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식약처장, AI 기술 활용한 화장품 연구 현장 방문 & 업계 간담회 개최

디지털 기술을 반영한 화장품 규제 합리화로 세계 진출 확대 지원



식약처 오유경 처장은 8월 28일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을 방문, AI 등 첨단기술이 적용된 연구 현장을 살펴보고 주요 기업과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참석기업은 LG생활건강, 아모레, 한국콜마, 코스맥스, 클리오, 와이어트, 대한화장품협회 등이다. 

식약처는 9월 7일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후 처음 맞이하는 화장품의 날을 기념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화장품 연구개발 현장에서 K-뷰티 기술력을 확인하고 미래 비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오유경 처장은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에서 피부 특성과 유전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스킨케어 솔루션을 개발하고, 염색 시술 전·후를 비교하여 고객이 원하는 헤어컬러의 염모제를 제공할 수 있는 AR 기술이 접목된 사례를 확인하였다.

또한, 얼굴 이미지 기반으로 피부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Vision AI 기술 활용 현장 등을 직접 살펴보고, “국산화장품의 뛰어난 기술력과 혁신적인 노력이 K-뷰티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며, 연구원들의 노고를 격려했다.

LG생활건강 강내규 전무는 “식약처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기술혁신과 안전성을 함께 실현해 나가며, K-뷰티 세계화에 발맞춰 화장품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열린 화장품업계 간담회에서는 중국, 미국 등 주요국의 화장품 안전성 평가 의무화, 개인 맞춤형 화장품 시장 확대 등 새로운 변화에 발맞추어 우리 화장품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업계는 ▲ 중동·남미 등 신시장 진출을 위한 규제기관 간 협력 및 규제정보 제공 확대 ▲ 안전성 평가제 도입 관련 업계 맞춤 지원 ▲ 인공지능(AI) 기반 기능성화장품 심사지원 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오유경 처장은 “식약처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되, 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고 업계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특히, 혁신 기술을 활용한 화장품 개발과 수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K-뷰티가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확고한 리더십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22일 정부는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으로 AI 대전환 및 초혁신경제 30대 선도 프로젝트를 확정한 바 있다. 또 작년 연말 국회를 통과하고 인공지능(AI) 기본법이 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화장품산업도 AI 기술을 접목한 K-뷰티 미래비전도 점차 윤곽을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