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의 최대 매출원인 화장품의 활로는 무엇일까?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따이공에 의한 매출 대부분이 한국 화장품 구매로부터 발생하고 있지만 중국 내 한국 화장품의 인기가 감소하는 것은 매우 큰 위험”이라고 했다. 반면 “중국은 2025년 세계 최대 명품시장이 될 것이며, 향후 명품시장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주요 요인으로 하이난 면세점과 전자상거래 명품시장의 성장 등을 꼽았다”며 베인앤컴퍼니의 보고를 인용했다. 전자가 위기라면 후자는 기회라는 분석이다. 그러면서 “화장품의 온라인 판매 침투율(penetration)이 38%(‘20)→41%(’21)로 증가하며 전자상거래를 통한 시장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 … 관세청이 허용한 온라인 역직구와 같은 온라인 판매 활성화 성격의 규제 개선은 긍정적”이라고 진단했다. 면세점 해외 역직구제도는 이미 한시적으로 시행 중이지만 디지털 전환과 함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가능하도록 R&D를 장려해야 한다는 제언도 강조했다.(KDI ‘면세점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연구’에서 인용) 사실 지난 1분기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그룹의 매출이 –19.2%, –9% 각각 감소하면서 면세 채널에서의 따이공 행태가 화
화장품의 대 중국 수출이 2012년 이후 10년만에 역성장에 빠졌다. 향후 반등을 위해서라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업계의 분발과 정부의 관심이 촉구된다. 올해 상반기 화장품의 중국 수출액은 18.9억달러로 전년 대비 20% 급감했다. 중국 수출이 벽에 부딪힌 이유는 ‘거래절벽’, ‘물류절벽’, ‘궈차오절벽’으로 요약된다. 물론 중국 특수가 한창 뜨거울 때 제조시설과 연구원의 이동이 부메랑이 됐지만 결국은 K-뷰티 수출의 70% 이상을 차지한 중소기업의 몰락이 크다. 중국 특수를 시드머니로 해서 스케일업(scale up)으로 차세대 성장을 도모했어야 했다. 그런데 ‘단물’만 빼먹고 C-뷰티에 추격을 허용하고 유럽·미국·일본 사이에서 포지셔닝에 실패하면서 밀려나고 말았다. 중국 소비재 수입시장은 아세안(15.2%) 미국(10.5%) 독일(10.1%)이 강세다. 한국은 3%대에 그치는데 이중 화장품이 66%를 차지한다. 화장품의 몰락은 한국 소비재 수출 하락을 뜻한다. 즉 소비재 시장에서 한국은 가격과 프리미엄 양쪽에서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무역협회는 “다변화되는 중국 소비재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확대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전하고 있다. (국제무역통상연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소비재 중 가장 잘 팔리는 품목은 기초화장품(HS330499)으로 그 비중은 66.1%에 달한다. 상위 10개 품목 수출액 47억달러 중 기초화장품은 31억달러를 차지한다. 만약 화장품이 무너지면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소비재를 찾아보기 어렵게 된다는 소리다. 그런데 2022년 들어 화장품 수출이 1~4월 누적 -30%를 기록하며 우려를 낳고 있다. 일단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소비재 비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ICT 등 중간재가 많다 보니 상대적으로 소비재 수입은 적었다. 국제무역통상연구원(IIT) 김아린 연구원은 “중국의 소비재 수입은 2017년 대비 56.8%나 증가했지만, 한국산 소비재 수입시장 점유율은 2017년에 비해 소폭 증가했으나 여전히 3%대 수준”이라고 밝혔다.(’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하락과 우리의 대응방안‘에서 인용) 즉 사드 보복이후 소비재 수입시장에서 한국은 정체를 보이고 있으며, 대신 아세안이 큰 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원은 “대 한국 소비재 수입의 66.1%가 화장품 단일 품목(HS330499)에 편중되어 있어 다변화되는 중국 소비재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확대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서울산업진흥원(SBA)과 알리바바닷컴은 B2B 온라인 판로지원을 위한 50개 기업을 모집한다. 이를 위한 사업 설명회가 6월 14일(화) 웨비나로 진행될 예정이다. 신청 기업 중 선정된 기업에게는 SBA 마케팅/운영지원 360만원+알리바바닷컴 220만원 등의 마케팅 지원이 이뤄지게 된다. 참가 희망기업은 아래 URL로 신청하면 된다. https://us06web.zoom.us/webinar/register/2316522762235/WN_IyEbxas6SleAcSG69fKxxA
