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화장품 중소기업의 수출액은 45.5억달러로 전년 대비 7.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화장품은 중소기업 수출품목 중 2위를 유지했다. 전체 중기 수출 품목 중 점유율은 4.5(‘21)→3.9(’22)로 낮아졌다. 이는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 때문이…
1월 화장품 수출액이 4.68억달러(-17.2%)를 기록하며 작년 6월 이후 8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증감률도 두 자릿수 하락했다. 화장품 수출액이 월 4억달러대를 기록한 건 2020년 1월(4.6억달러) 이후 36개월만이다. 참고로 월간 수출액 평균은 6.6억달러(’22년)였다. 그만큼 수출 체질이 약화됐…
화장품을 포함한 생활용품의 2023년 1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EBSI)는 96.2로 수출여건이 소폭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그 이유로 제조원가(88.2) 부담 상승과 수출대상국 경기 부진(91.7)이 꼽혔다. 다만 수출상담·계약, 수출단가 등 다른 항목은 대부분 90 이상으로 악화 폭이 크지 않다. 국…
우려했던 대로 2022년 화장품 수출액은 79.6억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13.2% 감소했다. 1월 1일 발표된 산업통상자원부의 '22년 12월 화장품 수출액은 6억달러로(-12.9%)로 나타났다. 본지 추산대로 80억달러 문턱을 넘지 못하면서 2014년 이후 9년 만에 역성장 했다. (관련 기사 http://www.cnc…
화장품 수출 실적이 속절없이 추락 중이다. 올해 들어 5월만 빼곤 줄곧 감소세다. 12월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11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은 6.4억달러로 전년 대비 26.6%나 급감했다. 올해 1월 -24.9%를 뛰어넘어 역대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이로써 1~11월 누적 수출액은 74억달러로 남은 12월…
10월 화장품 수출액은 6.9억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13.5%나 감소하며 업계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11월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10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액은 올해 5월을 제외하곤 줄곧 9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다. 이로써 1~10월 누적 수출액은 67.6억달러로 작년 수출액 92억달러의 7…
팬데믹 이후 화장품 강국 미국과 프랑스의 변화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8호(미국·프랑스 편)가 발간됐다.(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발행) 두 나라 모두 온라인 채널 성장이 계속되는 가운데 미국은 가격 대비 가치를, 프랑스는 6%의 물가상승으로 인해 뷰티 루틴에 신중한 태도로 꼭…
9월 화장품 수출액은 7.43억달러로 전년 대비 14.8% 감소했다. 10월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9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액은 올해 5월만 빼고 줄곧 8개월간 역성장함에 따라 100억달러의 꿈은 사실상 멀어졌다. 1~9월 누적 수출액은 60.7억달러로 작년 수출액 91.8억달러의 66%에 불과하다…
중국의 해외직구 시장규모는 증가하는데 비해 상위 10대 국가 중 한국만 전년 대비 36%나 대폭 감소해, 꼴찌로 나타났다. 2022년 상반기 중국의 해외직구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5.1% 증가한 약 1232억 위안(약 24조원)이었다. 2~5월 기간의 해외직구 구매액은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였으나 6월에만 300억…
클린뷰티 이슈가 글로벌 화장품산업을 휩쓸고 있지만 정작 국가별로 목표나 소비행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통 분모로 주목받는 ESG 경영 실천 방안 마련이 시급해졌다. 지난 4월 LG생활건강은 화장품 연구개발 단계부터 ESG 경영 방침을 제품에 반영하는 ‘클린뷰티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