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무역통상연구원(IIT)가 한국제품을 수입하는 중국 바이어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인터뷰 조사 결과, 중국 바이어들은 한국제품을 구매할 때 ➊ 주로 품질을 고려하며, ➋ 전시/상담회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➌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한국제품을 유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IT, '중국 바이어가 본 한국 소비제품 경쟁력 및 시사점‘) 바이어들은 한국제품 중 화장품, 미용용품, 식품, 의료보건용품 등이 향후 중국시장에서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중국시장에서 한국 상품의 인기는 줄어들었고, 그 원인으로 중국 상품이 한국 상품을 대체가능 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바이어가 가장 많았다. 또 한국 제품은 동남아 및 중국제품 대비 가격 경쟁력에서, 미국·EU 대비 브랜드 경쟁력에서 열위에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 바이어들은 한국기업과 거래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 한국 시장에 대한 정보 부족 △ 한·중간 외교관계 영향 △ 한국 거래처 발굴 어려움 등을 꼽았다. 바이어 설문 조사 결과에 대해 IIT는 ① 향후 중국 시장 진출 시 품질·가격 중심 실용적 접근 ② 중국 현지 전시회·상담회 참여 확대 ③ 다양한 온라인 거래 알선 플랫폼 내실화
4월 화장품 수출액은 8.6억달러(+26%)로 11개월째 증가세를 보였다. 1분기 71%~1.1%로 들쑥날쑥한 가운데 중성장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모양새다. 이로써 1~4월 누적 31.5억달러로 전년 대비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4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은 20대 품목 가운데 유일하게 작년 6월 이후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대한화장품협회가 집계한 화장품의 1분기 수출 동향을 보면 △ 중국 소폭 감소(-8.2%) △ 미국·일본·유럽 수출 호조 △ 아세안·중동 등 신흥시장의 두 자릿수 증가 △ 러시아·CIS의 하락세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수출다변화 확산과 함께 1분기 1천만달러 이상 수출국 증가 [ 27개국(‘23) → 29개국(’24)] 등 실적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처음으로 수출 점유율에서 미국(16%)+일본(10.4%) 〉 중국 25.8%을 넘어섰으며 중·미·일 3국 쏠림 현상은 지속되고 있다. 리이치24시코리아(주) 손성민 대표는 “대 중국 수출은 톤당 수출가가 인하됐음에도 수출액도 축소되며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미국, 일본, 아세안 주요국가로의 수출은 수출다변화로 소기의 성과를 거
화장품 종사인원이 바이오헬스산업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보건산업진흥원이 발표한 ‘2022년 바이오헬스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화장품은 제약, 의료기기에 비해 3만여 명이 많았다. 전체 종사자 수는 34만 2167명이며 부문별로 △ 화장품 13만 186명(+0.04%) △ 의료기기 10만 9996명(+7.2%) △ 제약 10만 1984명(+1.8%) 순이었다. 이번 보고서는 바이오헬스산업 관련 제품을 제조, 수입 및 연구 개발하는 기업체를 대상으로 △ 매출(산업별, 유형별) △ 인력(산업별, 직무별, 전문인력) △ 연구개발(재원별, 사용별, 세부 산업별, 산업재산권) △ 해외진출(진출 유형, 글로벌 협력활동) 등의 실태 조사 결과를 담고 있다. 먼저 바이오헬스산업의 매출 규모는 134조 2929억원(+7.3%)으로 나타났다. 부문별로 △ 제약 50조 원(+13.3%) △ 의료기기 45조원(+15.6%) △ 화장품 39조원(-6.8%) 순이었다. 연구개발비는 6조 3068억원(+9.7%)였으며 부문별로 △ 제약 3조 9,893억 원(+8.5%), △ 의료기기 1조 5865억 원(+15.8%), △ 화장품 7,311억 원(+4.3%) 등이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이 ‘24년 1분기 매출 1조68억원(-0.2%), 영업이익 830억원(+1.7%)의 실적을 공시했다. 계열사별로 아모레퍼시픽 0.2%, 이니스프리 9.4%로 매출이 각각 감소했지만 에뛰드(5.5%)·에스쁘아(21%)·아모스프로페셔널(7%)·오설록(8%) 등은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아모레퍼시픽이 13% 증가하며 전체 성적표를 플러스로 전환시켰다. 아모레퍼시픽은 국내 사업에서 영업이익이 28% 증가하며 해외 부진을 상쇄했다. 국내에서는설화수·헤라·라네즈·에스트라·한율·일리윤 등이 고객 트렌드에 맞춘 신제품 출시와 함께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하며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국내 영업이익은 화장품 부문의 이익 개선과 면세 채널의 두 자릿수 매출 성장에 힘입어 확대되었다. 해외 시장은 중화권 매출 감소로 전체 매출은 소폭 하락했지만, 미주(40%)와 EMEA(유럽·중동 52%) 중심의 서구권시장에서 큰 폭으로 성장했다. 중국 편중에서 벗어나 수출다변화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니스프리는 로드숍 축소 등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하락했다. 다만 MBS 채널 확대로 젊은 고객층 유입이 증가하며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고 자평했다. 공병 수거 캠페인 ‘BO
