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중국에 이어 미국이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 제정에 나서면서, 화장품 업계에서 해외인증 절차의 ‘합리화 요구’가 거세다. 해외 인증 절차에 따르기 위해선, 3자간 효율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즉 브랜드사는 유통과 마케팅에만 집중하고 싶어 한다. 제조사는 법규에 따른 통일된 서식 준비 시간을 줄이려고 한다. 인증대행사는 규제 서류의 법적·안전성자료 확보 검토 준비에 바쁘다. 각자의 사정이 이럴진대 효율적인 프로세스 수립이 요구된다. 대표적인 사례로 EU의 CPNP 등록의 경우 ‘브랜드사-제조사-등록(RP) 대행사’ 등 세 당사자들이 최소 4단계 이상의 업무 프로세스를 거쳐야 한다. 곧 ① 브랜드 기업 → 등록(RP) 대행사 업무 요청 ② 등록(RP) 대행사 → 브랜드 기업에 기본 서류 취합양식과 내용 전달 ③ 브랜드 기업 → 제조사에 ②항과 동일한 내용 요청 ④ 제조사 → 브랜드 기업에 해당 서류 제출 ⑤ 브랜드 기업 → 등록(RP) 대행사에 해당 서류 전달 등의 과정이 예외 없이 이뤄지고 있다. 이를 2단계로 축소함으로써 등록업무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물론 브랜드 기업과 제조사와의 기본 소통을 전제로 하고, 모든 업무
메저커머스가 주최한 ‘더라이징 2024: 글로벌로 떠오르는 스몰 브랜드’ 세미나가 26일 섬유센터 이벤트홀에서 열렸다. 세미나에는 430여 명의 브랜드, 제조사 관계자들이 참석, 4P의 ‘차별화’ 사례를 공유했다. 글로벌 화장품시장은 “모두가 돈이 없는 가운데, 중저가 선호 트렌드 지속”(오린아 이베스트투자증권 애널리스트) 전망이다. 소비 주류로 떠오른 MZ세대의 개인화 소비 성향은 ‘차별화’로 무장한 스몰 브랜드의 급성장(윤정하 잼페이스 대표)을 불러왔다. 상위 50개 제품의 66%가 중소 브랜드 제품이고, 찜 상위에 오른 중소 브랜드의 제품 역시 롱테일 법칙을 따르고 있다고 한다.(잼페이스 앱 조사) ‘80%의 사소한 다수가 20%의 핵심 소수보다 뛰어난 가치를 창출’해 시장을 풍성하게 하리라는 기대다. 세미나는 메저커머스 천계성 대표의 사회로 ▲ 2024 유통 시장 전망(이베스트투자증권 오린아 애널리스트) ▲ 데이터로 본 글로벌 라이징 트렌드와 K-뷰티(메저커머스 신지선 애널리스트) ▲ 제조사가 바라본 미국 진출 성공 전략(그린코스 조경철 전략마케팅팀장) ▲ 나만의 브랜드로 누군가의 인생템 만들기(㈜온유 홍울 대표) ▲ 터지는 스몰 브랜드, 이렇게 만들
인천공항 면세점의 중소·중견 사업자로 선정된 ㈜시티플러스(City Duty Free)의 안혜진 대표는 “오는 12월 20일 오픈을 목표로 부티크 코스메틱(boutique cosmetic)을 구성한다. 기존 면세업계에 알려지지 않은 신규 브랜드를 모시고 싶다. K-뷰티의 ‘히든 챔피언’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트렌디(trendy) 하면서도 스타일리쉬(stylish)한 K-뷰티 인디 브랜드를 만나고 싶다”며 열의를 보였다. 27일 ㈜시티플러스 대회의실에서 오전·오후 두 차례 열린 입점 설명회에는 KOBITA 회원사 50여 곳이 참여했다. ㈜시티플러스는 지난 4월 관세청 ‘보세판매장 특허심사위원회’에서 인천공항 출국장 면세점의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후 준비작업을 거쳐 12월 오픈할 예정이다. 안 대표는 “면세사업권은 10년이며, 임대료 산정 방식을 기존 정액제에서 ‘이용객 연동제’로 변경해 이전보다 수익성 확보가 유리해졌다. 앞으로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된다면 중소기업과의 상생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면세사업권 선정 시 안혜진 대표가 가장 먼저 ‘이용객 연동제’를 강력히 주장하고 이를 관철해 면세업계에서 큰 화제를 모았었다. 시티플러스
최근 화장품 업계 이슈는 ‘미국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의 ‘시설등록 및 제품 리스팅’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에 쏠리고 있다. ‘2023년 12월 29일까지’라는 시한 마감 때문에 어리둥절 또는 혹 차질 빚을까 염려하는 분위기다. 25일 열린 FDA화장품인증원(대표 정연광)이 주최한 ‘FDA 화장품 등록 기초 세미나’에서도 기업들은 ▲ 하나의 품목 생산을 여러 공장에서 나누어 진행할 때 시설등록은? ▲ 마이크로니들 패치, 줄기세포 배양액 화장품의 화장품 적용 여부 ▲ 라벨에서 미국 주소, 전화번호 and(or) 이메일의 선택은? ▲ 유통사가 알아야 할 사항은? 등의 질문이 나왔다. FDA화장품인증원 정연광 대표는 “사실 미국 현지 변호사와 함께 기업들이 궁금해하는 질의에 대해 상세한 대응을 체크하고 있다. 다만 포털이 오픈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별 사정에 따라 실제 등록 성공 여부는 베타 테스트를 거쳐야 확인할 수 있다. 지금은 필수 서류나 정보를 미리 파악,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제조사의 경우 시설등록에, 브랜드 또는 유통사는 제품 리스팅 시 구비해야 할 서류 준비 대응에 대해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제조시설 등록 필
