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화장품 수출이 13개월째 증가세를 지속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6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의 6월 수출액은 7.8억달러(+6.2%)로 나타났다. 이로써 올해 상반기 화장품 수출액은 48억달러로 전년 대비 17% 증가로 추산된다. 무역수지는 5월 누계 33억달러 흑자기조를 이어갔다. 올해 화장품 수입은 매월 감소하고 있는데다 수출 규모가 수입보다 10배나 커서 흑자폭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의 수출 기여도는 ‘24년 상반기 1.4%로 상승했다. 대한화장품협회 집계 국가별 수출 추이를 보면 ▲ 중국향 수출 감소세 둔화 ▲ 미국시장 급성장 ▲ 아세안(베트남·태국·싱가포르·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필리핀) 6개국의 두 자릿수 성장률 및 점유율 13.4% ▲ 총 수출액 중 미국+일본 〉 중국 추월 ▲ 상위 20국 중 중·러 제외 18개국 증가율 50%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중국향 수출은 -23%(‘23) → -14% (’24. 5월 누계)로 감소세 둔화 추이를 보이고 있다. 미국향 수출은 85%(1월) → 56%(2월) → 44%(3월) → 86%(4월) → 73%(5월)로 고공행진 중이다. 총 수출액 중 미국 점유율은 17.5%로 중국(
산업부와 KOTRA는 수출 중단 위기에 몰린 기업을 지원하는 ‘수출성장 화상 상담회’를 6월 24~28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수출중단 및 수출초보 기업이 새롭게 해외 바이어 발굴과 거래선 다변화를 지원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상담회에는 중소기업 252개사가 참여해 총 462건의 화상상담이 이루어졌으며, 16개국 148명의 바이어가 온라인으로 참가했다. 미용분야 89개사, 생활건강 분야 28개 사 등이 참가했다. 지역별 해외 바이어는 중국 54개사, CIS 38개사, 북미 16개사 순이었다. 실제 화장품 기업 A사는 베트남, 일본 수출이 2022년 기존 바이어의 거래 주문이 끊기면서 중단되는 위기를 맞았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2023년 9월 코트라의 수출중단기업을 위한 화상상담회에 참여해 싱가로프 바이어를 새로 발굴할 수 있었다. 이후 A사는 올해 6월 화상상담에서 만난 바이어에게 초도물량을 선적하며 수출 재개에 성공할 수 있었다. 코트라에 따르면 2023년 화상상담회를 실시해 국내기업 195개사를 지원했다고 한다. 올해에는 규모를 확대하는 한편 수출중단기업 대상 ‘바이어 다시 만나기’와 수출초보기업 대상 유망시장별 바이어 미팅을 주선해주는 ‘
한·중·일 화장품 안전관리 동향 세미나가 6월 28일 서울 삼성역 인근 스페이스쉐어 델피노홀에서 양국의 안전성 평가사를 초빙, 진행됐다. 이번 세미나는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과 리이치24시코리아(대표 손성민)가 주최했다. 리이치24시코리아는 글로벌 인증 전문기업으로 각국의 화장품규제 대응을 선도하고 있다. 화장품 규제는 글로벌 조화가 초점이 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선 ‘비관세 무역장벽(TBT)으로의 작동’을 우려한다. 일단 유럽 SCCS의 CPNP를 참고 하되 각국의 산업 현황과 정책 방향에 따라 차이가 있다. 특히 세계 1, 2위 시장인 미국과 중국이 각각 84년, 31년만에 화장품법을 전면 개정하고, 2025년부터 새로운 화장품 규제를 시행하게 되면 글로벌 시장이 출렁일 가능성이 크다. 글로벌화에 나선 한국 화장품기업에겐 발등의 불이자 도전이 요구된다. 규제 대응은 안전성평가 보고서(CPSR) 작성에 쏠리고 있다. 이날 세미나는 ▲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안전성 평가 대응 소개’_ 양성민 선임연구원 ▲ ‘중국의 화장품 안전성 평가 관리’_ REACH24H China 인나 푸(Inna Fu) ▲ ‘일본 화장품 공업협회 화장품 안전성 평가 및 관리
작년 12월 28일 한-GCC FTA 타결은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에 날개를 달 것으로 기대된다. 화장품(피부메이크업제품)의 경우 관세가 20년 내 철폐된다. KOTRA는 유망품목인 화장품의 관세 철폐는 한류 확산과 더불어 수출 증가 가속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걸프협력회의(GCC, Gulf Cooperation Council)에는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쿠웨이트·카타르·오만·바레인 등 6개국이 가입돼 있다. 코트라는 바레인을 제외한 5개국의 수출 유망품목으로 ‘화장품’을 꼽았다. 이와 관련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은 25일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4호(UAE, 사우디아라비아)’를 발간하고 현지 시장 동향을 기업에게 소개했다. 올해 1~5월 누계 화장품 수출액은 △ 아랍에미리트 5638만달러(+73%) 사우디아라비아 2221만달러(+106%)로 급증, 신흥 유망시장으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집계) 먼저 UAE는 뷰티테크 시장이 성장하는 것으로 관측됐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기술에 기반한 뷰티 테크를 활용해 개인 맞춤형 피부 진단을 하거나 가상으로 색조
