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전체기사 보기

11월 화장품 수출 6개월째 증가... 일본·아세안 시장에서 한·중 격돌

가성비 앞세운 中, 아세안 시장 50% 증가, 日에선 아이메이크업 턱밑까지 추격

화장품 수출이 6개월째 증가세를 보이면서 11월 누적 78억달러를 기록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11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액은 7.8억달러(+22.7%)로 올해 최대 증가율을 보였다. 기저효과에 미국·일본을 비롯 홍콩·아세안·러시아·UAE 등 신흥시장의 꾸준한 호조세가 실적을 이끌었다. 대한화장품협회에 따르면 전체 실적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상위 30위 국가 가운데 중국 등 4개국을 제외한 26개 국가에서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23. 10월 누적 수출액 기준) 하지만 화장품 수출 피크를 찍던 ‘21년에 비해 ’ 23년 수출액은 85%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측된다. 게다가 글로벌 시장을 놓고 수출 7위 중국이 다크호스로 떠오르며 향후 주요 시장에서 한·중 간 격돌이 불가피하다. 화장품 수출은 포스트 차이나 또는 China+가 절실한 상태. 대표 시장이 아세안이다. 아세안은 일본과 중국이 겨냥하는 핵심시장이어서 향후 한·중·일 삼국 대전이 벌어질 전쟁터가 될 가능성이 크다. 아세안 10개국은 우리나라 수출 상위에 대부분 랭크돼 있다.(5위 베트남 8위 태국 9위 싱가포르 10위 말레이시아 12위 인도네시아 19위 필리핀

흡입 노출 평가법 추가... ‘화장품 성분 위해평가 가이드라인’ 개정

EU 수준 위해평가 전문성 확보... 독성기준값 선정 방법, 유전독성 평가 고려사항 등 제시

화장품 위해평가 가이드라인이 12월 1일 개정됐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화장품연구과는 화장품 성분에 대한 위해 평가 개정안을 마련해 지난 11월 16일까지 업계 의견을 수렴했었다. 한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개정은 2017년 3월 이후 6년만이며, 현재 위해평가를 주도하고 있는 EU 수준에 맞춰 체계와 용어 등을 참고했다”고 설명했다. 개정 가이드라인에서는 ❶ 흡입 노출에 대한 평가 대상·방법·예시를 추가하고, ❷ 독성기준값(PODsys) 선정 방법, 유전독성 평가 시 고려사항 등을 명확하게 제시했으며, ❸ 독성자료 수집 방법 현행화 등 최신 글로벌 위해평가 방법을 반영하여 상세하게 설명했다고 식약처는 강조했다. 식약처는 이번 개정 가이드라인이 국산 화장품의 품질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한 국산 화장품의 개발과 수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이 구축한 CSRS 시스템은 기업이 많이 사용하는 다빈도 원료 5900여 종을 파악해 ‘22년 100종(비천연, 천연)의 안전성 정보조사 수행을 완료했다. ’23년에는 300여 종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자료조사는 CIR/SCCS 보고서를 주

[화제 집중] 9개 언어 번역, 20개국 판매·배송 ‘CBT 미니샵’ 서비스 론칭

전 세계에서 모바일로 소량 주문 판매, 배송... 구독형 서비스로 기존 플랫폼의 3분의 1 비용으로 D2C 해외직판몰 운영

글로벌 CBT 유통기업 ㈜브랜즈리퍼블릭(대표 박영만)은 9개국 언어로 번역되고 20개국에 판매, 배송할 수 있는 ‘CBT 미니샵’(mobile 버전)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CBT 미니샵’의 QR코드를 스캔하면 바로 판매 가능한 나만의 샵(shop)으로 연결되는 소비자 접점이 특징. ➊ 다국어 AI 번역 → ➋ 주력 상품 판매 배너 → ➌ 상품리스트(SKU) 확인 → ➍ 현지 카드 구매 결제 → ➎ 판매배송 국가 선택 등 다섯 번 터치로 고객의 문 앞까지 배송이 일사천리로 진행된다. 이 프로세스는 ‘CBT 비즈니스 알고리즘 특허결정’을 받았다. 박영만 대표는 “브랜드사들의 꿈은 자사몰 유입을 위한 D2C 마케팅이다. 이젠 ‘CBT 미니샵’만으로도 ▲ 해외직판 판매몰 ▲ 풀필먼트 서비스 ▲ 다국어 AI 번역 ▲ 글로벌 시장 겨냥 SNS 마케팅, 해외체험단, 해외인플루언서 연계 지원 등이 가능하다. 거대 플랫폼에 파묻혀 노출이 안 되는 것보다 ‘해외직판몰’ 형(型) D2C 글로벌 마케팅 활성화가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CBT 미니샵’의 활용은 무궁무진하다는 게 박 대표의 자신감. 첫째, 해외 진출 중소기업, 스타트업이라면 브랜드와 맞는 해외 시장은 어느

