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수 195만 1096명, 사망자 수 11만 770명. 6월 10일 현재 미국의 코로나19 피해 현황이다. 코로나19는 미국의 소비 트렌드를 바꿔놓았다. 코트라(KOTRA)는 최근 ‘코로나19가 바꾼 미국 소비 트렌드’ 보고서를 통해 ▲e커머스 활성화 ▲집에서, 따로 또 같이 ▲생활방역 시대의 도래 ▲정신건강을 지켜라 ▲buy local 열풍 등을 주요 트렌드로 꼽았다. 미국은 3월 중순 셧다운 이후 10주간 4천만명 이상 실업자 발생, 4월 실업률 14.7%로 급증했으며 소매판매는 전월비 16.4% 급감했다. 5월 중순부터 주정부 별로 단계적 경제재개를 시작했으며, 현재 50개 주가 동참했다. 연방정부는 대규모 경기부양책 마련, 연준은 제로금리 향후 3년간 유지 등을 선언하며 전폭적인 유동성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물지표가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경제회복은 2~3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구매패턴이 온라인으로 급속히 바뀌며 구매의 디지털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 중이다. 신선식품, 자동차, 가구 등 온라인을 통한 제품 구매 영역은 더욱 확대되고 성장함에 따라 온라인 소비자 쇼핑을 돕는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대 미국 수출 하향세가 심각하다. ‘19년 미국 화장품 수출액은 5.2억달러를 기록하며 –2.6% 역신장했다. 우리나라의 3위 수출국이었던 미국은 ‘20년 2월 누적 7천만달러로 일본 7300만달러에 밀려 4위로 밀려났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남권)이 13일 발간한 ’글로벌 코스메틱포커스 2호‘는 “한국 화장품은 제품력 측면에서 인정받았지만 기존 K-pop 후광효과에 잇대어 젊은층에게 귀여운 이미지로만 어필하다보니 정체된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즉 안전한 성분에서 클린 뷰티(clean beauty), 크루얼티 프리(cruelty free)와 같은 환경·동물보호를 고려하는 소비성향이 화두인 미국 화장품시장에서 K-뷰티 입지가 다소 불분명하다는 지적이다. 실제 미국 시장에서 천연, 더마, 유기농 성분을 내세우는 독일, 호주 제품들이 떠오르면서 K-뷰티는 다양한 국적의 브랜드와 치열하게 경쟁하는 상황이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얼타와 세포라가 임시 휴업을 내린 상황에서 미국 소비자는 이 상황에서 이윤 추구를 위해서만 이용하는지, 직원과 지역사회와 공존하고자 노력하는지 등 제품 이상의 기업 철학과 경영마인드를 지켜보고 있다는 분석이다.
코트라 뉴욕무역관은 ’주목할만한 2020 미국 소비트렌드‘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할 때 지속가능성을 고려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전했다. 즉 소비자의 구입의사 결정요소로 제품생산이나 서비스 실행 과정에서 ①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 ②사용 후 재활용 가능 여부 ③유독 화학물질을 자연유래 성분으로 대체했는지 여부 등이 꼽혔다. 이러한 지속가능성을 추구한 제품의 판매 성장률은 그렇지 않은 제품에 비해 5.6배 빠르게 증가했다는 조사도 있다. #6 지속가능성이 힌트 세계 정부의 정책과 규제도 환경과 소비자 건강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향한다. 재활용이 가능하고 썩지 않는 일회용품의 사용 규제 강화, 스티로폼 일회용기, 플라스틱 빨대 사용 금지 등이다. 상품개발 전문가이자 건국대 향장학과 교수인 라라뷰티코스메틱 안보라미 대표는 “최근 화장품 트렌드는 환경과 윤리에 대한 철학을 바탕으로 비건(Vegan)·동물실험 배제(Cruelty Free)·Unique Visual·Smile Effect·천연원료(Natural Ingredient)의 5요소를 갖춰야 한다”고 설명한다. 그래야 필(必)환경과 기업 책임성(responsibility)을 따지는 Z세대를 충족시킬
화장품 글로벌 화장품의 양대 시장이 중국, 미국이다. 그런데 ’19년 1~11월까지 수출증가율은 중국 +4.7%, 미국 –10.3%로 양대 시장에서 고전했음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지난해 K-뷰티는 중국에선 저성장 기조로, 미국에선 마이너스로 돌아서며 위기에 직면했다. 그렇다고 2020년 전망도 밝지 못하다. 중국 화장품시장에선 로컬이 부상하며, 글로벌 전장터에서 K-뷰티의 존재감이 사라진 상태. 또한 미국 시장은 K-뷰티 인지도 상승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마음을 사로잡지 못해 고전 중이다. 2020 트렌드를 통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본다. #9 중국...솽스이가 화장품 주기의 첫 출발점 중국 솽스이(광군제, 11·11)는 K-뷰티에겐 위기와 기회의 시그널이다. 우선 중국 화장품시장 주기가 바뀌었다. 춘절(음 1·1)~춘절이 아닌 솽스이~솽스이로 화장품 시장 판매주기가 재편됐다. 화장품판매주기는 중국 기념일이자 판매특수 시즌으로 구성된다. 솽스이-솽스얼(12·12, 오프라인판 블랙프라이데이)-성탄절(12·25)-춘절-부녀절(3·8)-어머니날(5월 둘째 주 일요일)-칠석(음 7·7)-국경절(10·1)로 이어지는 주기다. 솽스이 다음으로 주목해야 할 기념일이 부녀절
