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은 패러다임 전환 시점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 때문에 중국 화장품시장을 소비자 관점에서 어떤 제품을 어떻게 팔 것인가? K-뷰티 장점은 무엇인가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제안이다. “2019년은 K-뷰티에겐 의미가 크다. Z세대에 주목하고 준비해야 한다. 한국·중국·미국 모두 Z세대가 3-4년 후의 주류 소비층이 될 거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물론 연령 구분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핵심은 수평(水平)적 사고방식이다.” 중국시장전략연구소 박영만 소장의 진단이다. 그의 말을 더 들어보자. “중국과 한국의 화장품은 품질 차이가 없다. 중국 화장품시장은 글로벌 브랜드, OEM이 진출, 럭셔리부터 매스까지 포지셔닝마다 다양한 제품이 쏟아져 나온다. 때문에 좋은 제품이 아니라, 관점을 바꾸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렵다”는 게 박 소장의 말. 즉 “중국의 새로운 기회는 Z세대의 등장”이라는 것. ‘디지털 원주민 Z세대를 준비하라’는 시장조사기관, 플랫폼의 전망이 잇달아 나오고 있다. 티몰글로벌 빅데이터는 ‘중국 내 4대 화장품 소비자’를 △현재: 화장품 1위 소비세력은 쌰오쩐(20-35세 청년, 2.2억명) △3~5년 후: Z세대 △5~7년 후: 쑤링 여성 △향후 1
【화수협 x ALC21】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 북미진출 간담회 - K뷰티 브랜딩 아마존 이베이 베스트셀러 브랜드메이커 온라인 수출마케팅 해외마케팅 - 알렌정 강연 토크콘서트
중국 화장품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현지에선 한국 화장품기업들의 철수 소식이 끊이지 않고, 전상법(跨境电子商务)이 어떻게 작용할까 근심이 크다. 최근 귀국한 송영희 대표는 한국 기업들에게 “너무 잘 만들지 말고, 자존심을 버리고, 4선 도시로 진출하라”고 강조한다. 지난달 중국수출사관학교 금요 조찬네트워크에 나온 송영희 대표의 발언을 좀 더 들어보자. 송영희 대표는 에스티로더 마케팅 이사, LG생활건강 화장품사업부 상무, KT콘텐츠미디어 사업본부장 전무, 상해 한국상회 회장 등을 두루 역임한 화장품업계의 대모다. #1 송영길 대표의 ‘4선 도시로 가라!’ 그는 “한국 화장품은 K-Drama 영향으로 호황을 누렸다. 하지만 이젠 J-뷰티가 부상하고 있다. K-뷰티는 백화점에서 철수 중이며 점포당 매출액도 하락세다. 또 중국 소비자들의 K-뷰티에 대한 열정도 식었다. 아직 인터넷 판매는 유지되고 있으나, 대신 베트남 등 동남아로 이동 중”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중국 로컬제품도 같은 OEM·ODM에서 생산해 제품 차이가 없다. 프랑스도 제조 로컬화를 진행 중이다. 차이라면 마케팅 기법과 콘셉팅 차이 뿐”이라고 송대표는 진단했다. 이어서 송영희 대표는 한국 화장품
중국 화장품시장을 놓고 말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내 제품을 어떻게 팔 것인가?에 대한 답은 ‘카더라’에 멈춰 있습니다. 중국 대리상은 더 이상 사러오지 않습니다. 이젠 우리가 직접 팔러가는 시장으로 변했습니다. 최근 전자상거래법 시행과 Z세대 등장은 ‘엄청난 기회’를 한국 기업에게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럴 때 '어떻게 내 제품을 중국에서 팔' 것입니까? CNC News에서는 중국 시장의 대변화에 맞춰, 중국시장전략연구소 박영만 소장을 모시고 독자를 위한 특강을 마련합니다. 박영만 소장은 중국 현지에서 롯데마트 중국대표처 수석대표로 롯데쇼핑글로벌소싱센터를 설립하는 등 1만 8천여 SKU를 직접 소싱(sourcing)한 중국유통 전문가입니다. 그만큼 중국 소비자 성향을 현지에서 경험한 온라인 유통·마케팅의 네트워킹 고수입니다. 그는 이번 특강에서 ▲히트상품에서 ‘어떻게’의 비밀을 ▲4차 산업혁명과 중국전자상거래법 시행 이후의 화장품 판로를 공개합니다. 중국시장의 통따오(通道)와 취따오(就道)란 무엇인지, 지금까지 답답했던 체증을 ‘확’ 해소하는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마십시오! ■ 일시 : 2019년 4월 26일(금) 오후 3시~5시 ■ 장소 : 코지모임공간 2호점
