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화장품감독관리조례’ 시행으로 촉발된 글로벌 규제 전쟁은 미국을 자극, 85년만에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 개정에 이르게 했다. 이는 중국 화장품의 무분별한 수입을 막기 위해 유럽이 CPNP를 제정한 이후 글로벌 화장품 규제 전쟁이 본격화됨을 뜻한다. CPNP, NMPA, MoCRA 모두 공통적으로 위해 화장품 발생에 대비한 ‘사후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글로벌 시장 1~3위를 차지하는 미국, 중국, EU의 공통 규제는 ▲ 제품정보파일(PIF), 안전성평가 자료(CPSR) 등록 및 제출(중국) ▲ 사후관리를 위한 재경책임자(NMPA)·RP(CPNP)·미국 내 책임자(MoCRA) 지정 등을 요구한다. 이는 수출 주도형 한국 화장품산업의 대응도 이에 맞춰져야 함을 뜻한다. 그러기 위해선 현행 인증 획득 과정에서 △브랜드사 △제조사 △에이전시의 역할이 좀 더 정교해야 한다는 게 업계 공통의 비판이다. 인증 획득 과정에서 정보 공유와 소통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먼저 각국별 규제 요구 서류의 작성이 중요해졌다. 지금까지 △ 국가, 지역별로 요구하는 서류 양식과 자료가 다르고 ② 건별로 브랜드사-제조사-에이전시 각자 대응하다 보니 서류의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 2023(Cosmoprof Asia Hong Kong 2023)이 오는 11월 14일~16일 홍콩에서 열린다. 이와 관련 주최사인 인포마(Informa markets) 한국(주)은 26일 코엑스에서 아-태 지역의 시장 기회를 모색하는 세미나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인포마마켓한국(주) 오세규 대표, 인포마마켓 엔젤 푸(Angel Fu) 이벤트 디렉터, 리이치24시코리아(주) 손성민 대표 등이 참석해, ‘한국 기업이 홍콩에 가야 하는 이유’를 제언했다. 코스로프로프 홍콩은 매년 600여 개 이상 한국 기업이 참가하는 빅 이벤트. 그러나 지난해는 중국의 코로나 봉쇄로 인해 싱가포르로 옮겨 개막했으나 기대에 못미쳤다는 평가다. 이에 올해 코스모프로프 홍콩에 거는 기대가 커졌다. 하지만 중국 시장에서 K-뷰티가 고전하며 최근 3년간 수출액이 36.3억달러(‘20) → 45.1억달러(‘21) → 29.8억달러(’22) 등 3위로 추락, 비관적 전망이 많다. 때문에 홍콩 참가에 대해 기업의 고민이 적지 않다. 이에 대해 인포마마켓한국(주) 오세균 대표는 “중국 시장 개방, 개척에 ‘코스모프로프 아시아’를 활용할 것과 해외 바이어와의 미팅 장소로 최
화장품 과학자들의 지(知)의 향연, 대한화장품학회 춘계학술대회가 5월 25일 더케이호켈 그랜드볼룸에서 열렸다. 사전등록자 550여 명 및 현장 등록자로 입구부터 붐빈 가운데 모두 750여 명이 참석했다. 4개 분과별 논문, 구두 발표 등 20편의 논문과 67편의 포스터 등이 발표됐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이날 학술대회는 ▲ 기조강연 : 글로벌 히트 제품 마케팅 전략(씨엘메르 양창수 대표) ▲ 초청강연 ① The Perspective of Cosmetic Ingredients with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Modulating Activities (서울대 노민수 교수) ② Now You Can See Flour Scents (KAIST 김형수 교수) ③ Requirements of Pickering Emulsion as a Cosmetic Product (KAIST 최시영 교수) ▲ ①소재분과 ②평가 및 임상분과 ③제형분과 ④피부분과 별 논문 발표 등 순으로 진행됐다. 대한화장품학회 박영호 회장은 개회사에서 “K-뷰티는 비즈니스·학술 측면에서 한 단계 더 큰 도약을 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하기 위한 중요한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