아모레퍼시픽그룹이 미국 코스메틱 인디 브랜드 ‘밀크 메이크업(Milk Makeup)’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2015년 미국 뉴욕에서 탄생한 밀크 메이크업은 동물 실험을 배제하는 ‘크루얼티 프리(Cruelty-Free)’ 및 ‘100% 비건(Vegan)’ 등 남다른 ‘클린 뷰티’ 컨셉으로 급속하게 성장 중인 브랜드다. 미주와 유럽 주요국의 ‘세포라(Sephora)’와 영국의 ‘컬트 뷰티(Cult Beauty)’ 등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짧은 기간 동안 밀레니얼과 Z세대 소비자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어낸 밀크 메이크업과 마케팅, 영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또 오랜 기간의 글로벌 시장 개척 경험을 바탕으로 밀크 메이크업의 글로벌 확장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모레퍼시픽그룹 대표이사 배동현 사장은 “밀크 메이크업은 혁신적인 포뮬러와 깨끗한 성분으로 밀레니얼 뷰티 마니아들에게 사랑 받는 브랜드”라며,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이번 파트너십 체결을 계기로 밀크 메이크업의 한국 시장 진출 및 글로벌 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밀크 메이크업 측은 “70년이 넘는 긴 역사 속에서 수많은 글로벌
부산화장품기업협회가 회원사의 해외수출 역량 제고를 위해 ‘국제인증 및 북미진출 수출 세미나’를 개최했다. 25일 부산센텀호텔에서 열린 세미나에는 회원사 임직원 및 관계자 등이 참석, 해외규격 및 북미시장 진출에 대한 높은 관심사를 반영했다. #1 B-뷰티, ‘2020 계획’ 도약 위해 준비 잘해야 문외숙 회장은 “2017년 11월 협회가 출범, 부산지역 화장품산업발전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 하고 있다. 올해 부산시 미래산업국 첨단의료산업과에 화장품뷰티산업팀이 구성됐고, 화장품발전 5개년 계획이 통과 2020년부터 시작된다. 향후 회원사들의 해외 수출 활성화를 위해서는 해외규격 인증 정보가 필요해서 이번 세미나를 마련했다”며 인사말을 전했다. 이어서 문 회장은 “말레이시아는 신흥국 시장이자 할랄시장 진출을 위해, 미국 FDA의 OTC 규정은 기능성화장품 진출을 위해서 최신 정보를 알아야 한다”며 “덧붙여 ALC21 알렌 정 대표가 ‘북미시장 트렌드와 진출 전략’을 강의한다. 준비를 잘해서 선진국 시장에서도 Made in Busan, B-뷰티가 통(通)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졌으면 좋겠다”며 회원사들을 격려했다. 첫 강의에 ‘말레이시아 JAKIM 인증
초유 전문 스킨케어 브랜드 팜스킨(대표 곽태일)의 ‘슈퍼푸드 샐러드 마스크팩’이 2일 세계 최고 디자인상으로 꼽히는 ‘2019 IDEA 디자인상(International Design Excellence Awards)’에서 본상을 수상했다. 팜스킨의 ‘슈퍼푸드 샐러스 마스크팩’은 실제 먹는 샐러드와 흡사한 패키지 형태로 구현해 건강한 스킨케어 콘셉트를 살린 게 특징. 기존 화장품 디자인의 틀을 깬 신선하고 창의적인 디자인으로 주목을 받았다. 이른바 직관을 강조함으로써 올해 1월 코스메도쿄에서도 대형 유통업체들로부터 입점 제의를 받는 등 호평을 받은 바 있다. 팜스킨 곽태일 대표는 “초유의 건강함과 슈퍼푸드의 영양이 담긴 ‘슈퍼푸드 샐러드 마스크팩’ 디자인을 IDEA디자인상을 통해 제품을 우수성을 인정받게 되어 영광”이라며 “앞으로도 창의적이고 획기적인 디자인으로 우수한 품질의 스킨케어 제품을 꾸준히 개발해 글로벌 시장에서 사랑 받는 브랜드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IDEA디자인상’은 미국 산업디자인협회(IDSA, Industrial Design Society of America)가 주관하며 독일의 ‘IF 디자인상’, ‘레드닷(Reddot)상’
【화수협 x ALC21】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 북미진출 간담회 - K뷰티 브랜딩 아마존 이베이 베스트셀러 브랜드메이커 온라인 수출마케팅 해외마케팅 - 알렌정 강연 토크콘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