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한국 화장품의 글로벌 시장 수출다변화가 심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지가 KOTRA의 ‘2024 6대주 진출전략’을 분석한 결과 수출유망 소비재로써 ‘화장품’을 선정한 국가가 6대주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3대 수출국인 △ 중국에선 유망품목으로 미니멀리즘 스킨케어를, △ 미국은 직구 플랫폼을 활용한 진출 △ 일본은 한국화장품 1위 지속 등이 꼽혔다. 이어 △ 아세안은 식물 추출 천연성분 기초 제품이 유망품목으로 꼽혔으며, △ 러시아+CIS(우즈베키스탄, 벨라루스, 아제르바이잔, 몽골)는 ‘품질 좋은 K-뷰티’라는 평판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도 ‘다양하고 혁신적인 제품’이라는 평가 속에 독일, 포르투갈, 이탈리아, 덴마크, 그리스, 체코, 프랑스, 루마니아, 벨기에 등에서 유망 수출품목으로 화장품을 선정했다. 중동(UAE, 요르단, 튀르키예, 이라크) 중남미(멕시코,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페루, 에콰도르, 과테말라, 도미니카) 대양주(호주, 뉴질랜드) 서남아(인도), 아프리카(나이지리아, 가나, 남아공, 케냐, 탄자니아) 등도 유망 진출 품목으로 화장품을 선정, 시장개척 가능성을 높게 봤다. 한국 화장품의 글로
아모레퍼시픽이 인공지능(AI) 기반 피부 진단 시스템, ‘닥터 아모레(Dr.AMORE®)’의 개발 과정과 성능,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관련 논문은 12일, SCI급 국제 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국제 화장품 과학 저널)'에 실렸다.(논문명: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facial skin image diagnosis system: Changes in facial skin characteristics with ageing in Korean women) ‘닥터 아모레(Dr.AMORE®)’는 한국 여성들의 피부 이미지를 바탕으로, 피부 임상 전문가의 평가를 딥러닝해 만든 인공지능(AI) 기반 진단 시스템이다. 주름, 색소 침착, 모공, 적색 반점 등 주요 피부고민을 사진만으로 바로 진단할 수 있어 편리하다. ‘닥터 아모레’를 활용한 분석 결과는 피부 임상 전문가들의 육안 평가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관련 연구를 통해 아모레퍼시픽이 개발한 인공지능 진단시스템으로 정밀한 피부진단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
2024년 세계경제는 저성장 기조 지속, 달러화 약세가 예상된다. 12일 열린 한국무역협회의 ‘2024 세계경제통상 전망 세미나’에서 홍지상 ITT 연구위원은 “고금리 여파와 주요국 경기회복 지연으로 2% 후반의 낮은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IMF의 세계경제성장률은 ‘22년보다 0.1%p 낮은 2.9%다. 주요 경제흐름으로 △ 인플레이션 후유증으로 주요국 경기회복력 제한 △ ‘24년 하반기 중 미국의 금리인하 가능성으로 달러화는 완만한 약세 흐름, 국제유가는 배럴당 90달러 수준으로 완만하게 상승 △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로 불확실성이 지속되나, 해소될 경우 전후복구 수요 등 기회요인 발생 등을 상정했다. 화장품 기업들이 관심이 높은 환율은 ‘23년과 달리 달러화 약세, 엔화·유로화·위안화 강보합으로 바뀔 것으로 보인다. 연준 금리 동결 및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달러화 약세 전망이 많다. 따라서 원/달러 평균 환율은 올해 1300원 초반대에서 내년에 평균 1260원 내외로 하락을 예상했다. 김승혁 NH선물 연구원은 “한국 기준금리는 내년 2분기 말~3분기 중 인하 전망”을 내놓았다. 다만 고금리 여파 → 소득 감소 및 소비둔화 → 부동산 매수
