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al ➌ 2025년 글로벌 화장품 키워드 DEI 2025년 전 세계 화장품시장이 가장 주목하는 키워드가 DEI다. DEI란 '다양성·형평성·포용성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의 첫 글자다. DEI를 조직 구성원 관리(HR) 이슈만이 아닌 비즈니스와 연결된 테마로 봐야 한다. △ HR 관점 △ 리스크(제품/기술) △ 비즈니스 기회 △ ESG 등 다방면에서 접근하면 미래의 먹거리를 발견할 수 있다. 특히 K-화장품의 한 단계 도약을 위해선 DEI가 무궁한 혁신 아이템을 끌어내는 단초가 될 수 있다. 2024 티르티르 티르티르(TIRTIR)는 지난 7월 ‘마스크 핏 레드 쿠션’ 30개 쉐이드를 국내외 시장에서 론칭하며 업계 화제의 중심에 섰다. 이 제품은 ‘23년 일본 앳코스메에서 쿠션 카테고리 1위를 시작으로 미주 아마존 전체 뷰티 카테고리 1위, 파운데이션 카테고리 1위 등 어워드만 34관왕에 오르며 6월 기준 763만개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자칫 여기서 끝날 수 있었지만 또 다른 반전이 3천만개 판매로 이어졌다. 328만명 구독자의 ‘미스달시’ 운영 흑인 뷰티 크리에이터의 “한국의 쿠션은 가장 어두운 색상조차 흑인 소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IBITA, 회장 윤주택)는 19일 협회 회의실에서 언론사 7곳과 함께 ‘제1회 K-뷰티 언론사 초청 송년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현 시국에 대한 화장품·뷰티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 제시’를 주제로 중소기업 위기 대처 대안 및 한국 뷰티산업의 미래를 모색했다. 참석자들은 먼저 현 상황에 대해 ‘K-뷰티 이미지 하락’을 우려했다. 윤주택 회장은 “정치 리스크로 인해 수천 해외 네트워크에서 위로와 걱정의 전화가 많았다. 그간 업계가 쌓아온 선진 K-뷰티 이미지 훼손이 염려된다”라고 전했다. 실제 성수동 등에서 외국인 발길이 줄고 고환율로 인한 경영 어려움, 해외 판매 위축 등의 부작용이 거론됐다. 윤 회장은 “현재 화장품산업은 내수 부진과 환율 상승이 기업들에 부담을 주고 있다. 중소기업의 폐업 속출 및 많은 브랜드·제조사의 재정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정부와 금융 당국이 장기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K-뷰티 기업이 경영난에 빠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화장품 산업 내 △ 고질적 전문 인력난 △ 브랜드 전문 마케팅력 부족 △ 해외 네트워크망 구축 미비 △ ESG 환경 적응을 위한 투자 부족 △ 중소기업의 기업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이 2024년 국내 중소 화장품기업의 수출 지원을 통해 수출 계약 46억원, 현장 업무협약(MOU) 17억원의 성과를 올렸다고 밝혔다. 연구원의 중소 화장품기업 수출지원 사업은 ➊ 오프라인 ➋ 온라인 ➌ 뷰티플레이(명동, 홍대) 등의 세 갈래로 추진된다. 연구원은 온·오프라인 수출상담회 및 인플루언서 초청행사 등 총 43회를 운영했으며 계약 추진액은 256.5억원이라고 덧붙였다. 먼저 오프라인 상담회는 바이어와 기업의 1대1 수출 상담으로 진행된다. △ 해외 바이어 국내 초청 상담회 2회 △ 베트남 현지 바이어 상담회 1회 등 총 3회 열렸다. 해외 바이어 국내 초청 상담회(7월, 12월)는 국내 화장품 기업 28개사와 일본, 미국, 베트남, 인도 등 9개국의 바이어 44개사가 참여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상담회를 통해 계약 추진액 93억 원(648만 달러), 현장 업무협약(MOU) 13억 원(90만 달러)을 기록하였으며, 후속 지원을 통해 수출 계약 38억 원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베트남 현지 바이어 상담회는 국내 화장품 기업 10개사와 베트남 현지 바이어 22개사가 참여했다. 계약 추진액 39억 원(272만 달러), 현장 업무협약(M
2025년은 화장품산업 출범 80주년이자 ‘Scale Up' K-인디브랜드 시대의 첫 해다. 새로운 생태계의 진화(evolution)를 위해 화장품의 본질을 궁리하고 기본에 충실한 원년(元年)이 되어야 한다. 시그널은 유용한 비즈니스 정보지만 소음은 경쟁하는 소리일 뿐. 씨앤씨뉴스(CNC News)가 정리한 시그널은 ➊ 수출 100억달러+인디브랜드 ➋ 트럼프2.0 ➌ DEI ➍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 도입 ➎ 표시·광고 ➏ OTC 자외선차단제, 모조품 ➐ ESG ➑ 레트로 ➒ 구조적 불황 ➓ 화장품법 개정 등이다. 이 시그널은 ’25년에 확대된 형태로 구현될 가능성이 크다. [편집자 주] Signal ➋ 트럼프2.0... 미국의 화장품 보편 관세 대응은? 2024 트럼프2.0의 경제정책은 ① 보편관세 도입 ② ‘트럼프 상호무역법(Trump Reciprocal Trade Act)’ 제정 추진이다. 트럼프는 “제일 사랑하는 단어가 관세(tariff)"라고 말할 정도이며, 공화당 정강에도 기준관세(baseline tariff) 인상을 지지하고 있다. 공화당이 상·하원 다수당 지위를 확보한 것도 강력한 배경이 된다. 트럼프 상호무역법은 미국이 부과하는 것보다 높은
