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화장품 수출액이 상반기에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21일 중기벤처부에 따르면 화장품 중소기업은 27.1억달러(+17.1%)를 수출, 글로벌 시장에서 K-뷰티 수출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은 중소기업 수출 비중이 높은 20대 품목 중 플라스틱 다음으로 2위다. 화장품 수출액은 코로나19 이전 ‘19년 대비 18.9% 증가하는 등 호조를 보였다. 이는 ①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중·미·일 등에서 수요 증가 ②신흥국(베트남·러시아) 수출 확대 때문이라고 중기벤처부는 분석했다. 특히 국내 중기 전체 온라인 수출액(5.6억달러, +101%) 가운데 화장품은 1위로 그 비중은 38.7%에 달한다. 온라인에서 팔리는 품목 셋 중 하나는 화장품인데, 한류 연관 소비재이자 글로벌 온라인몰이 발달한 국가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국가별로는 △중국 10.4억달러(+3.1%) △미국 3.1억달러(+34.3%) △일본 3.1억달러(+20.1%) △베트남 1.6억달러(+52.0%) △러시아 1.4억달러(+38.4%) 등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 중이다. 중국은 소비회복으로 면세점 수요가 증가했고, 미국도 뷰티 유통업 수요 증가로 수출액이 늘었다. 러시아에서는 온
“코로나19로 촉발된 중국의 사회·문화 변화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비즈니스 찬스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최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중국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고 전했다. (코로나19 이후 중국의 분야별 변화와 시사점) 정치면에서는 당-국가체제의 적응력이 나타나며 ‘결집효과’가 두드러졌다. 코로나19 책임론을 둘러싸고 미·중 갈등과 경쟁은 확대 중이지만 협상은 축소되고 있는 실정. 이 때문에 강대국의 글로벌 리더십이 약화되며 ‘각자도생’을 확인시켰다고 분석했다. 경제면에서는 중국 중심의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이 미국 주도로 재편되면서 중국 기업들이 아세안에 생산기지를 구축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활로가 막힌 수출품의 내수전환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역내 산업의 공급사슬 확충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거시 변화 속에 화장품 업계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방역 과정에서의 국민 사생활(프라이버시)권 제한과 침해 ▲분찬제(分餐制)와 공용 수저 사용 문화 확산, 음식 낭비 줄이자는 사회적 운동 ▲사회적 상호작용과 소통방식 변화, 탄막(彈幕)과 클라우드 문화(
식약처는 K-뷰티 수출액이 프랑스, 미국에 이어 세계 3위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액이 G3에 진입한 것은 사상 최초다. K-뷰티의 ’20년 수출 규모는 75억 7210만달러(8조 2877억원)로 16.1% 성장했다. 반면 식약처가 집계한 화장품 생산실적은 15조 1618억원으로 전년 대비 6.8% 감소했다. 내수는 고전하고 수출은 성장, 희비가 엇갈렸다. 내수에서 화장품 판매액은 40조 9037억원(-13%)으로 집계됐다. 오프라인 소매판매액 28조4726억원(-18%), 온라인 소매판매액 12조 4311억원(+0.4%)이었다. 화장품의 온라인 판매 비중은 30.3%로 화장품산업은 O2O(오프라인 체험, 온라인 구매) 성격이 분명하게 드러났다. (관련기사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5853)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화장품 생산실적은 유형별로 엇갈렸다. 손세정제 등 인체세정용 제품류 생산은 전년 대비 20.5% 증가했지만, 마스크 착용 및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색조화장용 제품류는 21.5% 감소했다. 눈화장용 제품류는 전년과 유사한 0.3% 증가에 그쳤다. ‘20년 화장품
4월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조 323억원(+7.5%)으로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기저효과 외에 코로나19 이전인 ’19년 4월(9617억원) 거래액을 넘어섬에 따라 본격적인 수요 회복 기대감을 높였다. 화장품의 모바일쇼핑 거래액도 5290억원(+44.8%)으로 두 자릿수 성장했다. 이는 전체 상품군 중에서 4위에 해당하는 높은 증가율이다.(문화 및 레저서비스 171.2%, 음식서비스 62.1%, 여행 및 교통서비스 51.5%) 즉 코로나19 영향으로 외출 자제, 비대면 소비에서 상대적으로 타격을 입었던 상품군이 반등으로 돌아서며 큰 폭 상승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화장품의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20년 3월부터 12개월 연속 감소세에서 지난 3월 15.2% 플러스로 돌아서며 내수 침체 탈출을 알렸다. 이에 따라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이 화장품의 경우 13.1%p 상승했다.[38.1%(‘20. 4월)→51.2%(’21. 4월)] 3월(50.3%)에 비해서도 0.9%p 증가하는 등 완만한 증가세다. 향후 코로나19 이전 60.2%(‘19. 4월)까지 반등해야 코로나 이전 수준 소비 회복단계에 들어서리라는 분석이다. 기업들의 1분기
