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화장품 업계 현안은 ➊ 안전성 규제 및 ➋ ESG에 대한 범 산업적 대응이다. 이는 대한화장품협회의 ‘24년 사업계획의 주요 목표로도 설정돼 있다. 화장품 안전성 평가는 △ 중국의 ‘21~24년 화장품 원료 안전성 평가 자료 제출 의무화에 따라 5월 1일부터 시행, △ 미국의 MoCRA 시행 관련 ’23년 화장품 원료 안전성 입증 의무 부여 등 국제적 규제강화로 당장의 현안이 됐다. 이에 따라 3월 5일 식약처, 보건복지부, 대한화장품협회,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독성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2024년 제1차 화장품 안전성평가 지원 협의체’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서는 국내 화장품 기업의 안전성 평가 역량 강화와 수출지원 방안이 논의됐다고 한다. 기관별 그간 추진사항과 ‘24년도 추진 계획을 공유하고, 기관 간 협조 사항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확인된다. 식약처는 올해 ▲ 국내외 안전성평가 조화를 위한 국제 포럼 개최 ▲ 한·중 규제기관 간 기술교류 협력 강화 ▲ 안전성평가 정보집 마련 ▲ 주요 수출국의 화장품 규제 관련 교육 등을 추진할 계획을 밝혔다. 보건복지부 산하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은 ▲ 성분별 독성정보 수집 및 제공 확대 ▲ 안전성평
인도네시아가 수입규제 강화를 위해 만든 무역부 규정 제 36호에 따른 화장품 규제가 3월 10일부터 시행된다. 이에 따라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전통 의약품은 수입 제한 대상이며, 모든 사업자는 해당 품목을 수입하려면 반드시 PI(사전수입승인)를 제출해야 한다고 코트라 자카르타무역관은 밝혔다. 화장품의 HS코드 37개, 건강보조식품 및 전통의약품의 HS코드 5개는 PI 요건이 적용되며 API-U(일반 수입업체) 라이선스 보유자만 수입할 수 있다. 수입품 증가에 따라 현지 기업 단체들이 시장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고 주장함에 따라 인도네시아 정부는 수입품 유입을 억제하고 국내 생산품의 판매를 촉진하는 조치를 강구한 데 따른 것이다. 가장 먼저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자상거래를 통한 무분별한 수입품 유입을 제한하기로 했다. 2023년 무역부 규정 제31호(2023년 9월 26일부 시행)를 통해 인도네시아에서 소셜 커머스 플랫폼은 전자상거래 유형의 판매 및 결제를 하지 못하게 됐다. 또한, 이 규정은 이커머스에 입점한 해외 업체들이 인도네시아로 상품을 판매할 때 최소 100달러 이상의 제품만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며, 인도네시아 관련 인증 및 허가 요건(할랄, 국가표준
2월 화장품 수출은 7.2억달러(+11.3%)로 9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조업일수가 짧았음에도 7억달러를 돌파하며 2월 기준 최고액을 기록했다. 국가별 수출액은 나오지 않았지만 지난달 추이를 보면 몇 가지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지난 1월 기록적인 71% 증가는 춘절을 앞둔 선물세트 판매 때문이다. 이로 인해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 98% 미국 85% 홍콩 64% 일본 34% 아시아 7개국 71% 등 전반적으로 큰 폭 상승했다. 대부분 국가에서 수출 강세가 이어지고 있고, 전년도의 재고 소진과 기저효과, 중국·미국·일본 등에서의 기초제품 호조가 증가 요인이다. 특히 인도네시아의 1월 수출액이 1762만달러로 전년 대비 380%나 급증한 게 눈에 띈다. 이는 인도네시아가 3월 10일부터 시행되는 '화장품 사전수입승인제도'에 따라 물량을 조기 출시한 것으로 관측된다. 무협 K-stat에 따르면 ‘24년 1월 HS 3304(기초+메이크업) 기준 증가율이 77%였다. 국가별로 △ 중국 99% △ 미국 85% △ 일본 34% △ 베트남 89% △ 홍콩 64% △ 러시아 12% △ 대만 72% △ 인도네시아 304% △ 태국 29% △ 싱가포르 73% 등으로 모두 큰
중소벤처기업부는 ‘2024년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사업’ 1차 참여기업을 모집한다. 1천개 사 내외에게 모두 153어억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지원대상은 전년도 직접수출액 5천만불 미만의 중소기업이다. (글로벌 강소기업 1000+ 지정기업은 가능)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사업’은 중소기업에 수출대상국이 요구하는 인증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인증비, 시험비, 상담(컨설팅)비 등 소요비용 일부(50~70%)에 대해 기업당 최대 1억원을 지원한다. 크게 ▲ 신속 처리제(패스트트랙) ▲ 일반분야(트랙)로 구분되어 운영, 모집한다. 신속 처리제(패스트트랙)는 2023년부터 간이심사 및 상시접수를 통해 기업의 빠른 인증 획득을 지원하고자 신설된 것으로, 높은 수요로 예산이 조기마감 됐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부터 신속 처리제(패스트트랙) 대상 인증 및 지원 예산을 확대한다. 