2025년은 화장품산업 출범 80주년이자 ‘Scale Up' K-인디브랜드 시대의 첫 해다. 새로운 생태계의 진화(evolution)를 위해 화장품의 본질을 궁리하고 기본에 충실한 원년(元年)이 되어야 한다. 씨앤씨뉴스(CNC News)가 정리한 시그널은 ➊ 수출 100억달러+인디브랜드 ➋ 트럼프2.0 ➌ DEI ➍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 도입 ➎ 표시·광고 ➏ OTC 자외선차단제, 모조품 ➐ ESG ➑ 레트로 ➒ 구조적 불황 ➓ 화장품법 개정 등이다. 이 시그널은 ’25년에 확대된 형태로 구현될 가능성이 크다. [편집자 주] Signal ➊ 수출 100억달러+인디브랜드 2024년 올해 첫 머리를 장식한 뉴스는 ‘화장품, 2년만의 중소기업 수출품목 1위 복귀’다. 화장품 중소기업의 수출액은 50억달러(‘20) → 49.2억달러 ('21) → 45.5억달러(‘22) → 54억달러(’23) 추이를 보였다. 중국에서 역성장하며 입지가 좁아진 어려움을 미국·일본·아세안·신흥시장 개척으로 메우면서 수출다변화에 성공했다. 이는 ‘24년 내내 중소 인디브랜드의 수출실적 약진으로 확인되며 K-인디브랜드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빅2가 수십 년 간 도전조차 힘겨워하던 시장인
중국인들의 변화된 소비현상을 분석한 보고서가 나왔다. 코트라는 ‘사례로 이해하는 중국 소비 트렌드’를 발간하고 성공, 실패 사례 분석을 통해 새로운 진출 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현재 중국 소비 시장은 완만한 성장 속에 저출산, 고령화, 디지털 확산 등의 사회적 변화와 기술 혁신이 주도하는 새로운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중국 소비 시장을 구성하는 4대 요소는 ① 소비자 ② 기술 ③ 품목 ④ 유통방식 등이다. 첫째 가치 변화다. 이성(理性), 자아실현, 성별 수요를 어떻게 구현하는지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그 예로 ‘나만의 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는 감각적 제품으로 중국 Z세대의 감성을 사로잡은 사례, 이에 반해 공급망과 판매망 관리 실패로 고객과의 지속 소통과 품질 유지에 실패한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인구구조, 애국주의로 인해 탄생한 소비 흐름이 어떤 수요를 불러왔는지도 주목한다. 품질이 보장되지 않으면 애국 소비도 소용없는 사례와 중국의 Z세대 부모들이 원하는 유아용품은 어떤 조건을 갖춰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도 접할 수 있다. 기자가 만난 중국 관계자들은 “K-뷰티가 중국에서 부진한 이유는 품질이 중국산에 비해 떨어지고, 마케팅 비용을 적게 쓰기
아모레퍼시픽 주요 브랜드가 '아마존 블랙프라이데이 & 사이버먼데이(BFCM)'에서 미국 진출 이래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라네즈 127%, 설화수 308%, 이니스프리 70% 등 호성적을 거뒀다. 라네즈는 대표 제품인 '립 글로이 밤', '립 슬리핑 마스크' 2개 제품이 립 밤(Lip Balm) 카테고리에서 나란히 1·2위를 차지했으며, 뷰티 전체 카테고리인 뷰티 앤 퍼스널 케어(Beauty&Personal care) 부문에서도 각각 2위와 4위에 이름을 올렸다. 아모레퍼시픽은 BFCM 행사 기간 내 효과적인 제품 노출을 위해 AI 기반의 검색 키워드 최적화로 고객 접점을 늘렸으며, 미국 현지 인플루언서와의 협업 등 소셜 미디어 홍보 활동을 강화했다고 한다. 특히 미주 지역에 공식 진출을 하지 않은 브랜드들도 성과를 거두었다는 점이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미쟝센은 대표 제품인 '오리지널 헤어 세럼'은 헤어 스타일링 오일(Hair Styling Oil) 부문 1위를 차지했으며 전체 매출이 1,092% 증가했다. 에스트라 199%, 아이오페 434%, 일리윤 293% 등도 선전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글로벌 선도 브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IBITA, 회장 윤주택)는 2025년 주목할 시장으로 사우디아라비아를 꼽았다. IBITA는 “오늘날 사우디아라비아는 ‘관용이 없는 사회’에서 '관대한 이슬람'을 장려하고 있다. 모하메드 빈 살만(MbS)의 사우디는 전통적 부족국가에서 사회 계약을 다시 쓰는 중이다. 2025년 빈 살만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있는 중”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025년 4월 21~23일(3일간) 리야드 RICE에서 개최되는 ‘뷰티월드 사우디아라비아’ (Beautyworld Saudi Arabia)가 화장품시장의 변화를 극적으로 보여줄 것으로 전망된다. 화장품을 둘러싼 환경이 우호적인 분위기인데다 한류로 인지도가 높고 우수한 품질의 K-뷰티 돌풍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실제 코트라에 따르면 “한류 콘텐츠 확산과 한-GCCFTA 최종 타결(23년 12월 28일)에 따른 화장품의 관세 철폐로 대 사우디아라비아 화장품 수출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코트라는 화장품(HS 3304, 관세율 5%)을 유망 품목으로 선정하며 “K-드라마, K-POP 영향으로 한류 콘텐츠에 대한 노출이 확대되면서 K-뷰티에 대한 관심 또한 늘어나고 있어 우리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