“태풍의 길목에 서면 돼지도 날 수 있다.” 이는 샤오미 창업자 레이쥔이 한 말. “세계 2위 화장품 시장을 외면하지 말고 ‘바람길’에서 중국 시장을 봐야 한다. 그 바람길은 성분과 효능에의 집중”이라고 매리스그룹코리아(Maris Group Korea) 김선화 차장은 강조한다. 그 바탕은 NMPA의 신원료 허가 건수가 6건(‘20) → 42건(’21) → 38건(‘23. 上) 등 증가세에서 찾을 수 있다. 중국 기업들이 새로운 효능을 찾아 관련 신원료 R&D 및 등록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기자가 만난 중국시장 관계자들의 인터뷰, 현지 정보를 취합하면, 이구동성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보지 않고 소비자 니즈에 따른 구매 패턴을 보인다”라는 말에서 무게감을 더한다. 실제 ‘23년 중국 시장은 중국산 화장품의 품질 개선, 애국주의 열기 등에 힘입어 로컬 브랜드가 강세다. 지난 솽스이(11·11)에서 티몰 기초화장품 매출 1위는 프로야가 차지했다. 색조에선 중저가 브랜드 차이탕(彩棠)이 1위를 차지했으며 7위 CARSLAN (卡姿兰) 9위 HUAXIZI (花西子) 등 중국이 3개로 강세였다. 라이브커머스인 더우인에서도 기초 1위 프로야,
일본 수입화장품 시장에서 한국과 중국, 태국 등 ‘아시안 코스메’의 존재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해 화제다. SNS를 중심으로 ‘저가 고품질’로 평가되며 소비자들이 매료되며 점차 고객층이 확대되고 있다고 한다. 아시아 화장품의 인기는 SNS를 중심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품질은 우수하다’는 점이 알려지면서다. 특히 한국 제품 수입액이 늘어나고 중국, 태국 브랜드도 카테고리별로 강점을 보이고 있다. 일본수입화장품협회에 따르면 국가별 화장품 수입액은 오랫동안 프랑스가 1위였지만 ‘22년에 한국(775억엔)이 프랑스(764억엔)을 제치고 ’11년 이후 최초로 1위를 기록하는 이변을 낳았다. 이에 대해 협회 관계자는 “과거에는 브랜드를 중시했지만 최근 소비자들은 가격이나 사용감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전문점들은 일본 화장품과 함께 아시아 화장품 라인업을 강화하고 소비자들은 적당한 가격의 아시아 제품을 선택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일부 점포는 이미 10년전부터 한국 화장품을 취급하기 시작했으며, 3~4년전부터 중국, 대만 등의 화장품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실제 일본수입화장품협회의 ‘23년 상반기 수입실적 동향’에 따
국내 화장품산업 인프라는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KCII)’이 유일하다. 때문에 지난 7, 8일 양일간 열린 글로벌 화장품시장 동향 분석 세미나 및 ‘피부-유전체 분석센터 구축사업 세미나에선 의미 있는 성과가 발표돼 주목을 받았다. 특히 기업들이 목말라 하는 글로벌 시장 동향과 해외 마케팅 지원, 국가별 피부특성은행 구축 및 현지 특화 제품 가이드라인 제공 등은 관련 기업들로부터 환영 받을 만했다. 전 세계적 K-뷰티 인기 비결 1위는 “천연 성분과 첨단 기술을 결합하여 효과적인 제품을 개발하고, 다양한 피부 문제에 대한 솔류션을 제공하는 혁신 제품과 고급기술”이 꼽힌다. 혁신만이 K-뷰티의 미래이며, 그 인프라를 제공하는데 연구원의 사업 목표가 뚜렷함을 엿볼 수 있다. 이날 세미나에는 사전등록 150여 명이 참석해, 해외시장 동향 정보에 ‘하나라도 흘릴까 쫑긋~’ 귀기울였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이재란 원장은 “열세 번째 진행하는 연구원 사업 성과 공유 세미나는 이미 각 기업에서 높은 활용도를 나타내고 있다. 연구원은 화장품 업계가 반드시 필요로 하는 해외시장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정보와 트렌드를 제공하는데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인사했다. 연구원의