대상 인증은 7종으로 ① 유럽씨이(CE)(전기전자, 통신 및 기계분야) ② 미국에프씨씨(FCC)(전기전자) ③ 국제아이이씨이이(IECEE)(전기전자) ④ 일본피에스이(PSE)(전기전자) ⑤ 유럽씨피엔피(CPNP)(화장품) 외에 올해 ⑥ 국제할랄(HALAL)(식품, 화장품 등) ⑦ 미국식품의약국(FDA)(의료기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중동 수출의 날 행사가 리야드(27일)와 두바이(29일)에서 개최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사우디아라비아 투자부와 맺은 ‘프레임워크 협력 프로그램’ 및 작년 1월 윤석열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 시 양국이 맺은 경제협력 업무협약(MOU)의 후속 조치라는 설명이다. 현지에서 열린 ‘K-Business Day in Middle East 2024’ 수출 간담회에는 한류 열풍으로 수요가 높은 미용(뷰티), 식품, 소비재 분야 유망 중소기업 20개사가 참가했다. 이들 기업은 중동 바이어 140개사(리야드 79개사, 두바이 61개사)와 1:1 상담회를 진행한다. 이 행사는 한국뷰티산업무역협회(KOBITA, 회장 김성수)와 중앙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주관했다. 김성수 회장은 “화장품, 미용 기업 13개사, 식품 2개사, 생활용품 5개사를 사전상담을 통해 선정했다. 상담장 임차 및 제품 쇼케이스, 현지 통역, 물품 운송, 현장 및 사후 계약 체결 지원 등을 지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참가 기업 중 화장품 소재 기업인 ㈜셀바이셀은 쿠웨이트의 유통기업과 장기 판매계약을 협상중이다. 욕실용품 제조기업인 ㈜이온폴리스도 UAE 유통사와 MOU 체결을 준비해,
2024년 해외 화장품 홍보 팝업부스 및 해외 화장품 판매장을 운영할 수행기관을 모집한다. 신청기한은 3월 14일까지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수출국 다변화를 위한 단계별 수출 지원사업으로 ▲ 신흥시장 및 유망시장 발굴 단계의 ‘팝업부스‘ 지원사업 ▲ 수출 성장성이 확인된 전략국 대상 수출 본격화 지원단계의 ‘판매장‘ 지원사업을 매년 진행하고 있다. ‘팝업부스‘ 지원사업은 신흥국 대상 화장품 기업의 현지 시장성 확인을 위한 해외 홍보부스 설치 및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한다. ‘판매장‘ 지원사업은 화장품 기업의 현지 제품 인허가, 물류·통관, 전시·판매 등 현지 수출지원 거점 역할을 위한 해외 화장품 판매장 개관·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운영기업(화장품 전문 유통기업)과 참여기업(중소·중견 화장품 기업)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다. 팝업부스는 최소 7개 사 이상, 판매장은 최소 15개 사 이상 화장품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지원할 수 있다. 대상국가로는 ‘팝업부스‘의 경우 4개국 주요 도시, ‘판매장‘은 미국, 일본 등 주요 전략국을 대상으로 한다. 팝업부스 대상국가는 △ 유럽 8개국 △ 아시아 4개국 △ 중남미 2개국 △ 아프리카 1개국
우리나라 전자상거래 수출을 화장품 등 소비재가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상거래 전체 수출액 중 화장품은 35%를 차지했다. 또 화장품 수출이 증가하며 전체 수출을 견인했다. 가공단계별로 소비재가 8.4억달러(+10.8%)로 전체 수출 중 84%를 차지했다. 먼저 ’23년 우리나라 전자상거래 수출(역직구)은 9.9억달러(+8.9%)로 역대 연간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수출신고서 상 ’전자상거래‘로 신고된 수출 건 집계. FOB 200만원 이하 미신고 통관은 제외) 수출건수는 457만건(-28.5%)이었다. 화장품은 미국, 중앙아시아(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등으로 수출이 확대되며 ‘23년 3.5억달러(+25.1%) 실적을 올렸다. 국가별로 일본을 제치고 미국이 1위로 올라섰으며 키르기스스탄이 3위, 중국 4위 러시아가 5위였다. 수출국 별 비중을 보면 △ 미국 42% 일본 24% 키르기스스탄 6% 중국 5% 러시아 2% 순이었다. 대 미국 화장품의 전자상거래 수출은 1.5억달러로 전년 대비 118% 상승했다. ‘10년 이후 지속성장하고 있으며, 화장품 수출 1위 국가로 주력시장으로 떠올랐다. 이는 전자상거래 화장품 수출 가운데 37%를 차지한다. 일본
‘디어달리아(DEAR DAHLIA)’가 지난 1월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린 ‘2024 코스모프로프 북미 마이애미’에서 혁신 제품 20개에 ‘립 파라다이스 쉬어 듀 립스틱’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투명한 컬러와 쉬어한 사용감을 선사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 현재 디어달리아는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폴란드, 중동 등 32개국에 293개 해외 리테일 매장에 진출했다. 유럽 최대 규모 편집샵인 더글라스(DOUGLAS) 입점 이후 꾸준한 매출로 스토어 확장 제안도 받았다고 한다. 올해 상반기 네덜란드 4개, 이탈리아 21개 신규 매장 오픈을 시작으로 루마니아, 헝가리, 체코 등 동유럽 주요 국가에도 입점이 계획되어 있다. 이미 폴란드에 100여 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동남아 뷰티 시장에서는 세포라의 House of Sephora 이벤트 참가 및 인도의 뷰티 전문 유통체인 나이카(Nykaa)에도 입점 완료하였다. 해외사업본부 관계자는 “디어달리아가 쌓아온 럭셔리 브랜드 이미지와 제품력이 해외 소비자와 세계적인 뷰티 박람회에서의 인정이 꾸준한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라며, “다가오는 이태리 패션위크에 K-Beauty 브랜드 최초 3년 연속 메인 스폰서로 참여하여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