진흥원, ‘팝업부스+판매장’ 8개 지역 진출 사례 발표

‘24년 후보 지역은?... 유통·브랜드 컨소시엄의 균형과 역량, 윈-윈으로 수출다변화 기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원하는 ‘2023 중소화장품 해외진출 지원사업’의 성과 발표회가 28일 공간모아 회의실(서울역 소재)에서 열렸다. 진흥원은 ▲ 팝업부스 운영지원(잠재시장 발굴 및 신흥시장 개척) ▲ 판매장 운영지원(유망국가 맞춤형 지원 및 판로개척)으로 구분, 수출국 다변화를 지원하고 있다. 두 사업 모두 유통사+중소·중견 화장품기업의 컨소시엄 형태로 팝업부스는 7개사, 판매장은 15개사 내외로 구성된다. 진흥원 양지영 뷰티화장품산업팀장은 “올해 화장품 수출은 3분기 누적 3.4% 성장했으며, 82억달러 달성”을 예측하고 “‘K-Beauty On’ 사업을 통해 ‘18~’22년 사이 총 16개국 대상으로 115개사를 지원해 수출계약 3200만달러(384억원), 인허가 234건 등 성과를 냈다“고 밝혔다. 아울러 진흥원은 ‘24년 ➊ 팝업부스 △ 유럽(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 △ 중동 (카타르, 오만) △ 중남미(브라질, 멕시코) △ 아시아(호주, 뉴질랜드, 카자흐스탄) ➋ 판매장 △ 미주(미국, 캐나다) △ 중동(사우디아라비아) △ 아시아(일본, 필리핀, 몽골) △ 유럽(폴란드) 등을 대상으로 내년 4월 참여기업을 모집할 예정

KOBITA × 中 덕인당헬스케어, 업무 협약 및 중국 진출 방안 협의

K_뷰티 중국 재도약 및 심천 밍통 화장품 도매시장 진출 방안 협의

한국뷰티산업무역협회(KOBITA, 회장 김성수)는 지난 11월 27일 중국 베이징의 덕인당헬스케어(北京德仁堂保健科技有限公司)와 중국 화장품 도매시장 진출 방안을 협의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9월 초 업무 협약에 따른 조인식을 위해 김승중 부회장이 본사를 방문하고 상호 관심사 및 심천(深川, Shenzhen) 지역의 밍퉁(明通) 화장품 도매시장의 일반 무역 상품 유통 진출 방안 등에 대해 협의를 진행했다고 한다. 조인식에는 KOBITA 김승중 부회장과 덕인당헬스케어 회장과 대표 등이 참석했다. 김 부회장은 “이제 진입 문턱과 함께 중국 내 자체 화장품 기술력도 높아지고 세계의 큰 시장이 된 만큼 중국 화장품 시장에 대한 기존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것 같다”라고 전하며, “중국에서는 기초나 색조 제품 대신에 어린이, 민감성피부 및 고령자(새치, 탈모, 육모, 냄새) 케어에 대한 빈틈 또는 특화 제품 등을 찾고 있다”라며 진출 여지가 있다고 방문 소감을 이야기했다. 또한 그는 △ 중국 인허가 시 기재 표시 홍보 내용의 근거 데이터 마련 △ 온라인 시장 확대에 따른 대응 △ 시장(지역, 대상층) 세분화 필요성 △ 현지화 마케팅 전략 등이 필요하다며, “중국 내

