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화장품이 한류를 날개로 삼아 다시 한번 비상을 꿈꾸고 있다. 화장품 대중 수출이 11년 만에 감소하자 ‘한류 열풍’을 활용해 위기를 극복하자는 논의가 활발하다. 올해 상반기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30년 만에 대 중국 무역수지가 처음으로 3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함에 따라 정부와 경제계에 비상이 걸렸다. 이 가운데 대중 무역수지 적자 품목으로 ‘화장품’이 꼽혔다.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IIT)은 “2022년 상반기 중 대중국 흑자 품목 대부분에서 수지 악화 및 적자 품목수가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즉 대중국 무역수지를 주도하는 20개 품목(흑자 10+적자 10) 중 13개 품목의 수지가 전년 대비 악화됐다는 분석이다.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 진단') 이 가운데 화장품은 전년 대비 5.1억달러나 줄었다. [ 24억달러(‘21년 上)→18.9억달러(’22.上) ] 국제무역통상연구원(IIT)은 “화장품은 중국의 궈차오(애국소비) 열풍으로 대중국 화장품 수출이 11년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고 전했다. 상반기 대중국 화장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7% 감소했다.(22.1Q –29.2% → 2Q –12.8%) (관련기사 화장품 중국 수출 10년
국내 거주 외국인에게 K-뷰티를 널리 알리고 글로벌 판매 역량을 키워주는 서울산업진흥원(SBA)의 ‘글로벌 뷰티마케텅 양성 과정’이 열띤 호응 속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교육에는 (사)한국화장품수출협회, 중국시장전략연구소가 후원했다. SBA는 교육생을 서울뷰티 어워드사의 글로벌 판매망 확장 및 다문화 딜러로 육성, 서울뷰티의 허브 기능을 강화한다는 취지로 계획됐다고 밝혔다. 국내 거주 외국인 및 귀화인으로 한국어를 구사하는 교육생들은 ▲기초반(5강, 15h) ‘글로벌 플랫폼 마케팅+인플루언서 마케팅 교육’(7.12~7..26) ▲심화반(5강, 15h) ‘뷰티전문가 실전 전문+화장품 MD 교육’ (8.2~8.16)으로 구분, 수강했다. 교육생은 19개국 109명이 등록해 최종 67명이 수료증을 받았다. K-뷰티가 많이 판매되고 있는 유럽과 러시아·CIS·일본 등 수료생 중에서 “전문교육 이수 후 K-뷰티 딜러로서 활약이 기대된다”는 게 강사들의 전언이다. 수료생들에겐 서울뷰티를 각국에 전파하고 알리는 홍보대사와 딜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수료증과 ‘SEOUL BEAUTY AMBASSADOR’ 배지(badge)가 수여됐다. 기초반의 경우 △K-뷰티의 이해 △스
111명이 접속하고 34개의 질문이 쏟아진 8월 12일 ‘OTC 모노그래프 사용자 수수료 프로그램’ 웨비나는 그만큼 열기가 뜨거웠다. 이는 미국 시장이 작년에 18% 성장하는 등 기업들의 미국 실무가 많아졌고 좀 더 디테일한 수출시 주의사항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반증이다. 대한화장품협회가 주관한 이번 웨비나는 FDA 전문컨설턴트인 존 권(John Kwon)이 강의를 맡았다. 미국에서는 화장품이면서 동시에 의약품인 경우는 OTC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샴푸는 화장품이지만 비듬방지 치료제는 의약품이므로 ‘비듬방지 샴푸’는 화장품이면서 의약품이다. 존권 대표는 "브랜드사는 화장품 전성분 확인을 통해 일반 또는 OTC 제품인지 판단하고, OTC인경우 제조사가 업체 등록 및 OMUFA 시설 수수료 납부 완료된 상태인지 확인 후 제품 등록을 진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발한억제제, 자외선차단제, 비듬 샴푸, 여드름 제품, 피부보호제(살리실산이 들어간 제품)은 OTC로 분류된다. 미국 시장은 제품 안전에 대해 세부적인 요구조건을 명시하지 않지만, 대신 제조사가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화장품을 시장에 출시하도록 요구한다. 2020년 미국은 모노그래프 사용자에게 수수료
중국의 화장품 소매판매액이 상반기에 1905억위안으로 전년 대비 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역 봉쇄로 인해 4, 5월 하락했으나 6월에 424억위안(+8.1%)으로 다소 회복됐다. 중국은행증권은 “현 상황에서 하이엔드를 장악하고 있는 글로벌 브랜드는 실적 회복력이 뛰어나 코로나19 하에서도 성장했다. 또한 라이브커머스, 왕홍 마케팅 등이 화장품 소비 회복을 이끌었으며 소비전환율이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이를 반영하듯 글로벌 브랜드를 보유한 프랑스가 수입화장품 1위로 올라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22년 1~5월 수입화장품 통계에서 프랑스가 일본과 한국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프랑스는 플러스 성장을 유지했으며 일본 –8% 한국 –34%였다. 프랑스로선 5년 만에 다시 1위에 올라섰다. 실제 7월 29일 발표된 로레알 그룹의 2022년 상반기 북아시아 실적은 매출 10.5% 연결재무제표 20.3% 증가했다. 중국 소비자의 소득 및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제품 안전 및 품질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프랑스 화장품의 수요는 증가할 것이라고 칸타월드는 전망했다. 한편 올해 상반기부터 중국의 화장품 수입관리가 강화되고 있다고 코트라(KOTRA
