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새해 1월 화장품 수출 17%↓ㅠㅠ”... 36개월만에 월 4억달러대 추락

화장품 수출 4.7억달러 17.2%↓...중국 ‘위드 코로나’로 보복 소비+K-뷰티 가성비로 수요 회복 기대감 상승

1월 화장품 수출액이 4.68억달러(-17.2%)를 기록하며 작년 6월 이후 8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증감률도 두 자릿수 하락했다. 화장품 수출액이 월 4억달러대를 기록한 건 2020년 1월(4.6억달러) 이후 36개월만이다. 참고로 월간 수출액 평균은 6.6억달러(’22년)였다. 그만큼 수출 체질이 약화됐음을 뜻한다. 



산업통상자원부이 집계하는 5대 유망 소비재(농수산식품·화장품·패션의류·생활유아용품·의약품) 중 화장품은 2위(‘21)→4위(’22)로 추락한데서 보듯 K-뷰티의 수출 비중은 약화됐다. 이런 기조가 새해 1월에도 이어지며 ‘K-뷰티의 고전’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통계에 따르면 작년 화장품 수출 10대국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25.8%)+홍콩(-31.6%)의 부진이 전체 수출 감소 주원인이다. 그 배경엔 중국의 소비 둔화가 꼽힌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달 17일 2022년 화장품 소매판매액이 3936억위안(약 71.7조원)으로 -4.5%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새해 들어 위드 코로나 시행과 함께 전반적으로 중국의 소비가 주요 성장동력으로 부각되면서 중국 및 글로벌 경제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국제금융센터(KCIF)는 전했다. 중국의 경우 소비의 성장 기여율은 65%(‘21)인데 올해의 경우 70% 이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 대외적으로 중국 소비가 1% 늘어나면 싱가포르 성장률이 0.7%p, 태국 0.4%p, 한국 0.2%p 높아지는 등 직접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미국 UBS 전망)

특히 중국의 중산층 소비 규모가 7.3조달러(‘20)로 미국의 4.7조달러를 크게 상회함으로 중국의 대외수입도 중산층 소비 확대로 증가하리라는 예측이다. 이런 거시 전망과 함께 미시적으로 작년 화장품 소매판매 하락이 새해에 반등하리라는 기대감으로 대중 수출 회복 훈풍이 조금씩 흘러나오고 있다.  

실제 화장품 업계의 중국 유통 관계자들은 “새해 중국의 수요 회복 기대감에 한국 화장품 발주가 크게 늘고 있다”  “코로나 봉쇄 등을 거치면서 공급망 관리 측면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과 단기간 공급 가능한 지정학적 이점을 갖춘 곳은 K-뷰티” “로컬 브랜드의 가격 인상으로 가성비를 갖춘 K-뷰티 선호도 상승” 등의 이유로 2023년 변화 조짐이 감지된다. 

한편 작년 중국+홍콩을 제외한 화장품의 수출 증가율은 6%다. 수출 10대국 중 한류 붐과 함께 K-뷰티의 진출이 활발했던 지역인 △미국(0.2%) △일본(-4.5%)이 기대만큼 실적을 이끌지 못했던 점이 아쉽다. 그럼에도 △베트남(24.4%) △러-우 전쟁에도 러시아의 선방(-0.7%) △대만(21.6%) △태국(13.6%) △말레이시아(10.2%) 등을 볼 때 동남아와 러시아+CIS가 ‘K-뷰티의 제2 중국’이란 점은 확실해졌다. 

1월 화장품 수출은 두 자릿수 감소로 시작했지만, 중국의 K-뷰티 수요 회복 기대감과 동남아·러시아에서의 호조가 2023년 전체 수출 실적을 좌우할 것이란 예측이 가능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