대한화장품미용학회는 오는 11월 17일 성신여대 운정그린캠퍼스 C동 중강당에서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K-beauty insight Forum'를 주제로 화장품, 뷰티 및 다양한 분야의 상호협력과 공동연구를 통한 학제간 융·복합 연구 관련 논문이 발표될 예정이다. 특별강연으로 △ 화장품 기술동향(2023 세계학술대회 중심)- 지홍근 CTO(H&A파마켐) △ 환경과 사회변화 속 코스메틱 6차 산업- 윤서희 대표(위드 보태닉) 등이 발표된다. 한편 한국화장품미용학회는 회원을 대상으로 학회지 게재 논문을 11월 10일 마감한다. (투고 :https://www.dbpiaone.com/kscc/index.do(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
식약처는 25일 ‘화장품 중 배합금지성분 분석법 가이드라인’과 ‘화장품 분석법 영문자료집’을 개정·배포한다. 이번에 안내하는 화장품 배합금지성분 분석법에 따르면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프탈레이트류 성분 수가 3종에서 7종으로 늘어난다. 또 아트라놀, 클로로아트라놀의 분석시간을 단축하는 등 배합금지 성분 23종에 대한 최신 분석법도 소개한다. 또한 ‘화장품 분석법 영문자료집’은 화장품 사용한도를 정해 관리하는 소듐라우로일사코시네이트(보존제) 등 30종의 물질 정보, 국내 보존제 사용기준, 시험방법(전처리법, 크로마토그램, 계산식) 등 정보를 영문으로 제공한다. 식약처는 화장품 품질관리에 필요한 과학적 분석법을 제공하여 업계의 화장품 안전관리에 도움을 주고, 수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가이드라인은 식약처 누리집(www.mfds.go.kr) → 법령/자료 → 법령정보 → 공무원지침서/민원인안내서 → 민원인안내서에서, 영문자료집은 평가원 누리집(www.nifds.go.kr) → 정보마당 → 간행물·자료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코로나 이후 최대 쇼핑데이인 솽스이(双11 2023)의 사전 판매가 10월 20일부터 시작, 11월 11일까지 진행된다. 플랫폼마다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며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는 소식이다. 코트라 베이징무역관에 따르면 “중국판 블랙 프라이데이로 불리는 솽스이는 올해 경영실적을 크게 올릴 수 있는 마지막 이벤트로 업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양상”이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소비자의 트렌드와 수요에 만족하기 위해 플랫폼들은 가격, 제품 및 브랜드 다양화, 서비스, 유통 등에서 차별화된 전략을 세우고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이에 공급망과 재고관리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中 최대 쇼핑데이를 앞두고 마케팅 총력전에 나선 전자상거래 플랫폼' 인용) 작년의 경우 코로나 봉쇄로 티몰 등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11월 11일 당일 거래 실적을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아이미디어 리서치는 2022년 당일 매출액은 전년 대비 2.2% 감소한 3076억위안이라고 추산했다. 이 때문에 올해 시장의 기대가 더욱 커졌다. 다만 △ 지난 618 쇼핑데이 플랫폼 누적 판매액( 5.31~6.18)은 6143억위안(+5.44%) △ 2023년 전자상거래 라이브방송 판매액 4
‘조선미녀’의 설계자로 널리 알려진 김강일 대표가 비밀스런(?) 행보를 예고했다. 지난 18일 기자와 만난 김 대표는 “아름다움을 지킬 수 있는 24시간의 비밀‘이란 콘셉트로 ’24 Secret'을 론칭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새롭게 올그레이스(All Grace)를 설립하고 비디오 커머스(video commerce)를 처음 도입한 강자로서의 면모를 되찾겠다는 각오다. 그 배경엔 2015년 우먼스톡 창업 후 쌓은 130만명의 유저가 힘을 보탠다. 김강일 대표는 “모든 사람은 공평하게 주어진 하루 24시간 동안 나만의 행복과 꿈을 찾아 살아간다. 그 사이 잘 씻고(01) 잘 먹고(02) 잘 보호(03)하고 잘 관리(04) 해야 한다”라며 “24 시크릿은 고유의 스토리를 통해 비밀 제품 24가지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향후 카테고리도 코스메틱에서 이너뷰티, 디바이스 등으로 소비자 접점을 확대한다. 그 첫 작품이 01 Secret ‘폼 투 워터 클렌저’(form to water cleanser)다. 미세 버블이 메이크업을 녹아내리는 과정에서 부드러운 롤링을 통해 마무리되는 과정이 시각적으로 재현한 3세대 클렌저라는 설명이다. 세정(1세대)-오일 클렌저(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