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럭셔리 뷰티 브랜드 설화수가 독창적인 ‘진설 리버스 에이징(Reverse Aging)’ 기술이 집약된 ‘진설크림 리치’를 3월 출시한다. 설화수 진설크림 리치는 독창적인 성분과 뛰어난 뷰티 과학, 아름다움에 대한 공고한 철학으로 탄생한 진설 라인의 신제품이다. 지난 2023년 출시된 하이엔드 라인 ‘진설’은 고급스러운 패키지와 강력한 효능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이번 진설크림 리치는 롤링 할수록 광채가 살아나는 보다 농축된 제형으로 개발되어 고객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줄 예정이다. 설화수 진설크림 리치에 담긴 진설 리버스 에이징 기술의 핵심 성분은 ‘진생베리 SR™’이다. 이는 인삼 열매를 말하는 진생베리 추출액 600,000g 중 단 1g에만 존재하는 성분이다. 설화수는 10만 시간의 연구 끝에 인삼 열매를 궁극의 안티에이징 성분 ‘진생베리 SR™’로 만들어냈다. 바르는 순간 피부에 깊숙이 작용해 외부 자극으로 쌓인 피부 노폐물을 관리하고 노화로 인해 무너진 피부 각도를 바르게 세워준다. 풍부한 영양감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제형 기술인 ‘진생 올레오좀 텍스처™(Ginseng Oleosome Texture)’도 적용되어 지친 피부에 농축된 보습과 윤기도
한국콜마는 ESG행복경제연구소가 지난 25일 발표한 2025년 ‘국내 시총 250대 기업 ESG 지속가능경영 평가등급’에서 종합 A+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환경 부문에서 A+등급을, 사회적 책임과 지배구조 부문에서 A등급을 받아 모든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종합 평가 결과 18개 기업만이 A+등급을 획득했다. 한국콜마는 화학·장업 업종으로 구분된 45개 기업 중에서 1위를 기록했다. ESG행복경제연구소는 지난 2021년부터 매년 국내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돕고 지속가능경영 체계를 고도화하기 위해 △ 환경(Environmental) △ 사회적 책임(Social) △ 지배구조(Governance) 부문을 평가해 등급을 발표하고 있다. 한국콜마는 환경 부문에서 지속적인 친환경 연구개발 활동으로 89.5점을 획득해 전체 1위 최고 평점을 받았다. 세계 최초 친환경 종이튜브를 상용화했고, 종이스틱과 종이파우치 등 플라스틱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인 친환경 패키지를 연이어 선보였다. 종이튜브는 기존 대비 플라스틱 사용량을 80% 이상 줄여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종이스틱과 종이파우치 역시 비목재 종이를 활용해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해 친환경 기술력을
닥터올가는 2월 23일 개최된 고구려마라톤대회에 전용 부스를 설치하고 참가자들에게 러너들만을 위한 선크림 ‘런스크린(SPF50+ PA++++)’을 선보였다. 이날 행사에서 닥터올가는 제품 사용 후 실제 대회에 참가한 선수들과의 인터뷰와 SNS 인증 이벤트를 진행했다. ‘런:스크린’은 자외선과 자외선 열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알로에, 참마, 다시마, 진정 3총사를 함유한 ‘수딩 쿨러’ 성분을 함유했다. 또 땀으로 자외선차단제가 줄줄 흘러내리지 않도록 ‘Sweat Proof Film Forming Agent'가 코팅막을 형성해 씻겨짐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최근 2030 세대를 중심으로 ‘러닝 크루’(running crew)가 활성화되며 러닝 뷰티도 주목받고 있다. 닥터올가는 향후 스포츠 뷰티에 대한 제품 개발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식약처 신준수 바이오생약국장은 26일 대한화장품협회에서 주요 10개 기업과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대한화장품협회,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애경산업, 코스맥스, 한국콜마, 이엘씨에이, 엘오케이, 유한킴벌리, 존슨앤드존슨, 대봉엘에스 등 10개 사가 참여했다. 간담회는 ▲ ‘24년 화장품 규제개선 성과 ▲ 업체별 제안 사항 설명 및 토론, 식약처 답변 순으로 진행됐다. 회의에서는 올해 주요 역점사업인 안전성 평가 제도 도입에 따른 업계 지원체계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또한 다양한 화장품 개발에 맞춰 유형 분류 체계를 유연하게 적용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으며, 이외에도 마이크로바이옴 등 신제품 개발 신속화를 위한 지원 방안이 제안되었다. 산업계는 “국내 화장품 산업의 위상 확대로 제품 개발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어 속속 개발되는 신제품 등 변화하는 시장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동적 안전관리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준수 바이오생약국장은 “식약처는 화장품 분야 국제조화를 적극 추진해 온 결과 화장품 e-라벨 시범사업 등 새로운 정책적 표준을 제시하였고, 화장품의 인증을 민간의 자율로 두어 시장의 자율성과 다양한 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규제