베트남 대표 화장품 및 건강식품 전문 애플리케이션 리뷰티(Reviewty)를 개발한 주식회사 바이비(Vibey Inc.대표 박진감)가 '제 60회 무역의 날'에서 '1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바이비는 K-뷰티 브랜드사와 협업을 통해 베트남 마켓진출과 수출을 장려하며 해외 수출을 개시한 2020년 이래 4년 만에 1천만불 수출의 탑 수상이라는 쾌거를 이루어 냈다. 지난 2020년 론칭된 리뷰티는 미국의 인플루언스터(Influenster), 일본의 엣코스메(@Cosme) 등과 같이 화장품 리뷰 및 성분 정보를 제공하는 베트남 최초의 모바일 뷰티 플랫폼이다. 현재 누적 다운로드 150만회 이상을 기록하며 현지 앱스토어 쇼핑 차트 2위에 오르기도 했다. 또한 체험단 리뷰 이벤트 및 인플루언서 영상 PPL 등 다양한 마케팅 솔루션과 함께 150만 명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를 통해 상품 소싱 및 셀러 매칭 등 고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바이비 박진감 대표는 "제 60회 무역의 날을 맞아 1천만불 수출의 탑 수상이라는 성과를 달성한 것에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라며 "리뷰티는 앞으로도 베트남 내 K-뷰티 활성화에 앞장서고, 한국의 우수한 K-뷰티 브랜드사와
대한화장품협회(회장 서경배)는 오는 12월 20일 오전 7시 30분 리버사이드호텔 루비홀(5층, 서울 잠원동 소재)에서 중소기업의 대표자를 대상으로 조찬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날 간담회에는 중국 상표권 분쟁 전문가 유성원 변리사를 초청, ‘화장품분야 지식 재산권 보호 관련 대응 전략’ 이란 주제의 특강을 청취한다. 최근 지식재산권 관련 해외 상표 브로커들이 우리나라 기업의 상표를 악의적으로 도용, 선점하는 등 피해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기업별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tvn ‘뉴 퀴즈 온 더 블록’에 출연한 바 있는 유 변리사로부터 중국 상표 브로커의 악의적인 도용 피해로부터 우리기업을 보호할 방법을 청취할 예정이다. 참가대상은 중소기업 대표이사이며, 18일까지 신청을 받는다. ( https://kcia.or.kr/home/edu/edu_02.php?type=view&no=15754&ss=page%3D%26skind%3D%26sword%3D%26ob%3D )
2024년 화장품 수출은 90억달러로 피크를 찍은 2021년(92억달러)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11일 ‘2024년 보건산업 수출전망’에서 △ 화장품 90억달러(+6%) △ 의약품 81억달러(7.6%) △ 의료기기 59억달러(+3%) 등 보건산업 전체 230억달러(+5.8%)를 달성할 것으로 예측했다. 11월 누적 화장품 수출은 78억달러인데 2023년 최종 수출액은 전년 대비 7% 증가한 85억달러라고 진흥원은 예측했다. 화장품은 최대 수출국 중국향 수출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기저효과 및 온라인 플랫폼(이커머스) 중심으로 중국 이외 수출국 다변화가 이뤄지며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출다변화로 2022년 감소세에서 벗어나 플러스 전환이 확실하다. 국가별로 △ 아시아/퍼시픽 57억달러(-4.9%) 중국 감소 영향 △ 유럽 13억달러(+52%) △ 북미 13억달러(+40%) △ 중동/아프리카 2억달러(+34%) 순으로 예상했다. 북미 지역은 한국의 스킨케어 및 베이스 메이크업 등에 대한 관심 증가, 인디 브랜드인 조선미녀, 코스알엑스, 마녀공장 등 가성비, 숏폼 마케팅 영향으로 수출이 늘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미국의 화장품 규제