에포나(EPONA)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디엠(DM) 외교관 면세점에 입점했다. 외교관 면세점은 주한 외교관 및 공관원에게 국내 물품을 면세 판매하는 면세점이다. 에포나는 에포나크림, 자작나무 토너 등 10종을 선보였다. 에포나는 청정 제주를 바탕으로 한 기초화장품 브랜드로 제주도의 자연유래 성분들을 선물한다는 모토 하에 런칭한 뷰티 브랜드다. 대표 제품인 에포나 크림은 제주 마유를 함유한 주름·미백 이중 기능성 크림으로 건조한 피부에 강력한 보습과 영양 공급을 도와준다. 에포나 관계자는 “이번 외교관 면세점 입점을 계기로 다양한 해외 고객들에게 에포나를 소개할 수 있어 기쁘다. 롯데면세점과 제주공항면세점, 인천국제공항 K-Beauty Select Shop 입점에 이어 디엠외교관 면세점 입점을 계기로 글로벌 소비자들에게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프탈레이트 7종에 대한 통합 위해성 평가 결과 안전한 수준이라고 식약처 식품안전평가원이 밝혔다. 프탈레이트 7종(DEP, DBP, BBP, DEHP, DNOP, DIDP, DINP)은 플라스틱을 유연하게 만드는 가소제로 화장품, 식품용 기구·용기, 생활용품 등에 널리 사용된다. 노출량 평가는 노출경로(흡입, 경구, 피부), 노출원(식품, 화장품, 위생용품 등), 식품 섭취량 및 제품 사용빈도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체내로 들어오는 프탈레이트의 총 노출량을 산출하고 인체노출안전기준과 비교하여 위해지수(총 노출량/인체노출안전기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총 노출량을 인체 노출안전기준으로 나눈 값인 위해지수는 1 미만이면 안전하다고 판단한다. 평가 결과 프탈레이트 7종의 체내 총 노출량은 0.005~1.145 μg/kg체중/일로, 위해지수는 최대 0.029(2.9%)로 인체에 위해 발생 우려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성인은 식품용 기구·용기에서 가공식품으로 이행되는 프탈레이트류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어린이는 장난감 등 어린이 용품을 통해 노출됐다. 식약처는 프탈레이트류의 기준을 관리하고 있으며 이번 조사에서 노출량이 ‘20년에
소비자의 제품 선택 기준에서 ‘가격’, ‘가성비’가 최우선 순위임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화장품기업들도 다이소 전용 화장품을 출시하는 등 중저가 라인 론칭을 잇달아 진행하고 있다. 소비자원의 ‘소비자의 제품 구매 행동 패턴’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다수 소비자는 구매 전 정보검색을 통해 ‘가격’과 ‘품질·성능’을 비교하고 ‘가성비’가 우수한 제품을 선택하는 등 실용적 소비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사전 설문조사를 통해 구매 전 제품정보를 검색·수집한 비율이 71%임을 확인하고 그중 품질 비교 정보를 접한 1만5천명(남며, 20-60대)을 조사한 결과다. 먼저 소비자의 다수(71%)가 제품 선택·구매 전 관련 제품 정보를 검색, 수집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그 이유로 1순위 응답은 ➊ 가격비교(30.3%) ➋ 가성비 확인(23.5%) ➌ 품질 및 성능 비교(23%) 순이었다. 이는 국내 소바가 품질과 가격을 따져보고 가성비 제품을 구매하는 등 합리적 소비를 반영한 것으로 관측된다. 또 소비자가 제품 정보를 수집하는 채널로 ① 온라인 쇼핑몰 구매 후기(71.4%) ② 인터넷 카페·블로그 리뷰(60.4%) ③ 유튜브·틱톡 등 동영상(46.7%
토탈뷰티 앤 라이프 그룹 본에스티스(VONESTIS)가 롯데백화점, 갤러리아, AK백화점을 통해 오프라인 접점을 넓힌다. 35년간의 헤리티지를 담은 하이엔드 코스메틱 브랜드 ‘파이테라피(piTherapy)’,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파이코어(piCore)’ ‘파이헤리티지(piHeritage)’까지 총 3개의 자사 브랜드를 한번에 만나볼 수 있는 오프라인 공간으로 꾸몄다. 이번 입점을 통해 ‘본에스티스뷰티 앤 스파’ 프로그램에서 직접 사용하고 있는 파이테라피의‘레저렉션’ 라인과 메이크업 제품, 파이코어의 새로운 얼리-안티에이징케어 라인 ‘스네일퍼펙션’을 포함한 총 25종의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 본에스티스의 창업자인 한도숙 대표는 “전국 백화점 매장 확대 입점을 통해 한정된 고객들에게만 운영되던 본에스티스의 오더 메이드제품들을 직접 체험해보고 싶은 소비자들을 위해 오프라인 매장 확대를 결정했다.”라며, “이번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좀 더 많은 소비자들이 제품을 직접 경험하며 본에스티스가 전하는 아름다움의 가치와 진가를 알아가기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본에스티스는 자사 브랜드 제품들을 ODM이 아닌, 직접 생산할 수 있도록 자체 공장 및 생산 라인까지 갖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