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전체기사 보기

트럼프가 쏘아 올린 관세 전쟁 → 글로벌 화장품업계도 ‘불똥’

매출 원가 상승+공급망 재편 ‘카오스’... 수출로 먹고사는 K-화장품, 전략적 사고 필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상호관세가 화장품산업의 글로벌 밸류 체인을 혼란 속에 몰아넣고 있다. 제재 대상 품목이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고 각국 사정에 따라 보복관세를 물리는 등 복잡한 양상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화장품 수입제품 관세 인상과 산업 영향 분석’에 따르면 국가 간 통상정책이 자국 중심주의로 선회하며, 수입 제품에 대한 관세 장벽이 강화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에 따라 매출 원가 상승이 소비재 가격 인상을 불러오고 전체 공급망 구조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먼저 신규 수입관세로 인한 매출원가 및 소비재 가격 상승이다. 미국 뷰티 산업의 매출원가는 새로운 수입관세 영향으로 18% 증가했다. (미국은 수입 원자재가 65% 차지) 이는 단일 품목이 아닌 전체 원가 구조에 대한 영향이며, 수입 비중 높은 중소기업일수록 타격이 크다는 분석이다. 둘째, 공급망 이중화 및 리쇼어링 확대다. 글로벌 기업들은 생산 거점을 기존 중국 중심 → 베트남, 멕시코, 태국, 폴란드 등으로 분산시키고 있다. 미국·EU는 자국+협정 체결국 중심으로 회귀하고, 인도는 화장품 제조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다만 각국의 인증 체계 차이로 생산지 전환에는 6~12개월

아모레퍼시픽 × 바스프... 자유라디컬 생성 차단 선케어 기술 개발

피부 저속노화 자외선 차단기술 공동 개발, 바스프 측정 기술 활용

아모레퍼시픽은 바스프(BASF)와 공동 연구를 통해, 피부 저속노화에 효과적인 항산화 자외선 차단 기술 'UV-R Pro'를 개발했다. 공동 기술 개발 협약식은 지난 13일 오후, 서울시 용산구 아모레퍼시픽 본사에서 열렸다. 그동안 자외선 차단제의 광노화 예방에 관한 연구는 다각도로 진행돼 왔으나, 대부분 피부 표면에서의 자외선 차단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피부 깊숙이 침투할 수 있고, 진피층에 손상을 일으켜 피부 노화의 징후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UVA(장파장 자외선)에 대해 최근 그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R&I 센터는 피부 속으로 침투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를 늦추기 위해, UVA에 의해 피부 속에서 만들어지는 유해 물질인 자유라디컬(free radical, 활성산소류)에 주목했다. 그리고 자외선 차단에 특화된 항산화 시스템을 적용해, 자유라디컬 생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선케어 기술을 개발했다. 아모레퍼시픽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바스프의 RSF(Radical Skin Protection Factor) 측정 기술을 활용해 검증했다. 그리고 피부 보호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적 보완을 거듭한

화장품 수출 첫 ‘월 10억달러’ 진입... 10월 증가율 36%↑

1~10월 누계 84억달러 기록, 사상 최초 ‘화장품 수출 100억달러 달성’ 가시화

10월 화장품 수출이 월간 실적으로 역대 최초 최고를 기록했다. 11월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10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은 10억 3700만달러(+36%)로 첫 월 10억달러 시대를 열었다. 17개월째 증가세다. 이로써 10월 누계 84.5억달러로 연간 100억달러 수출이 가시권에 들어섰다. 남은 두 달 동안 월 8억달러 이상을 기록하면 가능하다. 10월 수출 호조 요인으로는 △ 중국의 솽스이(11·11) △ 미국 아마존 프라임 빅딜데이 △ 일본 메가와리 등 할인행사에서 K-인디 브랜드 선전 때문으로 파악된다. 중국의 경우 7월(1.66억달러, -16%) 8월(1.57억달러, -24%) 역성장에서 9월(2.5억달러, +27%) 반등했다. 솽스이 및 연말 물량이 증가한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은 아마존 세일에서 한국 화장품이 카테고리별로 꾸준히 상위권에 랭크되며 호조를 이어가고 있다. LG생활건강(CNP 립세린, 더페이스샵 클렌징 등) 아모레퍼시픽(코스알엑스, 라네즈, 에스트라, 미쟝센 등) 조선미녀 스킨1004 등이 낭보를 전하고 있다. 일본향 수출도 큐텐 등 유통채널별 할인행사에서 한국 브랜드가 호조다. 이로 인해 3분기 수출은 30%대 고성장을 이어




포토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