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화장품 수출이 14개월째 증가하며 호조세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7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액은 8.3억달러(+29.7%)로 나타났다. 이로써 7월 누적 화장품 수출액은 56.4억달러로 19% 성장했다. 이 추세라면 올해 100억달러 수출 달성이 기대된다. 올해 상반기 화장품 수출은 상위 20국 중 ➊ 총 수출액 중 중소 인디브랜드가 69% 차지 ➋ 수출 증가율 미국(+60%) vs 중국(-16%) 차이에 따른 하반기 점유율 미국 〉 중국 역전 가능성 ➌ 아세안 6개국(13.4%) 〉 일본(10%) ➍ 상위 20국 중 중·러 제외 18개국 증가율이 50% 이상 등이다. 중소기업의 시장개척 노력은 수출 다변화 및 수출 금액 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총수출 가운데 중소기업의 비중은 2분기 69%로 증가했다. [(’23.1Q) 62.9 → (24.1Q) 67.4 (4.5%p↑)] 특히 미국 6.4억달러(+61.5%) 〉 중국 5.6억달러(-3.7%)로 추월했다. 품목별로 ‘기초화장용 제품류’(35.9억 달러, +16.1%)는 전체 화장품 수출의 약 74.7% 차지했다. 수출은 중국(9.1억 달러, -18.8%)과 러시아(1.5억 달러, -
'비지에스코스메틱'(대표 서민호)이 중국판 다이소 '요요소'(YOYOSO)와 한국 에이전트 계약을 맺고, 한국 화장품을 독점 공급한다고 밝혔다. '요요소'(YOYOSO)는 중국의 대형 잡화브랜드로, 현재 아시아, 유럽, 중동, 동남아 등 전세계 80여 개국 380여 도시에 3천개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우수한 한국 뷰티제품을 발굴하기 위해 최근 경기도화장품협회와 양국 간 화장품 산업 협력강화 및 교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비지에스코스메틱은 이번 계약을 통해 중국 유통 및 마케팅 인프라를 활용하고 국내 화장품의 중국 시장에 론칭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민호 대표는 "강력한 중국 유통채널을 갖춘 '요요소'에 한국 화장품을 독점공급하게 된 것은 한국 화장품의 우수성을 알리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브랜드 가치를 높여 한국 화장품들이 중국 뷰티시장을 석권할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BGS코스메틱은 친환경 '기능성 마스크팩 제조기', '뿌리는 마스크팩'으로 화장품 업계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첨단 뷰티테크기업으로, 60억을 투자해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원
프라다 뷰티는 8월 초 신세계 강남 센트럴시티(1층 오픈스테이지)에 팝업 스토어를 오픈하며 한국 시장에 첫 선을 보일 예정이다. 1913년 브랜드 설립 이후 오랜 시간 사랑받아 온 프라다는 시대를 아우르는 세련된 감각과, 풍부한 지적 호기심, 예상을 뛰어넘는 독창성을 바탕으로 기존의 관습에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왔다. 프라다 뷰티는 컬러(COLOR), 향수(FRAGRANCE), 스킨케어(SKIN) 라인을 선보인다. 스킨케어 라인에 파운데이션 및 페이스 메이크업 카테고리를 포함하면서 페이스 메이크업을 제안한다고 소개했다.
올해 상반기 기능성화장품 심사에서 ‘자외선차단제’가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572건 중 자외선차단제(단일)는 169건으로 29.5%를 차지했다. 이어 △ 염모제(탈염·탈색 포함) 143건 △ 삼중기능성(미백·주름·자외선차단) 93건 △ 탈모증상 완화 32건 순이었다. 다기능성 화장품이 트렌드가 되면서 자외선차단제는 ‘기본’ 기능이 됐다. 심사건수 중 ① 자외선차단제(단일) 169건 ② 이중기능성(미백+자외선) 12건 ③ 이중(주름개선+자외선) 16건 ④ 삼중(미백+주름개선+자외선) 93건 ⑤ 사중(미백+주름개선+자외선+피부장벽) 7건을 합치면 297건이 자외선차단제 기능을 포함한다. 전체 기능성화장품 중 52%다. 이는 ‘자외선차단만 강조’하는 시대가 지났음을 말해준다. 자외선차단 외에 메이크업 기능, 피부 보호 및 사용감을 향상시킨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기존 로션 대신에 메이크업 위에 수시로 덧바를 수 있는 제품이 다양하게 개발 중이다. 트윈케이크 파우더, 스프레이, 스틱 형태 등 자외선차단 기능을 넘어선 새로운 형태의 차별성을 부각시킨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염모제(탈염‧ 탈색 포함)는 ’23년 총 52건에서 올해 상반기 기준 143건으로
