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기능성화장품 심사가 943건 이뤄진 가운데 자외선차단 화장품이 342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식약처의 ‘2023년 기능성화장품 심사 통계’에 따르면 기능별로 ▲ 자외선차단 342건 ▲ 미백·주름개선·자외선차단(삼중기능성) 159건 ▲ 탈모증상 완화 131건 ▲ 미백·주름개선(이중기능성 59건 등이었다.
탈모증상 완화의 경우 63건(‘22) → 131건(’23)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이는 사회적으로 탈모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관련 제품의 심사 신청도 활발해진 때문이다.
또한 2020년 처음 기능성화장품에 포함된 ‘피부장벽의 기능 회복하여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도 3건(‘21) → 9건(’22) → 23건(‘23)으로 개발이 점차 증가하였다.
기능성화장품 심사 품목 중 국내 제조는 844건, 수입은 99건이었다. 국내 제조 비율은 90%다.
신규 주성분은 (’21년) 5건 → (’22년) 16건 → (’23년) 12건으로 나타났다. ‘23년의 경우 탈모증상 완화 5건, 주름개선 3건, 미백 2건, 여드름 1건, 피부장벽 1건 등이었다.
특히 자외선차단이 필수 기능이 되면서 자외선차단을 추가한 다기능성화장품이 많이 시장에 출시됐다. 이중 기능성은 △ 미백+자외선 30건 △ 주름개선+자외선 26건 등이다. 삼중기능성은 미백+주름개선+자외선이 159건이었다. 특이하게 미백+주름개선+자외선+피부장벽 등 사중기능성 화장품이 ‘23년 3건으로 처음 출시됐다.
(관련기사 한·중·일 기능성화장품 시장 동향은?...韓, 화장품 3개 중 1개는 '기능성'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84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