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동지역의 최신 화장품 동향 및 트렌드 정보를 수록한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의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4호(UAE·사우디아라비아 편)이 발간됐다.
UAE는 올해 1~4월 누적 화장품 수출액이 2750만달러로(+71%), 사우디아라비아는 880만달러(+3.4%)를 기록 중이다.

히잡을 착용하는 여성들은 여름이면 비듬과 가려움증이 증가해 샴푸 수요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천연, 유기농 성분으로 안전하게 매일 사용할 수 있는 샴푸 컨디셔너 헤어 오일이 인기다.
현지 인기 제품을 보면 △ 두피에 자극적인 파라벤, 글루텐, 황산염 대신 로즈마리, 알로에 등 천연 식물성 성분 활용 △ 허벌에센스, 아발론 등 천연 샴푸 등으로 조사됐다.
사우디아라비아도 라마다 기간과 고온 건조한 기후로 인해 건조해진 두발과 두피를 천연 식물성 성분으로 관리하는 헤어케어에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한 달간 해가 떠 있는 동안 물을 포함 금식을 행하는 라마다 기간에 모발의 수분과 영양이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에 수분과 영양 공급 헤어케어 루틴에 관심이 높다. 스킨케어 루틴과 유사하게 유분 밸런스를 맞춰주는 샴푸를 사용하고 수분 공급을 위한 컨디셔너, 두피 각질 제거를 위한 스크럽 등을 사용하는 루틴이 공유되고 있다.
UAE와 마찬가지로 코코넛, 올리브오일, 아보카도, 바나나, 아몬드 오일 등 식물성 성분의 인기가 높다.
연구원은 “중동지역의 환경적 요인, 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헤어‧두피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지역 시장 진출 시 천연 또는 식물성 성분으로 두피와 모발에 자극이 덜하면서도 보습영양과 각질 및 가려움증 완화 등에도 효과적이라는 점을 강조해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독일의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인 유세린의 ‘오일 컨트롤 드라이 터치 선 젤크림’이 상위에 랭크됐다. 높은 자외선 차단 기능은 물론 젤크림 제형으로 피부에 가벼운 느낌으로 바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오일 컨트롤 기술로 최대 8시간 번들거림 없이 지속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도 소비자들이 호평하는 제품 강점으로 조사됐다. 다양한 SNS채널을 운영하며 피부과 전문의가 추천하는 제품 및 사용법과 이를 활용한 스킨케어 루틴 등을 소개하고 있다.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4호의 자세한 내용은 [Allcos[(www.allcos.biz) → 해외시장정보 →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