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맹본부가 강제로 지정한 자와 거래토록 하려면 그 내용을 계약서에 기재해야 한다. 이같은 내용을 담은 ‘가맹사업 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가맹사업법)이 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공정위는 밝혔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가맹본부가 가맹점주에게 특정한 거래상대방과 거래할 것을 강제하는 품목, 이른바 필수품목의 종류와 공급가격 산정방식을 계약서에 필수적으로 기재하도록 의무화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가맹본부가 ▲ 너무 많은 품목을 필수품목으로 지정하고, ▲ 일방적으로 가격을 인상하면서도 ▲ 가격 산정방식 등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가맹점주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이었다. 특히, 필수품목을 시중 가격보다 비싼 가격에 구매하도록 강제하거나, 원자재 가격 인상 등을 이유로 공급가격을 가맹점주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인상하는 경우가 있어 가맹점주들이 고통을 호소하였다. 개정안이 시행되면 필수품목의 지정·변경·가격산정 등 일체의 거래과정이 계약에 포섭된다. 구체적으로 가맹희망자와 가맹점주들은 자신들이 가맹본부로부터 구매하게 될 필수품목의 항목과 공급가격 산정방식을 인지하고 거래할 수 있게 되어, 거래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계약에 반
공정거래위원회는 ㈜‘CJ 올리브영의 납품업체들에 대한 ▲ 행사독점 강요 ▲판촉행사 기간 중 인하된 납품가격을 행사 후 정상 납품가격으로 환원해 주지 않은 행위 ▲정보처리비 부당 수취행위에 대해 시정명령 및 과징금(18억 9,600만 원)을 부과하고, 법인 고발을 결정했다고 7일 밝혔다. 행사독점 강요는 지난 2019년부터 현재까지 자사 행사(파워팩 및 올영픽) 진행시 당월과 전월에 타 H&B 스토어 경쟁사(랄라블라, 롭스)에서 동일 품목으로 행사를 진행하지 못하도록 납품업체게 요구한 사실이 적발됐다. 점유율이 높은 올리브영이 단독 납품거래를 하지 않는 업체(Non-EB 브랜드)를 대상으로 랄라블라, 롭스의 거래 참여를 막음에 따라 피해를 입혔다는 설명이다. 파워팩은 노출 효과 높은 매대 P1, 올영픽은 파워팩 다음으로 노출효과 높은 매대 P2~P6를 말한다. 또 CJ올리브영은 2019년 3월~2021년 6월 사이 파워팩 행사시 납품업체로부터 인하된 납품가격으로 판매하고, 행사 종료 후 남은 상품을 정상가격으로 판매하면서 차액 8억여원을 부당하게 수취해 ‘정상 납품가격 미환원 행위’로 적발됐다. 아울러 CJ올리브영은 납품업체 의사와 상관없이 자사 전산시
화장품의 10월 온라인 매출은 7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4일 통계청의 ‘2023년 10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은 1조636억원으로 전년 대비 17.1% 증가했다. 대용량 절약형 물품의 온라인 구매가 늘고 가을 야외활동, 여행상품 등 판매호조 등과 동반해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업의 체감경기는 바닥이다. 기자가 만난 온라인 기업 대표는 “코로나 때보다 매출이 더 떨어졌다. 소비가 위축되며 소비자들의 씀씀이가 크게 줄었다. 고물가, 고금리 등 전반적인 경기 침체로 매출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플랫폼 할인행사 때만 대용량, 할인율 높은 제품 위주로 매기가 있을 뿐 단품은 30% 이상 확 빠졌다는 얘기다. 다만 엔데믹으로 성장세가 꺾일 것 같았던 온라인 쇼핑은 여행, 문화, 레저 등에 힘입어 성장률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통계청 10월 온라인쇼핑 조사에서도 여행 및 교통서비스(28.6%), 음‧식료품(15.6%), 이쿠폰서비스(48.9%) 등의 영향으로 전체 온라인쇼핑은 전년에 비해 11.8% 증가했다. 또한 고물가, 고금리 상황 지속으로 합리적 소비형태(가성비, 최저가, 할인)가 일상화되면서 온라인 쇼핑 강
글로벌 CBT 유통기업 ㈜브랜즈리퍼블릭(대표 박영만)은 9개국 언어로 번역되고 20개국에 판매, 배송할 수 있는 ‘CBT 미니샵’(mobile 버전)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CBT 미니샵’의 QR코드를 스캔하면 바로 판매 가능한 나만의 샵(shop)으로 연결되는 소비자 접점이 특징. ➊ 다국어 AI 번역 → ➋ 주력 상품 판매 배너 → ➌ 상품리스트(SKU) 확인 → ➍ 현지 카드 구매 결제 → ➎ 판매배송 국가 선택 등 다섯 번 터치로 고객의 문 앞까지 배송이 일사천리로 진행된다. 이 프로세스는 ‘CBT 비즈니스 알고리즘 특허결정’을 받았다. 박영만 대표는 “브랜드사들의 꿈은 자사몰 유입을 위한 D2C 마케팅이다. 이젠 ‘CBT 미니샵’만으로도 ▲ 해외직판 판매몰 ▲ 풀필먼트 서비스 ▲ 다국어 AI 번역 ▲ 글로벌 시장 겨냥 SNS 마케팅, 해외체험단, 해외인플루언서 연계 지원 등이 가능하다. 거대 플랫폼에 파묻혀 노출이 안 되는 것보다 ‘해외직판몰’ 형(型) D2C 글로벌 마케팅 활성화가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CBT 미니샵’의 활용은 무궁무진하다는 게 박 대표의 자신감. 첫째, 해외 진출 중소기업, 스타트업이라면 브랜드와 맞는 해외 시장은 어느