대금감액, 판촉비용 전가 등 온라인쇼핑몰이 '불공정 거래' 최다

공정위 조사. 납품업체가 경험한 갑질 유통업체는 '온라인쇼핑몰'로 응답

대규모 유통업체 34개 : 납품업체 7천개에서 보듯 거래관행에서 불공정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은 상존한다. 27일 공정위는 ‘2023년 유통분야 거래관행 서면실태조사 결과’에서 온라인 분야의 거래관행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년에 비해 거래관행이 ‘개선’ 됐다고 응답한 납품업체의 비율은 90.7%로 전년(92.9%)보다 다소 감소했다. 오프라인이 모두 90%를 넘긴데 비해 온라인쇼핑몰만 유일하게 80.6%로 납품업체의 불공정행위 불만이 많았다. 쿠팡, 카카오(선물), 마켓컬리, SSG.COM 등 4대 플랫폼은 1600개 납품업체와 거래하며, 개선 응답률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항목별로 표준계약서 사용률은 98.4%로 대부분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위 유형별 불공정행위 경험률에서는 불이익 제공이 3.8%로 가장 높았으며, 영업시간 구속 및 종업원 부당 사용이 0.7%로 가장 낮았다. △ 대금지급(특약매입) 3.7% △ 판촉비용 부당전가 3.4% △ 대금 감액 2.7% 순이었다. 업태별 불공정행위 경험률은 12개 항목 중 경영정보 요구(백화점) 영업시간 구속(아울렛) 종업원 사용(아울렛)을 제외한 9개 항목에서 온라인쇼핑몰이 불공정행

LG생활건강, 프리미엄 색조 ‘글린트·프레시안’로 日 시장 공략

도쿄돔 전광판 광고 등 현지 마케팅 강화…오프라인 채널 입점 확대

LG생활건강이 프리미엄 색조 제품으로 일본시장 공략에 나선다. ‘글린트 바이 비디보브’와 ‘프레시안’은 11월 28~29일 글로벌 K-POP(케이-팝)시상식 ‘마마 어워즈(MAMA AWARDS)’가 열리는 일본 도쿄돔에서 홍보 활동을 전개하며 브랜드 알리기에 나선다. 글린트는 지난 6월 일본 온라인몰 ‘큐텐(Qoo10)’에 하이라이터를 첫 출시했다. 일본에선 100만 팔로워를 보유한 유튜버이자 메이크업 아티스트 ‘오다기리 히로’와 80만 팔로워를 보유한 유튜버 ‘하우스 더스트’를 통해 K-뷰티추천 아이템으로 떠오르고 있다. 프레시안은 지난 9월 주력 제품인 ‘에그라이크 쿠션’으로 일본 온라인 시장에 첫 발을 내딛었다. 마치 깐 달걀 같은 피부로 표현해주는 내추럴 커버 쿠션으로, 큐텐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차별화된 디자인과 패키지로 지난 10월 ‘일본 굿디자인 어워드’에서 본상을 수상했다. 글린트와 프레시안은 마마어워즈보다 하루 일찍 도쿄돔과 주변 옥외 전광판 총 4곳에서 브랜드 홍보를 진행한다. 유동 인구가 많이 몰리는 프리즘홀타워, 옐로우빌딩, 라쿠아스퀘어 등에 설치된 전광판에서 동시에 홍보 영상을 볼 수 있다. 행사 당일에는 브랜드 팸플렛과

중국 화장품협회 포럼, 한·중·일+EU+ 아세안+미국 등 교류

중국 로컬시장 우위로 자신감, RCEP 수출 강화, 아세안에서 한중일 경쟁 치열... 한국 ‘식물추출물 원료 안전성 평가’ 소개

중국화장품산업은 로컬 브랜드의 약진에 힘입어 어느 때보다 자신감이 엿보인다. 이는 2019년 이후 4년 만에 열린 중국화장품협회(CAFFCI, 中国香料香精 化妆品 工业协会)와 리이치24시차이나(REACH24H CHINA) 공동 주최로 지난(济南)시 켐핀스키 호텔에서 열린 대규모 총회 분위기에서도 풍겨난다. 그 배경은 2022년을 기점으로 “수출 증가, 수입 감소로 화장품 무역적자 폭 감소”로 고무된 분위기도 한 몫 했다. 실제 올해 들어 일본에선 퍼펙트다이어리, 화시쯔 등 중국 메이크업 브랜드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RCEP 회원국인 아세안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리이치24시코리아 손성민 대표는 “중국 화장품협회 총회(24~25일) 및 한국·중국·일본 교류회(26일) + 미국·유럽·아세안 인사들이 대거 포럼에 참가했다. 중국의 프로야, Bloomage 등 기업을 비롯 글로벌 협회, 규제 관계자 등 700여 명이 참석했다”고 전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한화장품협회 연재호 부회장을 비롯 주요 기업 관계자, 중국 지사에서 대거 참석했다. 손성민 대표는 “중국 규제 변화로 한·중·일 3국이 시장 변화를 주시하고 있으며, 공식적인 얘기 외에 각국 사정과 관련 민감한




포토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