면 ①타깃 ②가치 ③능력 ④수익모델의 네 가지 중요 요소가 있다. 이 네 가지 중 하나라도 빠지면 비즈니스는 성립하지 않는다. 비즈니스에서 싸가지가 없는 것이다. 조상현 대표는 고객사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에 관심이 많다. 그는 ”누군가에게 어떠한 가치를, 어딘가에서 조달·창조하여 제공한 후 수익을 얻는 요소를 조합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든다“며 자신을 소개했다. 마크앤팀스는 ▲OEM/ODM ▲원부자재 수출 대행 ▲국내 브랜드 수출 대행을 위해 전 세계를 종횡으로 누빈다. 물론 목표는 K-뷰티의 성장을 위한 디딤돌 역할이다. 현재 미국·호주·일본·중국·러시아·태국·이스라엘·인도네시아 등 10여 개국 해외 고객사의 러브콜을 받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K-뷰티의 미들맨‘ 역할을 수행한다. #1 미들맨으로서의 가치 창출 마크앤팀스의 조상현 대표는 학창시절 오퍼상이 되어 세계를 무대로 영업을 하고 싶다는 열망을 가졌다. 화학을 전공했음에도 영업에 매력을 느낀 이유는 무엇일까? 그는 “국내 화장품 OEM·ODM 영업을 통해
2010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꿈의 신소재로 유명한 그래핀(graphene) 활용 마스크팩 시트가 출시된다. 아이크래프트㈜는 ‘그래핀’ 물질을 활용한 마스크팩 화장품용 시트 개발을 마치고, 국내외 브랜드 2개 업체와 공급계약을 맺고 납품을 시작한다고 3일 밝혔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 한 층으로 이뤄진 벌집 형태 구조를 가진 소재. 강철보다 200배 강한 강도와 열전도성, 전기전도성, 원자 1층의 얇은 두께, 초경량 등의 놀라운 성질로 21세기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아이크래프트는 작년 5월 그래핀 물질 제조업체인 영국 헤이데일(Haydale)과 원료 공급계약을 맺고 그래핀을 활용한 제품 개발을 추진해왔다. 약 6개월에 걸친 개발·생산·시험평가를 거치며 유해물질 제로(0)를 구현, 그 첫 번째 제품으로 ‘마스크팩 시트’를 선보인다. 기존 마스크팩 시트가 화장품의 유효성분을 얼굴 위에 머무르게 한다면, ‘그래핀 마스크팩 시트’는 그래핀의 열전도성, 전기전도성을 이용, 생체전류에 의한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에 효과적이라는 설명이다. 또 원적외선 방사로 피부 스트레스를 줄이고 혈액순환을 도우며, 밸런스 유지에 도움을 준다. 마스크팩 시트는 유효성분의 효율적 전달을
주52시간제 시행 상 ’특별연장근로 인가제도‘ 개선 내용을 담은 ‘근로기준법 시행규칙이 1월 31일부터 시행된다. 특별연장근로 인가제도는 특별한 사정+근로자 동의+고용노동부 장관 인가의 요건이 되면 일시적으로 추가연장 근로를 할 수 있다. 특별한 사정의 범위는 ① 재해‧재난 및 이에 준하는 사고 수습 또는 예방을 위한 긴급한 조치 필요 ② 인명 보호 또는 안전 확보를 위한 긴급한 조치 필요 ③ 시설·설비 고장 등 돌발상황 발생 수습을 위한 긴급한 조치 필요 ④ 통상적이지 않은 업무량 폭증 + 단기간 내 미처리 시 사업에 중대한 지장·손해 ⑤ 고용노동부 장관이 국가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연구개발 등이다. 특별연장근로를 실시한 후에는 건강보호조치를 취해야 한다. 고용노동부는 ▲특별한 사정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기간으로 인가 ▲사용자가 근로자의 건강 보호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1회 최대 인가 기간은 ①~④의 사유는 4주 이내(1주 평균 64시간)이며, 1년간 90일을 초과할 수 없다. ⑤의 경우는 3개월 이내이며, 초과 시 심사를 거쳐 활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당장 고용노동부는 31일, 신종 코로나 바이
보건복지부는 21일 ‘2020년도 제1차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 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공고했다. 이번 공고 과제는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을 위해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공고단위(RFP)는 ▲친환경 지속가능 국산 소재 개발 ▲피부과학 응용연구 ▲동물실험 대체 효능평가 기술 ▲신제형 기술 개발 ▲시장 다변화 대응 기술개발 등이며, 총 26개의 과제가 선정된다. 과제당 최대 지원액은 4억원 이내이며, 총 92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신청기간은 1월 21일~2월 20일까지 한 달 간이며 신청은 온라인접수로만 가능하다.(보건의료기술 종합정보시스템(www.htdream.kr) 제출서류는 연구개발계획서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