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허가 컨설팅 기관인 리이치24시코리아㈜(대표 손성민)는 ㈜경영전람(대표 김영수)과 공동으로 오는 2024 CI KOREA의 전시 첫 날인 4월 23일(화), 킨텍스 제2전시장 Hall 7, D 세미나장에서 ‘2024 화장품 수출다변화 규제 동향 세미나’를 무료로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REACH24H Consulting Group의 각국 법인을 통한 글로벌 화장품 시장과 규제에 대한 깊은 이해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➊ 2023년 화장품 시장의 규제 전반과 ➋ 2024년 주요국 규제 변화 및 전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프로그램은 손성민 대표의 “2024년 주요국 규제 변화” 주제를 시작으로 중국, 유라시아, 일본, 미국, 아세안 지역을 순차적으로 발표한다. 화장품 수출과 관련된 지자체 및 정부 지원 사업 소개와 활용 방안도 안내할 예정이다. (신청 링크 https://www.cikorea.org/kor/seminar/seminar.asp )
중동(사우디아라비아/UAE)+아프리카(카메룬/탄자니아/이집트/쿠웨이트)+인도네시아 등 신흥시장 진출 웨비나가 오는 4월 19일 오후2시~4시30분 열린다. 대한화장품협회가 주최하며 온라인 플랫폼(웨비나)를 통한 실시간 영상 송출 방식으로 시청할 수 있다. 강의는 150년 전 설립, 시험·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TUV 라인란드 코리아가 맡았다. 이 회사는 사우디아라비아 GSO 1943 규정에 따른 제품시험 협업 및 SFDA의 FASEH 시스템을 통한 CoC 발급, 사우디아라비아로의 화장품 수출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참가신청은 4월 17일까지 받는다.(신청링크 https://forms.gle/EVG887WVSqTBK47t8 )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은 4월 4일 충북 화장품임상지원연구센터(오송 소재) 1층 세미나실에서 ‘화장품 안전성 평가 실무 교육’을 개최한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우리나라 화장품의 안전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치로 2028년까지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 도입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른 글로벌 화장품 안전관리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안전성 평가 제도 도입 및 대응, 연구원이 구축한 화장품 성분 안전성 검토 시스템 활용법 등이 소개될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 국내 안전성 평가제도 도입 및 국가별 규제현황 △ 차세대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전략 소개 △ 화장품의 노출 및 위해평가 △ 화장품 성분 안전성 검토 시스템 활용법 △ 중국 화장품 안전성 평가보고서(전체버전) 등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그동안 해외 수출을 위해 고려해야 했던 화장품의 안전성 평가가 곧 국내에도 도입될 예정이므로, 이번 교육을 통해 많은 기업이 화장품 안전성 평가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선착순 60명을 모집하며, 희망자는 4월 1일 월요일 오후 4시까지 신청하면 된다.(교육신청: 올코스 화장품산업정보포털(https://
대한화장품협회는 오는 3월 20일 오후 3시에 ‘화장품 항공/해상 수출입절차에 대한 웨비나’를 개최한다. 해외 진출에 관심이 높은 기업을 대상으로 ▲ 아세안의 화장품시장 현황 ▲ 브랜딩 커뮤니케이션 ▲ 채널전략 등을 소개하고 실시간 질의응답을 진행할 예정이다. 웨비나 강사로는 국보해운의 김병수 계장가 국보물류의 이동준 차장이 맡았다. 주요 내용은 △ 항공/해상 수출입절차 설명 △ 사전에 제출된 질문사항에 대한 답변 △ 실시간 Q&A 순서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동순 차장은 중앙대를 졸업하고 항공사(이집트항공, 이란항공) 화물부 경력 12년, 항공 콘솔사 경력 2년의 물류 전문가다. (사전등록링크 : https://forms.gle/bAkwG3ZWeHtTaFMB9 )
