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K-뷰티 혁신 종합전략’...신성장동력 창출에 초점

G3 도약, 글로벌 브랜드로의 성장 전략 제시...중소기업 Scale Up 통해 일자리 9만개 창출



정부 합동으로 27일 ‘K-뷰티 혁신 성장전략’이 발표됐다. 지난 ’19년 12월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한 ‘(K-뷰티) 미래 화장품산업 육성방안’ 이어 1년 만에 연달아 ‘G3 도약’ 목표를 밝혔다. 

두 계획의 골격은 기본적으로 비슷하다. ‘미래 화장품산업 육성방안’ 평가에서 R&D 예산 284억원 확보, 맞춤형화장품판매업 신설, 조제관리사 운영, K-뷰티 체험홍보관 신설 예산확보, 해외 화장품 판매장 및 팝업부스 확대 운영, 국제 K-뷰티 스쿨 설치 예산확보, 클러스터 구축 연구 진행 등이 지난 1년간의 성과로 예시됐다.   

이번에 나온 성장전략은 ▲수출 3위(100억달러), 수출다변화(신남방국가 점유율 20%) ▲일자리 창출[7.3만개(‘19)→9.3만개(’24)] ▲글로벌 리딩기업[100위 4개(‘20)→7개사(’24)] 및 강소기업 육성[매출 50억원 이상 200개사(‘19)→391개사(’24)] 등을 목표로 제시했다. 새롭게 그린 뉴딜과 친환경 용기 개발, K-뷰티 특화 클러스터가 추가되고, (가칭)화장품산업육성법 제정 추진을 명시화했다. 



이는 산학자문회의(‘19.1~4)), 중소 화장품기업 대상 애로사항 조사(’20. 5~7), 화장품업계 설문조사(20.11~12) 등에서 취합된 건의사항을 반영한 것이다. 

당시 업계는 ▲화장품 소재의 국산화+대체재 개발 ▲피부 맞춤형화장품 개발의 정부지원 ▲화장품업계 애로사항 해결 위한 정부 차원의 전주기 통합 지원 ▲중국시장 재도약 및 K-뷰티 브랜드화를 통한 신남방·북방진출 투트랙(two-track) 수출전략 등을 건의한 바 있다. 

현재 화장품산업은 좁은 내수시장에 책임판매업자 2만220개, 제조업자 4198개의 과포화 상태. 게다가 브랜드 빅2(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제조 빅2(코스맥스, 한국콜마) & 난장이로 구분되는 K형의 취약한 구조다. 때문에 정부가 중소기업의 Scale-up을 통한 전후방 산업 확장 및 밸류체인 강화에 나선 점은 다행스럽다. 


이에 따라 정부는 화장품산업 지원인프라 구축을 위해 ①K-뷰티 종합 컨설팅 제공 ②뷰티 전문가 양성 ③K-뷰티 클러스터 조성 ④(가칭) 화장품산업 육성법 제정 추진 등을 마련했다. 

먼저 화장품 분야별 민간전문가 확보를 통해 연구개발, 해외 인허가, 수출 절차, 시장정보 등 기업 맞춤형 종합 컨설팅을 ‘21년부터 지원하며, 해외시장 동향 및 수출관련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한다. 

둘째 정부 차원의 ’국제 K-뷰티 스쿨‘을 설립해 뷰티서비스 교육과정을 운영, 연간 8400여 명에게 전문교육을 실시한다. 화장품 현업 종사자 대상으로 수출, 제형개발·연구 등 교육과정 다변화 및 예비창업자 대상 스타트업 교육과정 신설 등 전문가 양성을 강화한다. 

이밖에 화장품산업 육성의 법적·제도적 근거를 마련해 체계적으로 지원하며, 산·학·연 및 교육·문화·관광 등으로 집적된 K-뷰티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K-뷰티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신남방 국가를 중심으로 판매장, 팝업부스 등을 운영, 수출점유율을 11%(’19)→20%(’22년)까지 늘릴 계획이다. 신흥 경제권인 RCEP협정국(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호주 등)을 대상으로 수출 정보 및 컨설팅을 제공한다. 러시아를 포함한 유라시아 주요 국가의 EAC인증(역내 공산품 품질·안전성 인증제도)의 화장품 인허가 획득도 지원한다. 

K-뷰티 홍보를 위해 서울 명동·강남 등에 ‘K-뷰티 체험·홍보관’ 운영(예산 9.5억원), 뷰티 서포터즈 운영, 한류 협업상품 제작 등도 ’21년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