코로나19 장기화와 러-우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의 뷰티 시장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에 관한 정보는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이 발간한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6호(카자흐스탄·러시아 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반기 K-뷰티 수출액은 △러시아 1.3억달러(-7.4%) △카자흐스탄 0.2억달러(-19.9%)를 기록 중이다. 연구원은 “러시아는 유명 글로벌 브랜드가 철수한 가운데 ‘가격 경쟁력을 중심으로’ 중소 브랜드·현지 브랜드, 벨라루스·카자흐스탄 등 CIS 브랜드와 중국·터키 브랜드로 대체되는 양상이다. 이중 K-뷰티는 품질 좋고 합리적인 가격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K팝 등 한국문화 관심이 높아 수요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또한 카자흐스탄은 러-우 전쟁 영향은 없으며, 공급사와 물류계약을 통해 러시아를 거치지 않는 유통이 가능하다는 전언이다. 대신 미국·유럽 브랜드의 러시아 철수로 현지 소비자는 대안으로 한국·러시아·벨라루스 브랜드에 인기가 쏠리고 있다고 현지 사정을 소개했다. 러시아의 뷰티 컨설턴트 다리아 쿠텐코바(Daria Kutenkova)는 “팬데믹으로 온라인 쇼핑이 증가하면서 택배 배송에 문제가 발송하기도 했다. 러-우
7월 화장품 수출액은 6.15억달러로 전년 대비 5.8% 감소했다. 7개월째 감소세를 보임에 따라 하반기에 특별한 반전이 없다면 올해 화장품 수출은 역성장할 가능성이 커졌다. 5대 유망 소비재 수출품목 중 화장품만 올해 내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유망 소비재로 포함된 이후 처음 겪는 수출 역성장이다. 그만큼 화장품 수출은 매우 비상 상태다. 하지만 이렇다 할 현장 진단이나 대응책은 나오지 않고 있어 수출 최전선의 대·중소 기업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 수출 부진의 큰 원인은 역시 중국에서의 거래·물류·궈차오 등 3대 절벽이다.(관련기사 화장품 중국 수출 10년 만에 역성장...‘거래·물류·궈차오’ 3대 절벽 뛰어넘어라 (cncnews.co.kr) 대한화장품협회의 집계에 따르면 ’22년 상반기(1-6월) 중국+홍콩 수출액은 21억달러로 ’21년 상반기 대비 23% 감소했다. 반면 중국+홍콩을 제외한 국가의 수출액은 3% 증가했다. 결국 2022년 상반기 화장품 수출 부진의 원인은 중국+홍콩의 실적 추락 때문이다. 상반기 △중국 18.9억달러(-21.2%) △홍콩 4.1억달러(-34%)로 각각 감소했다. 또한 화장품 수출의 70% 이상을 담당하는 중
면세점의 최대 매출원인 화장품의 활로는 무엇일까?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따이공에 의한 매출 대부분이 한국 화장품 구매로부터 발생하고 있지만 중국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가 감소하는 것은 매우 큰 위험”이라고 했다. 반면 “중국은 2025년 세계 최대 명품시장이 될 것이며, 향후 명품시장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주요 요인으로 하이난 면세점과 전자상거래 명품시장의 성장 등을 꼽았다”며 베인앤컴퍼니의 보고를 인용했다. 전자가 위기라면 후자는 기회라는 분석이다. 그러면서 “화장품의 온라인 판매 침투율(penetration)이 38%(‘20)→41%(’21)로 증가하며 전자상거래를 통한 시장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 … 관세청이 허용한 온라인 역직구와 같은 온라인 판매 활성화 성격의 규제 개선은 긍정적”이라고 진단했다. 면세점 해외 역직구제도는 이미 한시적으로 시행 중이지만 디지털 전환과 함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가능하도록 R&D를 장려해야 한다는 제언도 강조했다.(KDI ‘면세점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연구’에서 인용) 사실 지난 1분기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그룹의 매출이 –19.2%, –9% 각각 감소하면서 면세 채널에서의 따이공 행태가 화
대한화장품협회(회장 서경배)는 8월에 실시 예정 교육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먼저 8월 12일 ‘미국 OTC 모노그래프 사용자 수수료 프로그램(OMUFA)에 대한 웨비나’를 실시한다. 대상은 미국 수출을 계획 중인 기업이며, 온라인 플랫폼(웨비나)을 통한 실시간 영상 송출 방식으로 진행한다. (사전등록 링크 https://forms.gle/CNAUgJ3knN3h5VVL9) 신청기간은 8월 9일까지이며, 사전등록자에게 URL 링크가 개별 통보될 예정이다. OTC Drug란 자외선차단제, 비듬 샴푸, 여드름 제품, 제한제, Astringent 효과가 있는 Skin Protectant(Salicylic acid가 들어간 제품) 등을 말한다. 강의 내용은 △OTC 모노그래프 사용자 수수료 프로그램(OMUFA)이란? △사용자 수수료율 부과 대상 및 수수료 금액 △자주하는 질문 △실시간 질의응답 등이다. 또한 오는 8월 31일 ‘말레이시아 화장품 인허가 절차 및 시장현황 웨비나’가 진행될 예정이다. (사전등록 링크 https://forms.gle/S2VMaJ2M1igVVqrPA) 신청기간은 8월 26일까지다. 강의 내용은 △말레이시아 화장품 제도 개요 △화장품 인허가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