리이치24시코리아㈜가 서울 강남(강남대로)으로 사무실을 이전하고 고객사 편의를 위한 조직 개편 및 디테일 서비스 확충에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중국 규제 대응 서비스 대응은 K-뷰티 초미의 관심사. 특히 수출의 첫 단추로 인허가 절차에서 정확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마케팅에 차질을 빚지 않게 된다. 리이치24시코리아㈜ 손성민 대표는 “한국 화장품기업이 중국 시장에서 가시적이고 효율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선 NMPA 허가·등록 절차와 내용을 숙지해야 한다”라며 “악마는디테일에 있다는 격언처럼 세세한 부분에서의 준비와 대응이 중국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손 대표가 강조한 ‘디테일’은 중국 법규와 시장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는 속내가 담겨 있다. 메이콴시(沒关系)란 ‘괜찮아, 문제없어’, 차부둬(差不多)란 ‘별 차이 없어’라는 뜻. 예전에 중국인들이 흔히 쓰던 말이지만 이제 그들은 아예 입에 담지 않는 단어다. 대충해서는 자칫 중국 규제에 마케팅은커녕 출시조차 못 할 수 있다는 경고다. 최근 업계 이슈 중 하나가 화장품원료등록 플랫폼이다. 손 대표는 원료 코드 등록시 주의사항을 4가지로 정리했다. 기허가 원료(ECI) 코드(보존제, 자외선차단제, 착색
중국 화장품시장이 수상하다. 화장품 관련 법규 시행 이후 허가·등록 기업 수가 급감해 향후 시장 변화에 비상한 관심이 쏠린다. 벌써부터 제조사 20% 퇴출, 신제품 50% 감소 등의 예상이 나온다. 지금까지 중국의 화장품법인 ‘화장품감독관리조례’가 시행된 이후 50개의 추가 규정(규범·공고·방법·지침·통지·답변 등)이 잇달아 발표됐다.(대한화장품협회 발간, ‘중국 화장품 관련 법규집’) 오는 2024년 5월 1일 ‘제품 안전성 평가자료 전체 버전 제출’을 끝으로 新화장품법 체계에 따른 새로운 화장품시장이 열리게 된다. 중국 NMPA의 플랫폼(‘21년 5월 1일 오픈)에 등록한 화장품 허가·등록인, 즉 중국 내 경내책임자 및 제조회사는 2021년 말 1만 5천여 명이라는 중국 매체 보도가 나왔다. 이는 플랫폼 오픈 이전 2021년 1월의 5400여 개의 제조사, 8만 7천여 개의 허가·등록인에 비해 7만여 개나 감소한 수치다.(이 기간 등록 및 출원 제품 수 160여 만개.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은 2021년 5월 1일 이전 등록 출원 제품 수는 220만개이며, ’좀비‘ 제품이 60여 만개가 줄었다고 밝혔다.) 중국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은 화장품허가등록관리방법(
중국의 화장품허가등록관리방법(化妆品注册备案管理办法)이 2021년 5월 1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기존 허가·등록제품은 당장 5월 1일 이전, 즉 4월 30일까지 플랫폼에 분류 코드를 보완해야 한다. 이에 대해 중국 약품감독관리국은 “2014년 6월 30일부터 국산 비특수용도화장품 온라인 등록을 실시한 이래 220만건의 제품정보가 등록됐다. 일부 제품은 생산되지 않는데도 제품 정보가 여전히 등록 플랫폼에 남아 있고 축적되어 ‘좀비’제품이 되고 있어 감독관리업무와 정보 조회에 불편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일반화장품의 등록인은 매년 등록 관리를 담당하는 약품감독관리부문에 생산, 수입 상황을 보고해야 한다. 또한 2022년 1월 1일부터 원래의 허가, 등록 플랫폼 및 신규 허가, 등록 플랫폼을 통하여 일괄적으로 연간 보고제도를 실시해야 한다”고 관련 규정을 소개했다. 인증대행전문기업 북경매리스그룹 코리아 김선화 과장은 “구 플랫폼에서 이미 허가, 등록을 받은 제품을 계속 생산, 판매하려면 정보를 보완해야 한다. 신규 플랫폼에 보완자료를 제출하는 것은 모두 기업이 기존에 비치해야 하는 자료로 추가 요구사항은 없다”고 설명했다. 보완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제품은
지난 18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1분기 화장품 소매판매액이 949억위안으로 1.8%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을 제외하곤 최근 5년간 1분기 실적 중 사상 최저치 증가율이다. 특히 3월부터 상하이 봉쇄가 한 달여 계속되면서 생산 중단 및 물류 폐쇄를 시행함에 따라 전국의 유명 화장품 브랜드와 공장이 모인 장강 삼각주가 마비에 가까운 충격을 받았다. 특히 물류 폐쇄로 인해 배송이 늦어지면서 전자상거래가 큰 타격을 입었다는 소식이다. 뷰티 브랜드의 경우 대부분 온라인을 메인 채널로 사용하며 많은 뷰티 브랜드의 온라인 매출이 80% 이상을 차지하는데 “경제 생명선을 끊는 것 같다”라며 현지 매체는 전하고 있다. 또한 “상하이에 현지 진출한 로레알, 시세이도, 코스맥스, 아모레퍼시픽, 상하이자화, 샹메이(上美) 등 현지 진출 브랜드가 생산 중단 영향을 받고 있다. 일부 화장품이 환적되거나 물류 이유로 임시 체류가 길어지는 등 압박을 받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화장품 주요 생산지인 광둥성의 선전과 광저우 등도 오미크론 감염자가 확인되며 도시가 통제되면서 소비가 위축됐다. 중국 내 1위, GDP규모로 세계 7위 이탈리아와 맞먹는 광동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