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의 뷰티산업 글로벌 이벤트인 ‘코스모프로프 월드와이드 볼로냐’(Cosmoprof Worldwide Bologna) 2025 에디션이 3월 20일 현지에서 개막했다. 이번 전시회에 대해 주최측은 “기업들이 비즈니스 수행에서 뷰티 트렌드 세터의 획기적인 제품 출시와 혁신적 솔루션을 선보이는 무대”라고 홍보했다. 전시회는 ▲ CosmoPack(공급망 초점) 프리미어 & 코스메틱스(소매채널 유통 향수 & 화장품) ▲ Cosmo Hair & Nail & Beauty Salon(전문 헤어, 뷰티 & 스파, 네일)으로 구분된다. 볼로냐 피에레 전시장 내 총 37개 홀에서 세계 60개국, 3100개 기업이 참가했으며, 참관객은 약 30만여명에 이를 것이라고 주최측은 전했다. 한국에서는 KOTRA와 함께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IBITA, 회장 윤주택)가 공동관을 구성해 110개사 참가 및 개별기업 등 총 242개사가 참가한다. KOTRA는 참가기업 대상으로 글로벌 뷰티 산업 트렌드 설명회를 열고 현지 화장품 유통사 6개사를 초청해 현장 입점 상담회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또한 유럽 메가전시회를 통해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 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은 ‘25년 화장품 인허가 컨설팅 지원 참가사를 모집한다. 이는 보건복지부 글로벌 화장품 육성 인프라 구축지원 사업으로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다. 모집 대상은 중소 화장품 기업 40개사, 40개 품목이다. 다만 영유아제품 및 기능성 화장품은 제외한다. 해외 인허가는 △ 미국 MoCRA(20개 품목) △ EU-CPNP(15개 품목) △ 베트남-DAV(5개 품목) 등이 해당된다. 자격요건은 화장품법 시행규칙 제3조(제조업의 등록 등)와 제4조(화장품책임판매업의 등록 등)에 의한 화장품 제조업 등록기업 또는 화장품책임판매업 등록기업이다. 화장품 책임판매업 등록기업 신청시, 제조기업 정보 함께 제출 필요하며, 중소기업확인서도 요구된다. 참가기업 신청은 3.7~3.21까지다. 접수 방법은 온라인 (www.allcos.biz → 교육/세미나)으로 하면 된다.
‘28년 시행을 앞둔 화장품 안전성 평가를 위한 전문 교육이 진행된다.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은 보건복지부 지원을 받아 오는 4월 ’2025년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정규교육(1차)‘을 개최한다. 관련 교육은 국내 화장품 기업의 안전성 평가 역량을 강화하고,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22년부터 매년 상·하반기 연 2회 진행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교육은 4월 17일에 시작되어 18일, 23일, 24일, 25일까지 총 5일간 서울 스페이스쉐어 강남역센터(머큐리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정규 1차 교육부터 다수 참가자 요청을 반영하여 실무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6시간의 실습 교육을 도입하였다. 교육생들은 팀별 책임 강사가 배정된 3~4명의 소규모 그룹에서 맞춤형 실습 과정을 통해 안전성 평가 보고서 작성 경험을 하게 된다. 일차별 교육 프로그램은 △ 1일차: 개요 및 화장품 안전성 평가 △ 2일차: 독성동태학 및 독성학 △ 3일차: 독성학 및 해외 사례교육 △ 4일차: 피부평가 및 화장품 품질관리 △ 5일차: 안전성 평가 보고서 작성 실습으로 구성되었다. 총 17개 세부 프로그램, 30시간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연구원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