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자외선차단제의 새로운 성분에 대해 FDA에서 승인해달라는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고 한다.(연구원,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9호-미국 편) 하지만 FDA는 동물실험 요구를 거두지 않고 있어, 한국 기업들의 OTC 규제 어려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자외선차단제는 HS Code 3304.99, 미용이나 메이크업용 제품류와 기초화장용 제품류다. 의약품은 제외하며, 선스크린(sunscreen)과 선탠(sun tan) 제품류를 포함한다. 현재 미국 소비자들은 자국 브랜드의 자외선차단제보다 한국, 일본, 유럽 등 글로벌 브랜드들의 제품을 찾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는 자외선A(Ultraviolet A)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뛰어난 베모트리지놀(Bemotrizinol) 성분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했기 때문이다. 베모트리지놀은 유럽연합(EU)에서 안전성을 인정받았으며 아시아 국가들에서도 흔히 사용하는 성분이지만, 미국 식품의약청(FDA)에서는 승인을 받지 못한 대표적인 자외선 차단 성분이다. 이에 미국 소비자들은 위조품을 구매할 수도 있는 위험을 부담하면서도 미국보다는 아시아나 유럽에서 수입한 자외선 차단 제품을 선호한다. 한국의 조선미녀(Beauty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025년 예산안 중 K-뷰티 중소기업의 수출 지원 예산을 54% 증액했다고 밝혔다. 오늘(8월 27일) 2025년 정부 예산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됨에 따라 보건복지부 총지출은 125조 6565억원으로 ‘24년 대비 7.4% 늘어났다. 2025년 보건복지부 예산안은 ① 약자복지 강화 ② 의료개혁 중점 투자 ③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변화 대응 ④ 국민건강 안전망 구축 ⑤ 바이오헬스 육성 등 5대 중점 투자방향을 기반으로 편성되었다. 특히 바이오헬스 R&D 규모를 1조원 규모로 확대(8,428억→9,927억 원)하며 바이오헬스 분야 글로벌 중심국가로의 도약을 지원한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분야별로 첨단 재생의료 및 디지털 바이오헬스 분야 전주기 지원, 지역의료 연구역량 지원, 국가난제 해결 및 글로벌 협력 R&D 등에 집중 투자한다. 주요 사업 예산안은 △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 전주기 기술 개발(46억 원, 신규) △ 다기관-멀티모달 연학학습기반 의료인공지능기술 시범모델 개발(68억 원, 신규) △ 지역의료연구역량 강화(110억 원, 신규) △ 한국형 ARPA-H(701억 원, +206억 원) △ 글로벌 R&D(1
식약처는 ‘얼굴과 눈 주위 제품 사용시 주의사항‘을 자발적으로 표기해줄 것을 대한화장품협회를 통해 업계에 협조 요청했다. 이는 지난해 화장품 안전성 정보 검토 및 전문가 자문 시행 결과 “얼굴 및 눈 주위 제품 사용시 눈쓰림, 눈통증, 눈충혈 등의 자극”이 다수 보고됐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얼굴 및 눈 주위에 사용하는 화장품의 용기 또는 포장에 ’화장품이 눈에 들어갔을 때에는 물로 씻어내고,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전문의와 상담할 것‘ 등 표시 문구를 자발적으로 표시할 것”을 요청했다. 현행 화장품법 제5조는 화장품책임판매업자 등은 중대한 위해사례 등 신속하게 보고해야 하는 안전성 정보 보고는 그 정보를 알게 된 날로부터 15일 이내, 이외 정기적인 안전성 정보는 매 반기 종료 후 1월 이내에 식약처에 보고토록 규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