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모리가 일본의 초대형 종합상사 ‘이토추상사’와 중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토추’ 종합상사는 165년의 일본 5대 상사의 하나다. 사업 분야로 화장품을 포함해 섬유, 에너지, 금속, 식료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한다. 국내에서는 편의점 패밀리마트의 모회사이며 스포츠 브랜드 데상트, 청과 회사 돌(Dole)의 유통사업도 진행한다. 토니모리는 이번 계약을 통해 상반기 내 일본 대표 H&B스토어, 버라이어티숍 입점뿐만 아니라 라쿠텐, 아마존과 같은 온라인 쇼핑몰 입점 등 일본 내 다양한 온·오프라인 채널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토니모리 관계자는 “일본의 화장품 시장은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규모를 자랑한다”라며 “최근 일본에서 K-뷰티에 대한 인기가 높은 만큼 이번 ‘이토추상사’와의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일본 진출의 기반을 마련하고, 더욱 많은 일본 소비자들에게 토니모리의 다양한 제품들을 만나볼 수 있도록 제품 공급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오늘(14일) 대한화장품협회가 마련한 ‘미국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 웨비나’는 최대 접속인원 289명에 40여 개 질문이 쏟아질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다. 강의를 맡은 엠톰글로벌(MTOM Global) 존 권(John Kwon) 대표는 ‘OMUFA 수수료 프로그램’으로 이미 익숙한 얼굴. 실시간 질문에 성심껏 답하고 추후 업데이트를 통해 북미시장의 화장품·의료기기 관련 ‘친절한 컨설턴트’로 널리 알려져 있다. 미국은 2022년 12월 29일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 : Modernization of Cosmetics Regulation Act of 2022)'이 포함된 ‘2023년 통합 세출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연방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법(FDCA)의 Ⅵ장에 새로운 사항을 추가해 준수를 요구한다. MoCRA가 생긴 배경은 미국 의회의 소비자 보호 의견과 지난 1938년 이후 85년 만의 변화를 담은 새로운 규제 신설 요구다. 우리로서는 유럽·중국의 규제에 상응하는 미국의 조치로 이해된다. 또한 한국 화장품의 위상 변화다. 미국 화장품시장에서 한국산 화장품 물량은 228만톤(수입물량의 12%)에 달한다.(’22년, 캐나다, 중국에
비지티컴퍼니(BGT Company 대표 김병수)는 코스맥스(대표 이병만)와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일본 진출시 상호 협력키로 했다고 9일 밝혔다. 업무협약 내용은 △일본 진출 협력체계 구축 △기술력과 전문성을 통한 개발생산 협력 △고객사의 일본 진출 현지 홍보와 유통 적극 지원 △기타 양사의 관심사항에 대한 협력 등이다. 김병수 비지티컴퍼니 대표는 “경쟁이 심화되는 일본 시장에서 비지티컴퍼니와 코스맥스의 협력을 통해 국내 브랜드사의 일본 진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회를 확대하며, 상호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지티컴퍼니(BGT Company)는 일본 전문 수출 기업으로 물류부터 통관‧라벨링‧마케팅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국과 일본에 법인을 보유하여 전문 인력을 두고 오프라인 매장 관리와 온라인 브랜드몰 운영을 전담한다. 국내 브랜드 150여개를 일본을 비롯한 해외 10개국에 유통하고 있으며 경기 화성과 일본에 물류센터를 구축하고 수출 확대에 나섰다. 설립 3년 만에 누적 매출 300억원을 달성했으며 최근 다양한 네트워크망을 확대, 일본시장 진출 전문 유통기업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K-뷰티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선도하는 (사)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IBITA, 회장 윤주택)와 (사)제주화장품인증기업협회(JCCA, 회장 이지원)는 유씨엘(주) 대회의실에서 8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IBITA는 45개국 75개 화장품·뷰티 전시 및 해외 박람회에서 K-뷰티 수출기업을 지원한다. JCCA는 ‘제주화장품인증제’를 받은 지역 화장품기업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양 협회는 제주 인증 화장품의 브랜드화 및 글로벌시장 진출에 공동 노력하기로 했다. 첫 협력사업으로 오는 3월 16일 개최되는 ‘2023 볼로냐 코스모프로프’에 ‘제주인증 화장품 공동관’을 구성키로 했다. 이어 ▲ 5월 ‘제2회 남미(브라질·멕시코) 미션코리아’의 남미 구매자 수출상담회 ▲11월 ‘홍콩 코스모프로프’에 지원사업으로 추진키로 결정했다. 이밖에 IBITA가 진행하는 해외전시회 및 무역지원사업에 지속적으로 협력키로 합의했다. IBITA 윤주택 회장은 "현재 IBITA는 △ 아랍에미레이트 정부와 함께 UAE Moiat 한국사무소 창구 △ UAE FCI그룹 BPC 한국대표본부로 중동 및 MENA 지역의 한국 기업 수출 지원을 하고 있다. 또 UAE·프랑스·