대규모 유통업체 34개 : 납품업체 7천개에서 보듯 거래관행에서 불공정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은 상존한다. 27일 공정위는 ‘2023년 유통분야 거래관행 서면실태조사 결과’에서 온라인 분야의 거래관행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년에 비해 거래관행이 ‘개선’ 됐다고 응답한 납품업체의 비율은 90.7%로 전년(92.9%)보다 다소 감소했다. 오프라인이 모두 90%를 넘긴데 비해 온라인쇼핑몰만 유일하게 80.6%로 납품업체의 불공정행위 불만이 많았다. 쿠팡, 카카오(선물), 마켓컬리, SSG.COM 등 4대 플랫폼은 1600개 납품업체와 거래하며, 개선 응답률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항목별로 표준계약서 사용률은 98.4%로 대부분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위 유형별 불공정행위 경험률에서는 불이익 제공이 3.8%로 가장 높았으며, 영업시간 구속 및 종업원 부당 사용이 0.7%로 가장 낮았다. △ 대금지급(특약매입) 3.7% △ 판촉비용 부당전가 3.4% △ 대금 감액 2.7% 순이었다. 업태별 불공정행위 경험률은 12개 항목 중 경영정보 요구(백화점) 영업시간 구속(아울렛) 종업원 사용(아울렛)을 제외한 9개 항목에서 온라인쇼핑몰이 불공정행
후원방문판매업의 상위 20개 기업 가운데 화장품 판매사가 13개일 정도로 주류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1년에 비해 매출액은 감소했으며, 2개사가 탈락하고 새로 3개사가 20위권에 진입, 순위 변동이 심했다. 공정위의 ‘2022년도 후원방문판매업자 정보’에 따르면 2020년 이후 판매업자 수 증가세는 지속되고 있으나 매출액은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후원방문판매업자 수 5,472개(′21년) → 5,594개(′22년) 2.2%↑ △ 후원방문판매원 수 853,128명(′21년) → 913,045명(′22년) 7.0%↑ △ 매출액 합계 2조 9,938억 원(′21년) → 2조 8,324억 원(′22년) 5.4%↓] 매출 순위로 ㈜리만코리아,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코웨이㈜ 등 상위 4개사가 전체 시장 매출액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3.9%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한 이들의 등록 판매원 수도 시장 전체 등록 판매원 수의 69.28%를 차지하는 등 시장구조가 집중되었으며, 대부분 큰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다. 후원수당 지급총액은 7,243억 원으로, 전년(7,547억 원) 대비 4.0% 감소했다. 후원수당을
LG생활건강(대표 이정애)이 29년 만의 LG트윈스 한국시리즈 정상 등극을 기념해 ‘LG윈윈페스티벌’을 개최한다. LG생활건강은 뷰티, 생활용품 온라인 직영몰을 중심으로 각 브랜드의 대표 제품들을 소비자가에서 71% 할인된 ‘29%’가격에 판매하는 등 파격 할인 행사를 준비했다. 먼저, 화장품 14개 브랜드 직영몰에서 대표 제품 위주로 준비했다. 빌리프는 ‘더 트루 크림 아쿠아밤 30㎖ 기획 세트’(29,000원→8,410원)를, 오휘는 ‘얼티밋 핏 톤업 진 쿠션’(60,000원→17,400원), CNP는 ‘프로페셔널 솔루션 비타-C에너지 앰플’(49,000원→14,210원)을 71% 할인된 가격에 판매한다. 숨37°‘ 마이크로액티브 토닝워터 기획 세트’도 소비자가(50,000원)의 29%인 14,500원에 만나볼 수 있다. 이외에도 브랜드별 직영몰에선 △ 비욘드(피토 아쿠아 크림 스페셜 세트) △ 글린트(스틱 하이라이터) △ 코드글로컬러(오일컷 팩트) △ 프레시안(센슈얼 비건 립밤)을, 더페이스샵 직영몰에선 △ fmgt(잉크래스팅 파운데이션 슬림핏) △ 더페이스샵(더테라피 비건 블렌딩 크림 기획 세트) △ 닥터벨머(어드밴스드 시카 리커버리 크림 60㎖)을,
8일 신세계인터내셔날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158억원(-18.5%) 영업이익 60억원(-75.1%)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높은 기저와 소비심리 위축, 일부 브랜드 계약 종료가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고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설명했다. 부문별로 수입 화장품은 매출이 7.9% 증가하며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딥티크, 바이레도, 산타마리아노벨라 등 니치향수 브랜드가 좋은 실적을 이어가고 있으며, 비건 지향 뷰티 브랜드 아워글래스(+119%), 미국 뷰티 브랜드 멜린앤게츠(+36%), 프랑스 니치향수 메모파리(+10%) 등이 약진했다. 자체 화장품 브랜드인 럭셔리 뷰티 브랜드 뽀아레(+43%)와 연작(+42%)이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으며, 신세계인터내셔날이 2020년에 인수한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스위스퍼펙션도 해외 신규 유통망을 확보하며 성장세를 나타냈다고 한다. 수입 패션도 좋은 성과를 거뒀다. 슈즈 브랜드 어그(UGG)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9.4% 증가했으며, 캐시미어의 제왕으로 불리는 이탈리아 패션 브랜드 브루넬로 쿠치넬리는 11.9%, 지난해 론칭한 필립플레인골프는 57.8% 매출이 증가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계절적 성수기에 접어든 4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