5월 화장품 수출액이 7.97억달러(+42.2%)를 기록하며 12개월째 연속 플러스 행진 중이다. 작년 5월 5.6억달러(-3.2%)로 역성장한 기저효과를 뛰어넘는 호성적이다. 역대 5월 중 1위 기록이다.[(5.96억달러(‘18)→5.96억달러(’19)→5.96억달러(‘20)→7.97억달러(’21)) 산업통상부는 ①SNS 플랫폼, 뷰티 인플루언서 등을 통한 콘텐츠 마케팅의 글로벌 흥행과 더불어 K-뷰티 수요 지속 ②코로나19 이후 아이 메이크업 제품 중심으로 성장 ③중국·아세안 지역 수출 증가 등이 호조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품목별로는 △메이크업·기초화장품 5.2억달러(+43.4%) △두발용제품 0.3억달러(+21.9%) △세안용품 0.2억달러(+14.7%) 등으로 두 자릿수 성장했다. 국가별로는 ▲중국 3.4억달러(+45.2%) ▲아세안 0.5억달러(+49.6%) ▲미국 0.5억달러(+35.2%) ▲EU 0.2억달러(+50.6%) 등 지역별로 고루 큰 폭 증가했다. 대 중국 수출은 류이빠(6·18, 징둥닷컴)에 대비한 물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류이빠는 식품과 위생용품, 여성복, 화장품, 패션잡화류가 주요 카테고리이며 가격대는 400~600위안(약 7
화장품 수출국 2위 자리를 놓고 일본과 미국이 각축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화장품협회가 관세청 자료를 분석한 1~4월 누적 수출액은 31억 2167만달러(+33.5%)로 순항 중이다. 1위는 중국 16.5억달러(+46.4%)로 총 수출액의 52.7%를 차지한다. 중화권(중국+홍콩) 수출액은 18.7억달러로 전체 점유율은 60%에 달한다. 대 중국 수출 비중이 높다 보니 지역 다변화가 과제로 부각됐다. 그런 측면에서 홍콩 비중이 축소되는 대신 일본과 미국의 점유율 증가 추세는 긍정적이다. 작년도 수출 순위는 2위 홍콩 7.15억달러(-22.9%) 3위 미국 6.41억달러(+20.8%) 4위 일본 6.40억달러(+58.8%) 순이었다. 그런데 2021년 들어 사상 처음으로 일본이 2위로 점프했다. 1~4월 누적 수출액은 일본 2.64억달러(+33.8%) 미국 2.57억달러(+47.7%)였다. 특히 일본의 수출 증가세가 돋보인다. 최근 3년간 전체 수출액 중 일본 점유율은 4.8%(‘18)→6.1%(’19)→8.4%(‘20)으로 큰 폭 증가했다. 반면 미국은 8.6%(‘18)→8.1%(’19)→8.5%(‘20)로 총 수출액 증가만큼 꾸준한 증가세임을 알 수 있
기후, 환경 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의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 경영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한국콜마 등이 잇달아 윤리경영, 친환경 행보를 선언하고 관련 요인(factor)을 점검, 해결책을 내놓는 것도 ESG 대응이 지속가능한 경영이자 ‘생존’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ESG경영 열풍이 부는 이유는 △팬데믹 기간 높아진 환경 인식 △트럼프 反환경정책에 맞선 유럽의 주도 △바이든 행정부 출범 △블랙락 등 선두금융회사들의 ESG 정책 드라이브 등에 따라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ESG 경영을 위해서는 외부에선 요구하는 수백까지의 요인(factor)을 점검해야 하는 현실적 어려움이 상당하다. 이와 관련 국제금융센터는 ESG 경영에서 고려해야 할 핵심 포인트로 7가지를 제시했다. 먼저 투자자(Capital)들은 자본조달 시 ESG 기준을 강화하고 나섬에 따라 기업들도 이에 맞춰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2020년 글로벌 자산운용사가 ESG 기준으로 운용하는 자산은 45조달러로 절반 규모다. 그런데 2030년에는 9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어서, 투자 시 ESG 기준 적용
1분기 화장품 오프라인 소매판매에 온기가 전해지고 있다. 아직 화장품 경기는 바닥을 다지는 모습이지만 전반적인 소비 회복세에 기대어 2분기에 막차를 탈 수 있을지 기대된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온·오프라인의 모든 채널에서 매출 급락세를 보였던 외출 관련 품목인 화장품은 계절 요인과 백신 접종 기대감 등 영향으로 2월 들어 플러스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의 오프라인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20%(1월)→14.3%(3월)로 플러스 전환했다. 다만 같은 외출 관련 품목인 ▲의복 –17%(1월)→47.8%(3월) ▲신발·가방 –27.8%(1월)→36.8%(3월)에 비해선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아쉬움을 남겼다. 이로써 1분기 화장품 오프라인 판매액은 –3.2%로 집계돼 여전히 부진을 벗어나지 못했다. 아울러 1분기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도 –3.8%을 기록, 상승 반전에 실패했다. 다만 3월 플러스 전환이 기대감을 준다. [ -3.8%(1월) → -13.8%(2월) → 7%(3월)] 이번 조사는 통계청과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은행의 소매유통 통계수치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보고서는 “미국은 대규모 경기부양에 따른 재난지원금 추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