화장품을 광고하면서 ‘피부 나이 n살 어려짐’ 등 문구 사용사례에 대해 식약처가 모니터링 및 위반업체에 대한 행정조치를 예고했다. 29일 식약처는 대한화장품협회에 공문을 보내고 ‘피부 나이’ 관련 광고 표현에 대한 시정 및 계도기간 안내를 공지했다. 이에 따라 식약처는 ‘피부나이지수’ → ‘피부노화지수’로 변경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검토를 전제하고 향후 단속할 것임을 명시했다. 현재 진행 중인 광고는 시정조치하고 시정 및 계도기간(▲ 광고: 3개월, ‘24년 10월까지 ▲ 표시: 1년, ’25년 7월까지)을 부여한다고 밝혔다. 차후 모니터링 및 위반업체에 대해선 행정조치를 내릴 예정이다. 이에 앞서 ‘화장품 표시·광고 관리지침’을 개정해 ① ‘피부나이’ 금지 표현 추가 ② ‘피부노화지수’ 실증 대상, 방법을 명시할 예정이다. 피부노화지수를 사용하려면 인체적용시험 정보(기관, 대상자 성별, 연령 등), 평가지표 및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현재 광고 중인 ‘피부나이’ 관련 표현으로는 ▲ 탄력나이 ~3.9세 ▲ 피부나이 잠금 ▲ 피부나이 되돌리는~ ▲ 거꾸로 먹는 피부나이 ▲ ○주만에 피부나이 -○살 ▲ 피부나이 어려지기 ▲ 모이스처라이저 나이 ▲ 피부나이
뷰티 해외 전시 전문기업 코이코(대표 김성수)는 7월 25일~28일 대만 타이베이 남항전람관에서 개최되는 ‘2024 바이오 아시아 대만 박람회’에 한국관을 조성하여 국내 기업 14개사(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6개사 포함)와 함께 참가했다고 밝혔다. 1999년부터 시작된 이번 행사는 미국 바이오협회(Biotechnology Innovation Organization, BIO)와 대만 바이오산업기구(Taiwan BIO)가 공동으로 주최한다. 대만의 바이오 산업 및 의료 산업뿐만 아니라 헬스에 뷰티를 접목시킨 제품들이 선보였다. 전시장은 바이오 섹션(4층)과 뷰티 섹션(1층)으로 구분, 진행된다. 바이오 섹션에는 의약, 의료설비, 생물공학관을, 뷰티 섹션은 의학미용, 미용기기, 화장품 완제품, 원료, ODM/OEM/OBM, 패키징, 인증, 보건자재, 보건 식품관 등으로 구성됐다. 주최 측에 따르면 총 19개국 900여 개사가 참가, 2,200개 부스에서 전시가 진행된다. 전시회 개최는 7월 25일 예정이었지만 예상치 못한 태풍 개미의 대만 북상으로 전시회 전날 타이베이 시정부(시청)의 임시 공휴일 선포에 따라 전시일정이 7월 26일~29일로 변경됐다. 이로 인해 전시
화장품 수출은 중소기업이 주도한다. ‘24년 상반기 수출의 69%를 중소기업이 해냈다. 이는 상대적으로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의미한다. 24일 ‘K-뷰티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방안’이 발표됐다. ‘중소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도와준다는 건 고맙다. 정작 기업들은 당국자의 편협한 시각을 곱지 않게 보고 있다. 7월 4째주는 해외에선 ‘북미 코스모프로프 라스베가스’, ‘코스모뷰티 베트남’ 등이, 국내에선 인코스메틱 코리아, 인터참코리아 등 전시회가 잇달아 개최되면서 업계가 분주한 시기였다. 이럴 때 느닷없이 식약처-중기부가 ‘K-뷰티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해 업계 관계자들을 어리둥절케 했다. 먼저,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엔 ▲ 거대 유통·플랫폼 올리브영, 아마존 ▲ 제조 독과점 코스맥스·콜마의 사업방침을 그대로 말만 바꾼 추진 방안이 나와 논란이다. 즉 ▲ ‘K-뷰티 크리에이터 챌린지(아마존, 코스맥스, 콜마 협업) ▲ K-슈퍼루키 위드 영(올리브영 협업) ▲ K-뷰티 스타트업 육성(올리브영, 아마존, 코스맥스, 콜마 협업) ▲ K-뷰티 펀드(콜마, 코스맥스)를 내세우면서 온통 대기업 기업명 일색
‘2024 코스모뷰티 베트남’(VIETBEAUTY & COSMOBEAUTE VIETNAM 2024) 미용전시회가 7월 25일~27일까지 호치민의 SECC 전시장(Saigon Exhibition&Convention Centre)에서 개막했다. 코이코(KOECO)는 전남대학교병원과 조선대학교를 비롯, 약 80개 뷰티 브랜드가 참가한 공동한국관을 구성, 베트남 로컬 바이어와의 미팅을 주선했다고 밝혔다. 전시회에는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중국, 일본, 미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스페인, UAE 등 35개국의 화장품 업계 관계자가 방문해, 현지 수요를 파악하는 등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한국 기업 가운데 ‘이지듀(EASYDEW)’로 참가한 대웅제약은 전시 주최사 INFORMA MARKETS와 협력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바이어 대상 제품 배포 및 한국 더마코스메틱 기술력을 선보였다. 또한 ▲ 스킨케어 브랜드(야다, 밸런스 몬스터, 아시아마스터트레이드 등) ▲ 코스메틱 브랜드(라비오뜨, HNG, STB 인터내셔널 등) ▲ 에스테틱 및 기능성 화장품(대웅제약, 넥서스파마, 일론 등) ▲ 헤어/네일(웰본, 클레, 브이벨 등) ▲ 패키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