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소비자, 화장품 위험 79.4%...‘식약처 역할’ 모른다 64.3%

화장품 정보 취득 ‘온라인·소비자후기(34.6%), 전문가(25.3%)...식약처가 1위가 돼야 지적도
과학적 근거 부족한 비전문가들의 화장품 위험성 강조로 업계 발전 가로막아
‘2019 화장품 위해평가와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포럼’ 토론회


화장품 안전성 관련, 일부 앱의 왜곡 정보와 비과학적인 대중전문가로 인해, 오히려 소비자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소비자가 화장품을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이 80%에 달해, 소비자와의 소통 노력이 필요하다.


12일 (사)소비자권익포럼이 주최한 ‘2019 화장품 위해평가와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포럼’은 화장품 안전을 강화하고 소비자 커뮤니케이션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지정토론은 (사)소비자권익포럼 이은영 이사장, 화장품비평가 최지현 작가, 단국대 김규봉 교수, 식약처 한연해 주무관, 녹색소비자연대 은지현 상임위원, 국회입법조사처 김은진 입법조사관, 대한화장품협회 장준기 상무, 한국소비자연맹 정지연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모두 발언에 나선 장준기 상무는 “소비자가 안전 우려 성분으로 조사된 살균보존제와 계면활성제 등은 식약처 가이드라인에 따라 안전하게 사용된다. ‘이런 성분이 들어가서 안전하지 않다’는 일부 앱 등의 정보 왜곡은 소비자에게 오해를 줄 소지가 있다. 보존제는 적절하게 사용하면 미생물 오염방지, 안전성 강화 등에 도움이 된다. 이런 근거없는 정보들은 소비자, 업계 모두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화장품비평가 최지연 작가는 “화장품 위해평가가 인체적용 제품의 위해성으로 판단되는 게 아니라 환경 유해성으로 인해 화장품 규제가 늘고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은 인체 위해성이 없는데도 환경 영향으로 인해 사용이 금지된다. 이런 잘못된 정보로 소비자 혼란과 불신이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소비자의 화장품 정보 취득 경로 조사에서 온라인 소비자후기, 전문가가 1, 2위를 차지했는데, 왜 식약처가 1위가 아닌가 반문했다. 최 작가는 “화장품 위해평가는 식약처와 전문가가 나서야 하는데, 일부 앱과 EWG와 같은 환경단체 등 과학적 근거가 약한 대중전문가들의 잘못된 정보로 오히려 소비자가 안전하지 않다. 식약처의 성분 자료가 어렵고 간단명료하지 않은데서 대중 소통 방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국회입법조사처 김은진 입법조사관은 “사용시 주의사항이 요구되는 호주 의약품이 직구로 수입되는 등 ‘사람 대 사람’을 통해 구입하는 건 문제다. 정확한 전문 정보 제공을 위한 소비자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 또 영유아 화장품이 시중판매 되고 있는데 성분 관련 올바른 평가 체계가 마련되어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고 소비자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소비자연맹 정지연 사무총장은 “화장품 사용 연령이 낮아지고, 가격에 민감하다는 조사에서 안전관리 기준 강화 필요성을 느낀다. 또 ‘또래집단’을 통해 화장품이 선택되는 건 문제다.기능성화장품의 경우 정부 기준과 소비자 체감 기준의 괴리가 크다. 인체적용시험 기준이 20명인데, 이런 부분에서 강화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화장품 위해평가 국제동향’을 발표한 단국대 약학대 김규봉 교수는 “화장품원료 위해평가는 국제기준에 따라 ‘한국형’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국인의 1일 화장품 통합사용량은 16.9그람으로 평가되며, 이를 기준으로 살균·보존제인 트리클로산은 한국이 0.3%, 유럽이 0.2%(구강세척제)~0.3%(화장품), 일본 0.1% 이하 등으로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 유럽, 미국의 화장품 안전관리 체계는 유사하며, 안전성 이슈는 국제적으로 공유되고 있다. 현재 나노화장품과 염모제 안전성, 동물실험의 금지로 인한 대체시험법 개발이 이슈가 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식약처 한연해 주무관은 토론에서 “안전역(MOS)을 동물실험보다 10×10배인 100 이상으로 하는 등 위해평가 방식을 소비자에게 설명할 필요성을 느낀다. 식약처도 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 조직을 만들어 적극 소통에 나서고 있다. 내년에 국제화장품규제조화협의체(ICCR)에 가입하는 등 국제기준체제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며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자 체감의 만족도가 다르다는 지적과 인체적용시험기관의 관리 필요성을 알고 있다. 이를 위해 ‘인체적용제품’의 위해평가를 통합적으로 하고 있으며, 업계와 소비자 간 소통 어려움 해소 수단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녹색소비자연대 은지현 상임위원은 ‘화장품사용에 대한 소비자 행태와 인식변화’를 발표했다. 성인 1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조사에서 67%가 6개월에 1번 이상 화장품을 구입하며 1회 평균 구입가격은 5만 7889원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입경로는 온라인/홈쇼핑이 40.8%, 브랜드숍 16.7%였다. ▲화장품 구입시 고려 요인은 피부적합성(37.1%), 화장품의 기능성(29.8%), 가격(15.6%), 브랜드 인지도(7.4%)라고 응답했다. ▲화장품 정보 취득 경로는 온라인 소비자 후기(34.6%)-전문가(25.3%)-주위 사람의 권유(19.0%) 순이었다. ▲화장품 원료, 성분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냐는 질문에는 장기적으로 더 큰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45.6%), 피부트러블에 한정됨(33.8%), 별 부작용 없음(12.7%)로 80% 이상이 위험성, 부작용을 걱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위해평가시스템을 모른다는 답이 60.7%, ▲식약처의 화장품위해평가 결과 공개에 대한 인지도도 9.6%에 불과해, 소통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번 포럼에 참가한 패널들은 ‘소비자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됐고 자주 모임을 가져야 할 필요성에 공감했다. 소비자가 화장품의 위해성, 부작용을 걱정하는 응답이 80% 이상인데 비해 식약처의 위해평가 공개 등의 정보 소통은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앱’의 부정확한 정보와 대중전문가의 비과학적 사실에 근거한 위험성 강조는 화장품산업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제기준에 맞춘 화장품 위해평가시스템의 홍보와 식약처의 소통 노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