‘2024 IECSC 미용박람회’가 6월 22일 라스베가스 컨벤션센터에서 개막, 에스테틱 관련 산업의 현주소를 보여주었다. 매년 IECSC 뉴욕과 함께 라스베가스 미용박람회에는 스파/살롱 및 에스테틱 카테고리 전시회로 많은 참관객이 방문한다. 해외전시기업 코이코(KOECO, 대표 김성수)에 따르면 올해 한국관에는 국내 유망 기업인 ‘메디상스’, ‘주식회사 닥터오레고닌’, ‘아이엔지알’, ‘파켓’, ‘기베스트’, ‘코스비즈인터내셔날’, ‘원트릴리온’, ‘슈요니’, ‘제니모리’, ‘다보르’, ‘에스알바이오텍’, ‘하호메디’ 등의 기업이 참가했다고 밝혔다. 세계 1위 규모인 미국 화장품 시장 내 한국 화장품 수입액 비중은 약 13.4%로 3위로 랭크될 만큼 K-뷰티에 대한 관심이 상당하다고 한다. 실제 한국관 부스 내에서는 바이어 미팅이 분 단위로 진행되며 미팅이 끊임없이 진행됐다고 코이코는 전했다. 한국공동관 참가 A사는 “미국 시장에서 한국 뷰티 제품들이 좋은 인식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알리고, 유통채널과의 대화를 갖게 돼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매년 라스베가스 IECSC와 동시에 IBS (Internation
미국 화장품규제 현대화법(MoCRA)의 시설 및 제품 등록 의무화 규정이 불과 1주일 후인 7월 1일부터 발효된다. FDA가 1938년 ‘연방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법’ 제정 후 84년만에 바뀌는데 화장품 규제가 핵심이다. 업계에서는 7월 1일 이후 FDA의 행보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올해 1~5월 누계 미국향 화장품 수출은 7억 1428만달러로 68%나 증가했다. 총 수출액 중 18%를 차지하는 등 미국 시장 변화에 따라 수출 환경이 출렁될 가능성도 있어, 기업별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요구된다. 지난 1월 31일 식약처 초청 설명회에서 미국 FDA 담당 과장 린다 캣즈(Dr. Linda Katz_ Director, office of Cosmetics & Colors)는 △ 미국 MoCRA 시행 배경과 개요, △ 제품리스팅+시설등록, △ 코스메틱스 디렉트(Cosmetics Direct), △ 법정 기한 등을 소개하고, 41개 항목의 사전질의, 실시간 채팅에 대해 답변했다. 린다 캣즈 박사는 “MoCRA 시행 이후 FDA 권한은 ▲ 1938년 이후 화장품 규제법에 있어 중요한 첫 번째 변경 사항 ▲ FD&C 법 하에서 신규 권한 부여 ▲ FD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뷰티제품이 매출 1위, 판매량 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5개 소매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뷰티 제품 매출은 ‘23년 37.7조동으로 전년 대비 52.2%나 증가했다. 특히 ’23년 하반기 월평균 매출은 2.8조동이며, 이중 8월만 4조동으로 96%나 늘어났다. 또한 판매량은 3억 4100만개로 ‘22년 대비 45% 증가했다. ( 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_ 베트남 소매산업 현황과 전망 ) 5대 플랫폼은 Shopee, Lazada, Tiki, Sendo, TikTok Shop 등이며 매출 품목 순위는 △ 뷰티 △집-생활제품 △ 여성 패션 △ 전자제품 △ 휴대폰, 테블릿 순이다. 이들 제품은 소비율이 빠르고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뷰티 제품 가운데 매출, 판매량 모두 1위는 페이셜 케어로 100.8억동, 7140만개였다. 판매가 가장 잘되는 가격대는 △ 20만~35만동(비중 24%) △ 10~15만동(비중 15%) 순이었으며, 뷰티 구매 평균 가격은 제품 당 11만동이었다. Statista에 따르면 2024년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의 매출은 약 140억 달러(+15%)로 증가가 예상된다. 또한 ‘24년~’29년 연평균
‘코스모프로프 CBE 아세안 방콕’(Cosmoprof CBE Asean Bangkok) 뷰티 박람회가 13일 개막했다. 박람회는 15일까지 진행된다. 전시대행기업 코이코(KOECO, 대표 김성수)는 한국관을 운영하며, 50여 개사 및 지방자치단체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박람회는 볼로냐 피에르, 인포마마켓, 차이나뷰티엑스포 등 3사가 공동 주최한다. 동남아 내 최대 화장품 시장인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박람회는 11개국 1천여 개사가 참가하고 1만3천여명의 참관객이 방문했다고 주최측은 밝혔다. 첫날 박람회 현장에서는 푸싯 라따나군 세레릉릿(Mr. Phusit Ratanakul Sereroengrit) 태국 상무부 국장이 한국관을 직접 방문했으며 일론(THE iLLON, 대표 박라미) 등 부스에서 한국 제품을 직접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부스 및 미팅룸에서 진지한 상담과 계약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코이코 관계자는 설명했다. 한 바이어는 “태국 소비자에게 K-뷰티상품의 선호도는 매년 크게 상승하고 있어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 기업을 만나길 크게 기대하고 있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박람회는 △ 스킨케어, 헤어, 네일, 네츄럴 & 올가닉 섹션 등 화장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