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2월 소매판매 –6%...9년만에 최대 하락

코로나19 영향, 전산업생산 3.5% 감소...화장품 등 비내구재 -0.6%↓, 의류 등 준내구재 –17.7%↓

코로나19가 2월 전산업생산을 3.5% 끌어내렸다. 부문별로는 광공업(-3.8%), 서비스업생산(-3.5%) 소매판매(-6.0%) 투자(-4.8%) 등 줄줄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는 2011년 2월(-3.7%)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통계청의 2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실물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8로 전월보다 0.7포인트 하락했다. 11년 1개월만의 최대 하락폭이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은 ▲화장품 등 비내구재(–0.6%) ▲의복 등 준내구재(-17.7%) ▲승용차 등 내구재(-7.5%) 등 모두 판매가 줄어 1월 대비 6.0% 감소했다. 감소폭이 산업생산과 마찬가지로 2011년 2월(-7.0%) 이후 최대다. 


소매업태별로는 전월 대비 무점포소매(27.6%), 편의점(8.5%), 슈퍼마켓 및 잡화점(2.6%)은 늘었으나 전문소매점(-9.2%), 면세점(-36.4%), 백화점(-21.3%),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6.0%), 대형마트(-4.5%) 등은 감소했다.


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에 대한 불안이 확산되며 소비자들이 많은 사람이 밀집할 수 있는 공공장소로의 외출을 피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대형마트, 백화점 등의 오프라인 매장에 영향을 끼쳤다. 반면 지역별 슈퍼마켓은 생필품 등을 사려는 구매가 이어졌다.


실제 미국의 Coresight Research 조사에 따르면, 전염병 확산 등 이례적인 시기에 가장 먼저 피하게 되는 일상 행동 가운데 대중교통 이용 및 해외여행 다음으로 ‘쇼핑센터와 대형몰에서의 쇼핑’이 꼽혔다. 또한 전형적인 소매점뿐 아니라 공항에 위치한 면세점 매출에도 영향을 미치며, 스포츠경기나 콘서트 등 군중이 밀집하는 이벤트도 연기·취소되면서 관련 머천다이즈 판매점도 큰 영향을 받았다.


한편 서비스업생산은 직접적인 타격을 입은 숙박·음식점, 운수·창고 등에서 감소했으며 금융·보험, 보건·사회복지 등은 증가 등으로 전월 대비 3.5%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숙박·음식점(-18.1%), 운수·창고(-9.1%), 도소매(-3.6%), 예술·스포츠·여가(-27.2%)  교육(-3.0%),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6.0%) 등이 어려움을 겪었다. 반면 금융·보험(2.1%), 수도·하수·폐기물처리(16.5%), 부동산(4.8%) 등은 증가했다.


전산업생산이 1월(0.0%) 정체에 이어 2월 마이너스로 하락하면서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확산된 3월의 산업동향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통계청 안형준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2월 산업동향이 코로나19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부진했다“며 ”"3·4월에 걸쳐서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영향과 세계적 확산 영향이 반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