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수출기업 10만개사’ 달성을 목표로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유형별로 수출확대를 위한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 산업통상장원부는 27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범부처 수출상황점검회의’에서 이같은 지원책을 논의하였다. 주요 지원 방안은 ▲ 수출 초보기업은 컨설팅 중심에서 해외 마켓팅까지 지원범위 확대 ▲ 간접수출 기업은 전문무역상사 매칭서비스 제공 ▲ 우수한 수출 잠재력을 갖춘 내수 중견기업의 수출기업화를 지원하는 ‘중견기업 수출기업 전환 지원단’ 발족(8월) 등이다. 또 중견기업 특화 무역금융을 올해 33조원으로 확대하고, ‘27년까지 1조원 규모의 ’중견기업 도약지원 펀드‘를 조성한다. 수출구조의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구축을 위해서 소비재(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와 스마트팜 분야 수출확대를 추진한다. 이렇게 해서 27년까지 소비재 수출비중을 18%까지(’22년 11.8%)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 한류・콘텐츠・전자상거래・전문무역상사 등과 연계한 마케팅 지원 강화 ▲ 해외인증·통관·검역 등 비관세장벽 대응 ▲ 25년까지 소비재 수출보험 9.5조원 공급, 1조원 규모의 K-바이오백신펀드 조성 등 정책자금 공급 ▲ 싱글·엔젤·실버
식약처는 ‘2023 점프업 K-코스메틱’ 협의체의 첫 워크숍을 28일 글래드 여의도호텔에서 열고, 화장품 분야 규제혁신 2.0과제 수행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점프업 K-코스메틱’ 협의체는 화장품 분야 선진화를 위해 민·관이 함께 소통하는 협의체(’22년 6월 출범)로 운영위원회와 4개 분과(제도/안전/제조·품질/자격·교육)로 구성됐다. 식약처, 업계, 관련협회 및 유관기관 전문가 약 55명이 참석했다. 협의체는 ①화장품 표시정보 디지털화 ②기능성화장품 심사기준 개선 ③ 화장품 색소 품질관리 국제조화 ④국제조화된 화장품 GMP 운영 ⑤화장품 수출지원 등 과제를 수행한다. 워크숍에서는 ▲화장품 산업의 위기 요인과 혁신 전략 ▲글로벌 화장품 규제 동향 ▲한국 화장품 산업에 대한 발전적 제언 등에 대한 전문가 초청 강연을 듣고, 4개 분과별로 규제혁신 2.0 과제 토의를 진행했다고 한다. 식약처는 “올해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점프업 K-코스메틱’ 협의체를 적극 활용할 예정이며, 우수한 국내 화장품의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중국 등 주요 수출국의 규제강화에 대응하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는 6월 30일 K-프렌즈 방한 외국인 대상 뷰티·관광 이벤트가 진행된다. 동대문 관광과 뷰티, 쇼핑을 결합한 원데이 프로그램으로, 향후 행사 콘텐츠를 디지털로 전환해 온라인 홍보도 펼치게 된다. 이는 K-뷰티와 관광을 연계한 ‘K-뷰티·관광 디지털 마케팅 활성화’ 사업의 하나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은 한국관광공사와 지난 3월 10일 K-뷰티를 활용한 협력사업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에 따라 K-뷰티 콘텐츠를 활용한 방한 관광 활성화와 중소 화장품 업계 지원을 목적으로 ▲ ‘디지털 컨텐츠 제작·배포’ ▲ ‘온·오프라인 뷰티 전시·행사’를 주요 협업과제로 삼고 각종 행사를 진행 중이다. 먼저 글로벌 한류 팬에게 뷰티 콘텐츠를 개발해 배포한다. 특히 △ 국가별 소비자 선호요소와 한국 뷰티의 우수성을 반영한 K뷰티 홍보마케팅 컨텐츠 제작·배포 △ 글로벌 K- 프렌즈 대상 다채로운 한국 뷰티 문화와 화장품, 관광 상품을 소개한다. 장기적인 K뷰티 팬 확보와 방한 뷰티 관광객 유치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온·오프라인 뷰티 행사’는 중소화장품 수출시장 다변화와 방한 관광객 활성화를 위해 K-프렌즈 대상 국내 중소화장품 제품 홍보와 체험 행
식약처는 28일 오유경 처장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생약자원관 자원센터에서 제주대(총장 김일환)와 생약자원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 나고야의정서 이행 등 국제적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 아열대성 생약자원의 품질관리 연구 인프라 구축 △인재 양성 등에서 협력하기로 했다는 설명이다. 구체적 내용으로 ▲생약자원 관련 협력사업 기획·실행 ▲생약 분야 공동연구, 기술 교류 ▲국내·외 생약자원 연구·활용 정보공유 ▲교육 프로그램 연계·공유 ▲연구시설·장비 공동 활용 등이다. 오유경 처장은 “이번 업무협약이 생약자원의 보고인 제주도를 중심으로 생약자원에 대한 연구 기틀을 마련하고 미래 주역인 인재를 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식약처는 최선을 다해 생약자원의 주권을 확보하고, 생약자원이 국민께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과학적 연구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중동지역의 최신 화장품 동향 및 트렌드 정보를 수록한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의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4호(UAE·사우디아라비아 편)이 발간됐다. UAE는 올해 1~4월 누적 화장품 수출액이 2750만달러로(+71%), 사우디아라비아는 880만달러(+3.4%)를 기록 중이다. UAE는 덥고 건조한 기후와 열악한 수질 등 요인으로 헤어케어 수요가 크게 증가해 연평균 4.2%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히잡을 착용하는 여성들은 여름이면 비듬과 가려움증이 증가해 샴푸 수요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천연, 유기농 성분으로 안전하게 매일 사용할 수 있는 샴푸 컨디셔너 헤어 오일이 인기다. 