대한화장품협회(회장 서경배)는 중소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아세안 시장 진출 전략 방안’ 웨비나를 4월 9일 오후 2시에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 틱톡 글로벌 파트너인 링고 글로벌 김은오 팀장이 강의를 맡았다. 링고글로벌은 TikTok Shop, Shopee, Lazada, HKTVmall, Kuaishou 등에서 이커머스 플랫폼 통합 운영 및 콘텐츠 마케팅을 대행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 아세안 시장 현황 △ 브랜딩 커뮤니케이션 △ 채널 전략 등이다. 링고글로벌은 ‘One-stop Global Management’플랫폼 및 재고 통합 운영으로 손쉽고 효율적인 이커머스 진출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사전등록링크 : https://forms.gle/9edJoWxEUwRMXbKG6 )
한국과 베트남의 유력 대학 간 한-베 뷰티산업 발전을 위한 MOU를 체결해 화제다. 지난달 20일 호치민을 방문한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산업학과와 베트남국립대학교 열대생물학연구소는 상호 관심사에 대한 신기술과 정보 교환 및 산·학 공동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베트남국립대학 내 부설연구소인 열대생물학연구소((Viet Nam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는 생명과학, 생태학, 환경학 등 다양한 분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의 동·식물 채집과 시료처리 등 연구를 수행하면서 세포배양 관련 기술에 관심이 높다. 양 기관은 ▲ 산·학·연 요구에 맞는 인재 추천 ▲ 교환학생 및 연구소 인턴십 프로그램 기회 제공 ▲ 대학과 연구소 간 산학협동 구축 ▲ 현장 실습, 견학 및 양국 취업 도모 ▲ 열대생물연구소(Institute of Tropical Biology) 연구 업무 내용 체험 ▲ 산학 발전 기여되는 지원제도 및 홍보 협조 등 6개항에 합의했다. 협약에는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김주덕 원장과 베트남국립대 열대생물학연구소 호앙 기아 손(Hoang Nghia Son) 소장이 서명했다. 더불어 뷰티산업학과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원장 박윤주)은 지난 2월 22일 개최한 ‘첨단 동물대체시험법 표준화 국제심포지엄’을 통해 미국 FDA, NIEHS 및 OECD 등과 협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NIEHS(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는 첨단 동물대체시험 연구 및 인체·환경 보건 등을 담당하는 미국 규제기관이다. 산‧학‧연‧관 등 총 259명이 참석한 이번 국제심포지엄에서는 미국 FDA, NIEHS 및 OECD 전문가가 참석하여 첨단 동물대체시험법의 개발 현황, 가이드라인 진행 상황, 규제적용 방안, 국제 협력의 중요성 등에 대해 발표했다. (발표 자료는 한국동물대체시험법검증센터 홈페이지에 공유) 이번 국제심포지엄 개최를 계기로 심포지엄 하루 전에 열린 사전 회의에서 식약처, NIEHS, OECD는 각 기관에서 개발하고 있는 동물대체시험법 등 정보를 공유하고 시험법 표준화에 필요한 사항을 함께 논의하였으며, 앞으로 계속해서 협력을 이어가기로 하였다. 특히 식약처는 국내 개발 간 오가노이드 이용 독성평가 시험법의 국제인증을 위한 OECD 독성시험 가이드라인 등재
식약처의 ‘2024년 화장품 정책설명회’가 오는 3월 19일 열린다. 장소는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그랜드볼룸A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화장품 업계에서 궁금해하는 ▲ 화장품 분야 ’24년 주요 정책 방향, 법령 개정 사항 및 규제혁신 과제 ▲ 영업자 준수사항 ▲ 화장품 품질 안전 기준 ▲ 화장품 원료관리 ▲ 표시 광고 기준 ▲ 기능성 화장품 심사 제도 등 관련 내용이 전달될 예정이다. 또한, 우리 화장품 기업의 해외 진출과 국제적 안전 규제 강화 흐름에 대응할 수 있도록 ▲ 국제화장품규제조화협의체(ICCR) 활동 및 규제 조화 지원센터 운영 ▲ 미국 화장품 규제 동향과 대응 전략 등도 소개된다. 이밖에 화장품 관련기관‧협회가 화장품 수입절차 등 영업자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시간도 마련했다. 이를 위해 ①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화장품 수입절차 안내, ②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중소 화장품 해외 진출 지원, ③ (화장품산업연구원) 화장품 안전성 평가 교육 등이 별도로 진행된다. 정책설명회에 참석을 원하는 분은 누구나 2월 28일부터 사전등록을 신청할 수 있다. (대한화장품협회) www.kcia.or.kr → ’교육신청‘ → ’세미나, 설명회, 행사‘(선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