서울시 뷰티 비즈니스 아카데미 3기 수료식이 8일 서울 서소문청사 후생동강당에서 열렸다. 이날 120명을 배출함으로써 뷰티 아카데미를 통해 모두 343명의 K-뷰티 전문가군이 현장에서 활약을 펼치게 됐다. 수료생들은 5개 과정(△ 맞춤형 화장품 전문가 △ 뷰티 홍보 전문가 △ 뷰티 브랜드 매니저(BM) △ 조향 전문가 △ 뷰티 브랜드 창업) 별로 12주 동안 이론 및 실무, 창업 및 전문가 코스 등을 두루 섭렵했다. 이날 수료식에서는 수업현장 영상 스케치와 메이킹 영상 등이 상영됐으며, 우수성과물 발표 및 우수상 시상, 서울시장 명의의 수료증 등이 전달됐다. 서울시 권소현 뷰티패션산업과장은 “뷰티산업 분야가 발전하며 규모가 커지는 만큼 다양한 경력을 갖고 있는 교육생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며, 교육기간 중 취·창업 프로젝트를 활용해 실제 창업을 성취하길 바란다”라며 격려했다. 뷰티비즈니스아카데미 한지수 책임연구원(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 교수)은 “과정별 교육 후 수료생의 창업 의지가 꺾이지 않도록 수료생의 계속 지원 프로그램을 연계시키겠다”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성신여대는 12월 5일, 7일 양일 동안 취업 면접에 필요한 이미지메이킹과 퍼스널 컬러
가맹본부가 강제로 지정한 자와 거래토록 하려면 그 내용을 계약서에 기재해야 한다. 이같은 내용을 담은 ‘가맹사업 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가맹사업법)이 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공정위는 밝혔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가맹본부가 가맹점주에게 특정한 거래상대방과 거래할 것을 강제하는 품목, 이른바 필수품목의 종류와 공급가격 산정방식을 계약서에 필수적으로 기재하도록 의무화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가맹본부가 ▲ 너무 많은 품목을 필수품목으로 지정하고, ▲ 일방적으로 가격을 인상하면서도 ▲ 가격 산정방식 등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가맹점주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이었다. 특히, 필수품목을 시중 가격보다 비싼 가격에 구매하도록 강제하거나, 원자재 가격 인상 등을 이유로 공급가격을 가맹점주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인상하는 경우가 있어 가맹점주들이 고통을 호소하였다. 개정안이 시행되면 필수품목의 지정·변경·가격산정 등 일체의 거래과정이 계약에 포섭된다. 구체적으로 가맹희망자와 가맹점주들은 자신들이 가맹본부로부터 구매하게 될 필수품목의 항목과 공급가격 산정방식을 인지하고 거래할 수 있게 되어, 거래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계약에 반
공정거래위원회는 ㈜‘CJ 올리브영의 납품업체들에 대한 ▲ 행사독점 강요 ▲판촉행사 기간 중 인하된 납품가격을 행사 후 정상 납품가격으로 환원해 주지 않은 행위 ▲정보처리비 부당 수취행위에 대해 시정명령 및 과징금(18억 9,600만 원)을 부과하고, 법인 고발을 결정했다고 7일 밝혔다. 행사독점 강요는 지난 2019년부터 현재까지 자사 행사(파워팩 및 올영픽) 진행시 당월과 전월에 타 H&B 스토어 경쟁사(랄라블라, 롭스)에서 동일 품목으로 행사를 진행하지 못하도록 납품업체게 요구한 사실이 적발됐다. 점유율이 높은 올리브영이 단독 납품거래를 하지 않는 업체(Non-EB 브랜드)를 대상으로 랄라블라, 롭스의 거래 참여를 막음에 따라 피해를 입혔다는 설명이다. 파워팩은 노출 효과 높은 매대 P1, 올영픽은 파워팩 다음으로 노출효과 높은 매대 P2~P6를 말한다. 또 CJ올리브영은 2019년 3월~2021년 6월 사이 파워팩 행사시 납품업체로부터 인하된 납품가격으로 판매하고, 행사 종료 후 남은 상품을 정상가격으로 판매하면서 차액 8억여원을 부당하게 수취해 ‘정상 납품가격 미환원 행위’로 적발됐다. 아울러 CJ올리브영은 납품업체 의사와 상관없이 자사 전산시
