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의 매출 추락은 날개가 없는가? 29일 ‘24년 3분기 실적 발표는 실망 자체였다. 이날 LG생활건강 종가는 35만원으로 연중 최저치와 불과 5만원 차이였다. 뷰티 사업이 부진하고 생활용품도 소폭 하락하며 전체 매출 증가율은 –0.7%로 바닥을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뷰티 사업은 중국 하락 외에 일본, 미국 등지에서 타사에 비해 이렇다 할 드라이브를 걸지 못해 매출 부진이 심각하다. 예전 중국 몰빵 이후 캐즘이 깊어지고 있다. 뷰티 매출은 ’24년 1분기 7409억원(+5.6%) → 2분기 7596억원(-2.7%) → 3분기 6506억원(-2.9%)으로 하락세다. 영업이익은 ‘24년 1분기 631억원 → 2분기 728억원 → 3분기 114억원으로 급감했다. 3분기 누계 1472억원으로 매출 2조 1512억원에 비해 영업이익률이 6%에 불과, 수익성이 훼손됐다. 이는 마케팅 비용 부담이 크다는 반증이다. LG생활건강은 “온라인, 헬스앤뷰티(H&B) 등 국내 주요 육성 채널에서는 성장을 지속했으나, 면세점 업황 둔화와 해외 사업 효율화 영향으로 전체 매출은 하락했다. 중국에서는 더후 브랜드를 중심으로 온라인에서 매출 고성장이 이어졌다. 직
일본의 소비재 수입벤더는 한국 소비재의 경쟁력으로 ▲ 코리아 어드밴티지 확산 ▲ 우수한 품질과 수준 높은 디자인 ▲ 신선한 아이디어로 체험 욕구 자극 ▲ 성실, 납기 엄수로 한국기업 신뢰 등을 꼽았다. 지난 7~8월 일본지역 4개 코트라 무역관(도쿄, 오사카, 나고야, 후쿠오카)은 한국 소비재를 수입하는 일본 벤더를 인터뷰한 결과 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4대 키워드로 본 일본 소비시장 트렌드와 한국 소비재의 기회‘ 참조) “K-POP이나 SNS를 통해 알게 된 한국 유명 아이돌, 가수가 모델로 기용된 브랜드, 제품이 마케팅 효과를 누리며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일본의 화장품 바이어 W사 관계자의 말이다. 이처럼 한류 유행, 우호적 한일관계가 ‘코리아 어드밴티지’를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며, 한국 소비재 수입 결정을 용이하게 한다는 분석이다. 조사에 따르면 최근 한류는 아마존프라임, 넷플릭스 등 온라인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과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SNS 통해 알려지면서 全 세대에 폭넓게 소비되고 있다. 이는 한국과 한국산 소비재에 대해 현지 소비자들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도록 만들어주는 ‘코리아 어드밴티지’를 형성했다. 이에 따라 수입 유통벤더와 각 판
올해 3분기까지 화장품의 일본 수출은 7.4억달러로 23% 증가했다. 현재 일본 수입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점유율이 하락 추세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베이스 메이크업 및 스킨케어 제품 부문에서 프랑스와 중국의 추격이 매섭다. 일본 화장품수입협회에 따르면 상반기(1~6월) 베이스 메이크업, 피부용 화장품류 점유율은 △ 한국 40.5%(372.7억엔, +18.6%) △ 프랑스 27.9%(256.6억엔, +27%) △ 미국 10%(94.6억엔, -3.3%) △ 중국 3%(31.9억엔, +74.6%) △ 이탈리아 2%(26.6억엔, +19%) 순이었다. 한국 보다 프랑스와 중국의 큰 폭 증가는 ▲ 피부 톤을 즉각적으로 보정하는 베이스 컬러 ▲ 다양한 피부 고민 감춰주는 하이라이터(highlighter) 등 일본 소비자 고민에 따른 트렌드 변화가 이유로 꼽힌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6호(일본 편) 먼저 일본 소비자들은 고온다습한 기후에 무너지지 않고 깔끔한 베이스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의 연장으로 컨트롤 컬러 제품을 다시 찾는다고 한다. 컨트롤 컬러(Control Color)란 색의 성질을 이용해 톤을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