현지 인기 제품을 보면 △ 두피에 자극적인 파라벤, 글루텐, 황산염 대신 로즈마리, 알로에 등 천연 식물성 성분 활용 △ 허벌에센스, 아발론 등 천연 샴푸 등으로 조사됐다. 사우디아라비아도 라마다 기간과 고온 건조한 기후로 인해 건조해진 두발과 두피를 천연 식물성 성분으로 관리하는 헤어케어에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한 달간 해가 떠 있는 동안 물을 포함 금식을 행하는 라마다 기간에 모발의 수분과 영양이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에 수분과 영양 공급 헤어케어 루틴에
식약처의 ‘2023 화장품 정책설명회’가 21일 누리꿈스퀘어(DMC 소재)에서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식약처 고지훈 화장품정책과장은 인사말에서 “규제 일변도의 정책이 아니라 산업과 기업의 비즈니스 전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하고 집행해 나갈 것”이라고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 “지난해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장품 수출이 새로운 활로를 찾고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지원하겠다. 기업 역시 안전성과 품질이라는 국제경쟁력의 핵심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노력해 주기를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앞서 오전에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식약처는 ‘식의약 규제혁신 2.0’을 발표했었다. 설명회에서도 화장품 관련 6대 규제 개선안으로 ▲ 화장품 표시정보 e라벨 시범 운영 ▲ 자동화기기 염모제의 맞춤형 심사 도입 ▲ 화장품 색소 품질관리의 국제조화 ▲ CGMP와 ISO 22716의 조화된 기준 운영 ▲ 수출국 규제 정보 및 교육 제공 ▲ 민간 인증마크의 표시·광고 활용 등의 소개가 있었다. (관련기사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8347 ) 향후 입법 예고 내용으로 ①화장품업 등록 전자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은 6월 중순부터 매달 2회 화장품 수출에 필요한 해외 인허가 정보 영상 콘텐츠를 업로드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콘텐츠는 총 12편이다. 화장품 기업의 니즈를 반영하여 △수출 인허가 전략 수립 △중국의 화장품 인허가 주요 TIP, △인도네시아의 화장품 인허가 주요 TIP, △유럽의 화장품 인허가 주요 TIP, △미국의 화장품 인허가 주요 TIP, △사우디아라비아의 화장품 인허가 주요 TIP 등 주제별로 2편씩 구성해 제작된다. 첫 번째로 업로드된 ‘수출 인허가 준비 제 1편’ 영상은 국내 화장품 브랜드들이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 알아야 할 전반적인 인허가 절차와 주요 개념을 AI 아나운서를 통해 인포그래픽과 함께 설명한다. 연구원 관계자는 “해외 인허가에 대한 전반적인 절차와 개념부터 화장품 수출 주요 관심 국가의 규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화장품 기업들이 인허가 절차와 관련된 지식을 획득하고, 수출 준비를 위한 핵심 요소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라며 “수출을 희망하는 기업의 실무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영상 콘텐츠는 화장품산업정보포탈(https://www.allc
중소벤처기업부 이영 장관은 19일(현지 시간) 프랑스 샤르트르시에 위치한 코스메틱 밸리를 방문해 뷰티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코스메틱 밸리는 프랑스의 혁신클러스터 정책에 따라 조성됐으며, 대학, 연구소, 대기업, 중소기업 등이 모여 있다. 1994년 세계 최초로 설립된 산·학·연 클러스터로 2005년 프랑스의 국가 경쟁 거점으로 지정됐다. 이곳에는 LVMH, 로레알, 겔랑 등 100여개의 프랑스 화장품 기업 등 3200개사, 9개 대학, 226개 연구소, 8,600명의 연구자들이 모여 있다. 주요 사업 분야는 식물 재배부터 완제품까지 화장품 관련 모든 분야의 연구 및 산·학·연 R&D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기업을 지원한다. 또 화장품 수출 지원 및 국제화장품 무역박람회 Cosmetic 360° 를 개최한다. 이영 장관은 마크-앙투안 쟈메(Marc-Antoine Jamet) 코스메틱 밸리 이사장 겸 LVMH 집단(그룹) 사무총장, 기욤 카스바리안(Guillaume Kasbarian) 국회의원, 장 피에르 조르주(Jean-Pierre Gorges) 샤르트르 시장 등 코스메틱 밸리 및 국회, 지방정부 관계자 등 18명과 코스메틱 밸리의 운영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