코스맥스가 연 매출 2조원 시대를 열었다. ‘24년 실적 공시에 따르면 연결기준 매출은 2조 1661억원(+21.9%) 영업이익 1754억원(+51.6%)으로 어닝 서프라이즈였다. 지역별로 ▲ 한국 1조 3577억원(+28.4%) ▲ 중국 5743억원(+4.9%) ▲ 인도네시아 1132억원(+31.9%) ▲ 태국 435억원(+70.4%) ▲ 미국 1371억원(-2%) 등이었다. 한국은 인디브랜드 고객사의 높은 성장이 견조한 내수와 수출 양쪽에서 실적을 이끌었다. 기초와 색조 비중은 5:5였다. 4분기 인디 브랜드가 약진하고 강한 수요가 몰린 미국(+37%)과 일본(+42%)이 견인한 간접 수출 성장세가 지속됐다. 중국은 경기 침체로 주요 고객사의 매출 하락했으나 신규 고객사의 선전으로 광저우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고 한다. 4분기 상해는 매크로 환경 불확실성으로 매출이 14% 역성장했다. 광저우는 전년 동기 대비 43% 성장했다. 신규 고객사 제품의 히트 및 이센합작공장의 연결 효과로 높은 성장률을 달성했다. 동남아는 시장의 성장, 로컬 제품에 대한 선호도 증가, 인근 국가로의 수출 물량 증가로 고성장을 지속했다. 미국은 기존 고객사의 주문량 감소, 신규 거래
메이크업 브랜드 '에뛰드’도 다이소 입점을 위한 서브 브랜드 ‘Play 101’을 2월 말 론칭한다. ‘Play 101’은 에뛰드의 서브 브랜드로, 메이크업을 시작하는 초보자를 위한 메이크업 입문서 같은 역할을 하며 쉽고 재미있는 메이크업 경험을 선사한다. 색소 맛집 에뛰드의 노하우를 담아 아이, 페이스, 립 등 다양한 컬러와 제품군으로 구성된 총 25종을 선보인다. ‘플레이 101 듀얼 아이 피스’는 두 가지 색상으로 구성된 듀얼 아이섀도우로, 원하는 조합을 결합하여 자신의 톤과 무드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 웜톤에 어울리는 01 봄신상 등판 ▲ 쿨톤을 위한 02 쿨블레스유 ▲ 음영 메이크업에 활용하기 좋은 03 홀린듯 정주행, ▲ 음영과 아이라이너 대용으로 사용하기 좋은 컬러인 04 시럽추가 테이크아웃까지 총 네 가지 컬러로 출시된다. 부드러운 파우더 제형과 촉촉한 글리터의 조합으로 다채로운 메이크업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하이라이터와 블러셔도 함께 조합할 수 있도록 ‘플레이 101멀티 블렌딩 피스 블러셔’ 와 ‘플레이 101멀티 블렌딩 피스 하이라이터’가 각각 네 가지 컬러로 출시된다. ‘플레이 101엣지 컬 틴트 마스카라’는 속눈썹을 가볍
원료주의 스킨케어 브랜드 스킨1004(스킨천사)가 인도 내 주요 뷰티 리테일 네트워크를 확보했다고 25일 밝혔다. 인도는 한류 열풍으로 K뷰티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신흥 시장으로 주목된다. 시장조사기관 모더인텔리전스는 2026년까지 인도의 K뷰티 시장 규모가 연평균 9.4%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스킨1004는 뷰티 인플루언서 및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하는 현지 트렌드에 따라 이커머스 채널에 기반해 인도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인도 최대 뷰티 이커머스 티라(Tira), 나이카(Nykaa), 아마존(Amazon) 등 주요 리테일 9곳에 입점을 완료했다. 특히 ‘인도의 올리브영’으로 불리는 나이카는 뷰티 고관여자들이 다수 포진해 있어 브랜드 전파에 용이할 것이란 기대다. 더불어 오는 27일에는 온라인 영향력을 보유한 현지 인플루언서와 협업해 론칭 행사를 진행한다. 나이카와 연계한 이번 행사에서는 인스타그램 760만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한 배우 ‘크리스틀 두수자(Krystle D'Souza)’ 등 뷰티 크리에이터들을 초청해 네트워크를 형성할 예정이다. 스킨1004의 대표 제품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앰플’,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라이트 클렌징
화장품산업이 요동치며 고용 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빅2의 구조조정과 인디브랜드의 성장, 창업 붐, 타 산업군의 전입, 이커머스 플랫폼 진출 등에 따라 새로운 직군을 탄생시키고, 업그레이드 된 커리어가 중요해졌다. ‘이직(移職)’은 직장을 옮기거나 직업을 바꾼다는 의미. 이를 연결해주는 사람이 헤드헌터(headhunter)다. 이웃 부족의 머리사냥이 어원이다. 요즘은 서치 펌(search firm)이란 조직을 통해 인재발굴, 평가, 채용 컨설팅 등 종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2009년부터 화장품 헤드헌터로 활동 중인 HR비즈코리아 최선희 대표는 “화장품산업이 고도화 되며, 원하는 경력과 능력을 갖춘 인재 확보를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이 많아졌다”라며 “헤드헌터의 업계 네트워크가 기업 성장에 도움을 준다는 인식을 가진 CEO들이 자주 찾아온다”라며 반겼다. 최근 화장품산업이 수상(?)하다. 내수는 3년째 부진한데 수출은 신기록을 경신 중이다. 중국은 고전, 일본·미국은 호조 등 국가별, 품목별로 온도 차도 극명하다. 기업사정, 새로운 직무에 따라 고용도 냉·온탕을 오간다. 산업의 성장, 구조 변화, 인구 구조, 기술 발전, 정부 정책, 글로벌화 등 다양한 요인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