사단법인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회장 박진영)와 중국시장전략연구소(소장 박영만)가 함께 중국 수출의 활로를 여는 중국수출사관학교를 운영합니다. 화수협(http://kcosmeticexport.com)에 가입하면 할인받고 수강할 수 있습니다. 현재, 현지에서 실제 중국 비즈니스를 진행하고 있는 분들로부터 ①중국수출 집중과정 12강 ②1조찬 네트워킹 12회 ③멘토링 클럽(CEBS Q&A) 운영 ④시장조사 졸업여행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가입신청: http://naver.me/xe2g2rQw ■상세내용: https://cafe.naver.com/cebs2019/30 ■가입문의: 중국수출사관학교 사무국장 이원선 010-4225-5023 / 카톡 wonsunlee ■유튜브영상: https://youtu.be/R2otbXkcfXY (50억중국비지니스노하우) ■ 화수협 가입해서 할인 받기 http://kcosmeticexport.com/apply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회장 박진영, 이하 화수협)의 중국수출사관학교(CEBS)가 2기생을 모집한다. 개강일자는 5월 16일이다. 중국수출사관학교는 “직접 중국으로 가서 팔아야 되는 현실에서 ‘어디에, 어떻게, 얼마에 팔아야 될지’를 실전적으로 가르치는” 교육과정이다. 특히 의사결정권자인 임직원들이 중국 사업을 전체적으로 개괄하고, 다양한 중국 관련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는 기회로 업계에서 화제를 불러 모았다. #1 수료 1기생들 중국 정저우에서 실전 장사 돌입,GAROSU 입점 앞서 수료식을 마친 1기생들은 4월 13일 현재 중국 정저우 국제미용박람회(2019郑州美博会, 춘계)에 참석, 시장개척 실습 중이다. 1기생 5개 참가사들은 부스를 운영하는 한편 시노코리아의 지원을 받아 콰징(跨境)서비스(상해 BBC) 및 판매관리, C/S 등을 실습한다. 또한 현지 바이어와의 미팅을 통해 지속적인 유대관계를 맺는 게 1차 목표다. 13일 중국수출사관학교 박영만 교장은 카톡을 통해 “상해·광주·북경 등 1급 도시의 20% 비용으로 2급 도시인 정저우에서 ‘2급 시장 돌파’라는 새로운 시도를 진행하고 있다. 이곳에서 1기생들은 큰 브랜드의 들러리가 아닌 주인공이 될
메저차이나는 알리바바 판매 데이터와 소비자 트렌드 분석을 기반으로 한 ‘넥스트 차이나 뷰티 세미나’를 4월 25일, 섬유센터빌딩(서울 강남)에서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는 중국 최대 뷰티 미디어 중 하나인 Jumeili의 CCO인 XIA TIAN(夏天)dl '중국 뷰티 시장현황과 성장하는 해외브랜드의 특징‘에 대해 강의한다. 이어서 350만개 화장품과 13조원 매출 데이터를 분석한 메저차이나의 ’중국 화장품 소비자 관심 키워드 Top10'이 공개된다. 이밖에 △‘명동/강남 화장품 매장 데이터로 알아보는 소비자 심리’(워크 인사이트 김한성 이사) △‘데이터로 혁신하는 K뷰티 유통전략’(비투링크 이소형 대표) △‘양극화되는 중국 뷰티 시장의 해법’(트렌드랩506 이정민 대표) 등이 각각 발표한다. 세미나 참석 신청은 메저차이나의 홈페이지(http://www.measurechina.ai)를 통해서 하면 된다.
사단법인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회장 박진영)과 중국전략연구소(소장 박영만)가 함께 전문역량을 모아 중국수출사관학교를 아래와 같이 운영합니다. 화수협(http://kcosmeticexport.com)에 가입하면 할인받고 수강할 수 있습니다. 실제 중국 비즈니스를 진행하고 있는 분들과 12번에 조찬 네트워킹이 마련돼 있습니다. 많은 참여 바라겠습니다. ■ 중국수출사관학교 홈페이지https://cebs.imweb.me/ ■ 화수협 가입해서 할인 받기http://kcosmeticexport.com/apply ■ 중국수출사관학교 홍보영상http://cncnews.co.kr/news/article.html?no=4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