티핏클래스(주)(대표 정내철)가 제 60회 무역의날 기념식에서 2천만 달러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티핏클래스는 ‘커버업 프로’를 주력으로 한 해 1500만개 이상을 해외로 수출했다. 커버업 프로는 트러블, 잡티 등 짙은 결점을 흔적 없이 커버 해주는 하이엔드 결점 커버 컨실러로 뛰어난 밀착력, 지속력 및 커버력을 구현했다는 평가다. 또한 3가지 색상으로 커버뿐만 아니라 컨투어링, 베이스 메이크업까지 가능한 올인원 제품으로 피부 톤을 가리지 않는 뉴트럴 쉐이드로 섞어 사용하면 다양한 피부 톤 믹스 매치가 가능하다. 이 제품은 47% 스킨 케어링 성분을 함유하여 더욱 촉촉한 사용감을 제공하며, 티핏의 아이덴티티 '나를 위한 바른 뷰티’에 맞게 20가지 유해 성분 및 알레르기 주의 성분을 배제했다. 피부에 민감한 사람들에게도 인기가 높아, 중국, 일본, 대만, 베트남, 튀르키예, 핀란드, 미국 등지로 수출되고 있다. 티핏클래스는 올해 수출액이 4천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를 위해 매월 해외 전시회에 참가하여 신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정내철 대표는 "수출의탑 2천만 달러 수상은 우리 회사의 노력과 성과를 인정받은 것으로 큰 영광이
‘코스모프로프 인도 뭄바이’가 7~9일 뭄바이 Jio World Trade Center에서 개막했다고 뷰티전문전시 기업 코이코(KOECO)가 밝혔다. 올해로 4회째를 맞는 미용박람회에는 총 1만5천 스퀘어의 전시장 규모로 1만여 명의 참관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최국 인도를 비롯 호주, 브라질, 캐나다, 중국, 이탈리아, 일본, 말레이시아, 폴란드, 아랍에미리트 등 5대륙 주요 국가의 450여 개 기업이 국가관을 구성 참여했다. 주요 기업으로 아마존, 로레알 안디아, 웰니스 포에버, YLG 등이 참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에서는 13개 기업으로 한국관을 구성해, 코트라와 함께 K-뷰티 홍보에 나섰다. 스킨케어, 코스메틱 기능성화장품, 필터샤워기, 필러, 마스크팩, 네일, 속눈썹 등 다양한 품목으로 현지 바이어 및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특히 해외에서 인기가 높아 각 참가사를 찾는 발길이 이어졌다고 코이코는 전했다. 참가기업에 따르면 바이어 퀄리티, 상담 건수, 계약 체결 등에서 호의적인 반응을 이끌었다고 한다. 더불어 주최사 진행 어워즈(awards)에 후보로 선정되기도 했다. 별도로 Cosmo Talks, Cosmo Stage 등 프로그램에서는
제주 천연유기농 화장품기업 ㈜대한뷰티산업진흥원(대표 강유안)이 눈가 전용 ‘딥프루브 아이 미스트(Deeprove Eye mist’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식약처의 ‘유기농 화장품 인증’ 및 이탈리아 비건 인증 ‘V-Label'을 받았다. 눈가에 분사하는 미스트로 안자극 인체젹용시험 및 피부자극 안전 테스트도 완료했다고 한다. 민감한 피부에도 사용 가능하며, 보습에 도움을 주는 효과도 확인했다. 또한 친환경 FSC 인증 산림 제지와 콩기름 잉크 패키지, PCR 100% 용기를 사용하는 등 ESG 경영에도 한발짝 앞서가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강유안 대표는 “딥프루브는 제주 비자나무 씨앗 오일에서 추출한 인체형 에코 세라마이드 NP를 함유했다. 제주의 청정 자연 생명력을 담은 브랜드 스토리로 국내뿐 아니라 일본, 필리핀, 중국, 말레이시아 등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라며 “‘딥프루브 아이 미스트’를 비롯 다양한 천연 뷰티 아이템에 대한 반응이 좋아 2024년도 매출 증가가 기대된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