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장은 콰징(跨境, 해외직구)이 유망하다!” 9월 29일 주중한국대사관과 중진공 베이징수출BI가 주관한 ‘중국 해외직구시장 진출 온라인설명회’는 참가 신청 기업이 500여 곳을 넘는 등 관심이 쏠렸다.

그 배경으로는 ▲짝퉁 이슈에 민감한 중국 소비자의 해외 직접 구매로 인한 안심(安心) ▲콰징 프로세스 정교화(물류 정상화·시스템화·안정화) ▲해관의 세금 부과 체계 구축(과세 9.1%) ▲왕홍의 콰징 참여 증가(일반무역의 상표권·재고 보유·위생허가 문제 등 이유) ▲코로나19 팬데믹 하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는 콘텐츠 개발 등을 꼽았다.
중국의 해외구매자는 1.8억 명(‘20)이며, 설문조사에 따르면 △제품 진위성 보장 74.1% △브랜드 인지도 58.8% △제품 품질 58% △가격 36.6% △빠른 배송 10.7% 등을 중요한 요소라고 답했다.(iiMedia 리서치)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의 최근 발표자료에 따르면 중국 온라인쇼핑 채널은 모바일 7.8억명, PC 0.2억명이 이용한다. 코로나19 팬데믹 하인 2020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1.7조위안(+10.6%)이었다. 그중 콰징(跨境, 해외직구) 이커머스 수출입 총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1% 증가한 1조 6900억 위안(약 310조원)에 달했다.
박영만 대표는 “현재 콰징 플랫폼은 티톡(더우인)·콰이쇼우(快手)·위챗 샤오청수 등 SNS 채널로 변화 중이며, MCN을 매개로 왕홍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어떻게 팔리게 할 것인가?는 운영의 묘를 살리는 게 중요하다”라며 콰징 생태계를 요약했다.
왕홍 이커머스는 브랜드 저가구매→콘텐츠 구매→다양한 수요 충족으로 진화 중이다. 주요 구매 품목은 화장품·건강기능식품인데 콰징 비안과 재고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에 대해 박 대표는 “보세구 재고는 최소 수량을 갖다 놓으면 된다. 한국-중국은 72시간 내 발송, 중국 2일 소요 등 총 5일 내 배송 완료되는 물류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라고 설명했다.

왕홍 마케팅의 경우 비용과 수익분배를 놓고 기업들이 주판알을 튕기기 어려운 문제. 박 대표는 “리자치, 웨이야 등 top 왕홍은 비용이 비싸다. 그렇다고 작은 왕홍은 원하는 판매량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왕홍 네트워크(왕홍 상호 간 판매·유통)를 활용하는 방식, 예를 들어 ‘100개 파는 왕홍×100명=1만여 개 이상 판매’라는 운영의 묘를 살리는 게 중요하다”라며 “왕홍은 타오바오 1.6만, 더우인 10만, 콰이쇼우 5.5만 등 수백만 명이 활동한다. 판매 데이터는 왕홍 별로 공개, 평가된다. 따라서 바이두에서 MCN을 검색해 적정한 기업을 선정하면 된다”라고 설명했다.
“마케팅 비용을 써도 팔리지 않으면 어떻게 하나요?”라는 청취자 질문에 박 대표는 “판매 데이터가 공개되므로 왕홍도 판매에 자신있는 제품을 선택, 기초수량 정도는 판매한다. 어느 정도 수량을 팔 수 있는 왕홍을 여럿 활용하는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박영만 대표는 현재 300여 브랜드사의 1만여 SKU를 보유한 해외직구 플랫폼 ㈜뷰티넷글로벌 대표를 맡고 있다. 롯데쇼핑(주)·롯데마트 글로벌소싱센터(상해) 소장 및 주식회사 테바글로벌 대표, 코스맥스(상해) 국제무역유한공사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15년 여 중국 현지 유통전문가로 명성이 높다. (관련기사 :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6183)

현재 중국 화장품시장은 C-뷰티가 품질을 강화하고, 주력 소비군인 Z세대 수요를 빠르게 파악한 후 이들에 맞춘 마케팅 전략을 펼치면서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는 중이다. ‘20년 Top10에 3개사가 진입함에 따라 향후 2025~2030년 로컬브랜드가 시장을 주도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코트라 베이징무역관)
이에 비해 글로벌 브랜드는 럭셔리·프리미엄 시장에서 브랜드 파워와 품질로 승부하던 데서 각종 온라인 판촉행사를 통해 파격적인 가격 인하, 온라인 매장 개설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J-뷰티도 대중 수출전략을 강화하는 등 경쟁이 치열한 양상이다.
K-뷰티 중소기업으로서는 규제와 마케팅 부담을 덜 수 있는 현실적인 이유로 콰징 채널 활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해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