2022년 화장품 중소기업의 수출액은 45.5억달러로 전년 대비 7.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화장품은 중소기업 수출품목 중 2위를 유지했다. 전체 중기 수출 품목 중 점유율은 4.5(‘21)→3.9(’22)로 낮아졌다. 이는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 때문이라고 중기벤처부는 분석했다. 이로써 화장품 중소기업의 수출액은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 50억달러(‘20) → 49.2억달러 ('21) → 45.5억달러(‘22) ] 국가별로 ▲중국 13.7억달러(-25.9% 23개월 연속 감소세) ▲미국 6.2억달러(-0.5%) ▲일본 5.3억달러(-7.1%) ▲베트남 3.0억달러(+12.1%) ▲러시아 2.6억달러(-4.8%) ▲홍콩 2.1억달러(-23.6%) 순이었다. 감소 이유로 중국은 애국 소비 영향, 일본은 소비수요 부진, 홍콩은 코로나 봉쇄조치 여파 등이 꼽혔다. 러-우 전쟁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수출액 감소폭이 적어 향후 수출 증가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중국 철수 이후 미국·일본·동남아로 발길을 돌린 중소기업들은 베트남·대만·태국·필리핀 등에서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미국·일본은 신규
일본에서의 K-뷰티 신화를 써내려가고 있는 비지티컴퍼니(BGT Company, 대표 김병수)가 대만 진출을 선언했다. 이를 위해 미디어 이커머스 달팩토리(대표 민병선)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비지티컴퍼니는 국내 150여 개 브랜드사의 일본 진출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설립 3년만에 누적 매출 300억원을 돌파한 바 있다. 현재 일본을 포함 10개국 이상에 수출을 진행 중이다. 달팩토리는 아시아 9개국 방영 TV예능프로그램인 "拜託了! 女神(부탁해요 여신님)" 을 직접 제작하는 미디어 커머스 기업이다. 이를 발판으로 수출, 마케팅, 라이브커머스, 유통, 홈쇼핑, 오프라인 채널 왓슨(watsons) 등 100개 이상의 유통채널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비지티컴퍼니와 달팩토리는 지역 특화된 장점을 살려 일본과 대만 시장에서 상호 협력키로 합의했다. 대만과 일본시장의 트렌드가 비슷하다는 점에 착안 달팩토리 측이 비지티컴퍼니를 직접 방문하여 협약을 체결했다는 후문이다. 비지티컴퍼니 김병수 대표는 ”달팩토리와 MOU를 체결함으로써 K-뷰티의 글로벌화를 확장할 수 있게 돼 기쁜 마음“이라며 “달팩토리의 영업력과 비지티컴퍼니의 영업력
1월 화장품 수출액이 4.68억달러(-17.2%)를 기록하며 작년 6월 이후 8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증감률도 두 자릿수 하락했다. 화장품 수출액이 월 4억달러대를 기록한 건 2020년 1월(4.6억달러) 이후 36개월만이다. 참고로 월간 수출액 평균은 6.6억달러(’22년)였다. 그만큼 수출 체질이 약화됐음을 뜻한다. 산업통상자원부이 집계하는 5대 유망 소비재(농수산식품·화장품·패션의류·생활유아용품·의약품) 중 화장품은 2위(‘21)→4위(’22)로 추락한데서 보듯 K-뷰티의 수출 비중은 약화됐다. 이런 기조가 새해 1월에도 이어지며 ‘K-뷰티의 고전’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통계에 따르면 작년 화장품 수출 10대국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25.8%)+홍콩(-31.6%)의 부진이 전체 수출 감소 주원인이다. 그 배경엔 중국의 소비 둔화가 꼽힌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달 17일 2022년 화장품 소매판매액이 3936억위안(약 71.7조원)으로 -4.5%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새해 들어 위드 코로나 시행과 함께 전반적으로 중국의 소비가 주요 성장동력으로 부각되면서 중국 및 글로벌 경제 회복에
LG생활건강이 4분기 어닝 쇼크로 18년만에 ‘역성장’이라는 성적표를 받았다. 31일 공시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의 뷰티사업은 4분기 매출 8701억원(-23.7%) 영업이익 792억원(-57.7%)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코로나 봉쇄로 면세점 등 주요 채널에서 매출 감소 영향을 받았다. 온라인채널의 경우 광군제 행사에서 틱톡, 콰이쇼우 각 뷰티 매출 1위를 달성했으나 전체 실적을 끌어올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국내에서는 ‘오휘’는 ‘더 퍼스트 메종’ VR 전시회를, ‘빌리프’는 유니버스를 접목한 오프라인 팝업 행사를 진행하는 등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며, 소비자와 온·오프라인 소통에 나섰다. 이로써 뷰티사업 연간 매출은 3조 2118억원(-27.7%) 영업이익 3090억원(-64.7%)으로 어닝 쇼크를 맞았다. HDB(홈케어&데일리뷰티)사업은 ‘닥터 그루트’와 ‘피지오겔’의 디지털 미디어 활성화로 브랜드 로열티를 꾸준히 제고시켰다. 2022년 출시한 ‘피지오겔 데일리뮨 디펜스 쿠션’이 연말 홈쇼핑에서 좋은 성과를 냈고, 프리미엄 치약 브랜드 ‘유시몰’은 치아미백제와 화이트닝 치약을 출시해 실내 마스크 해제에 따른 수요 증가에 대응했다. 연간 매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