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제5회 중국 하이커우시 국제 소비재 전시회(이하 2025 CICPE)'가 4월 13일 개막, 18일까지 총 6일간 진행될 예정이다. 이 전시회는 중국 광저우 캔톤페어, 베이징 서비스 박람회, 상하이 수입박람회와 더불어 중국 4대 전시회 중 하나. 현지 면세점 대상 신제품 소싱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플랫폼으로 국제소비재전시회를 2020년도 신규로 개최하였으며 이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소비재 전시회로 성장했다. 중국 정부는 하이난성 국제자유무역특구 조성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이도면세제도를 시행 중이다. 소비재 전시회장은 △ 1호관 과학기술관 △ 2호관은 금·은·보석쥬얼리관 △ 3호관 식음료관 △ 4호관 국제관 △ 5호관 국제명품관 △ 6~8호관 중국 지역 건설 및 무기관, 지방브랜드상품관, 대기업관 등으로 총 8개관으로 구성됐다. 이중 4호관인 국제관에 국제 브랜드관과 함께 한국관이 자리잡았다. 한국관에는 KOTRA 해외전시 단체참가 공동수행기관인 사단법인 한국뷰티산업무역협회(KOBITA)와 코트라 본사 및 광저우무역관에서 선정된 총 15개 기업과 KOTRA 광저우무역관에서 선정한 특별 소비재 30개 기업으로 쇼케이스를 구성했다. 협업 기관으로
2025년 5월 1일부터 중국의 화장품 안전성 평가 완전판 제출이 본격 시행된다. 이에 따라 중국 수입화장품 1위 탈환을 위해 리턴 차이나(Return China)를 겨냥한 기업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오늘(4월 8일) 열린 대한화장품협회 주최 ‘중국 완전판 안전성 평가 보고서 작성 및 기업사전 준비사항 웨비나’는 제조·브랜드·유통사 등 사전등록 200여 곳이 참가, 최종 체크리스트를 확인하는 자리였다. 이날 강의는 중국 인증전문기업 마리스그룹코리아(Maris Group Korea)의 Laric. Liu(刘雅丽) 화장품허가등록, 법규 총괄팀장이 맡았다. 강의 내용은 지난 3월 28일 NMPA 및 중검원(中检院, NIFDC)이 발표한 31개의 조례·방법·규정·원칙·지침 등의 최종 리허설을 해설했다고 한다. 지난 1년여 전 세계 화장품기업의 각종 질의를 포함한 최신 정보다. 리우 총괄팀장은 중국 화장품 법규 변화 및 발전 동향에 대해 “▲ 분류가 세분화, 명확해지고 감독과 주체 책임이 분명 ▲ 제품 전 생애주기 동안 안정성 강화 ▲ EU, 미국의 위험관리 모델 참고한 국제 기준 접목 ▲ 중국의 문화적 특성 반영 및 국제 표준과의 조화 등”이라고 정리했다.
이젠 디테일의 경쟁이 시작됐다. 5월 1일부터 전면 시행되는 중국 안전성평가 최종 버전 작성 이야기다. 기업 자율로 안전성 책임을 위임하는 유럽 CPNP나 미국 MoCRA와 달리 중국 NMPA는 과학적 증명을 반드시 요구하고 보관 또는 제출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료+제조+브랜드사의 노하우 민감성으로 평가자료 작성에 긴장감이 높을 수밖에 없다. 이런 시점에 맞춰 대한화장품협회는 오는 4월 8일(화) 13~16시 ‘중국 완전판 안전성 평가 보고서’ 작성 및 기업 사전 준비사항 웨비나‘를 개최한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실시간 영상 송출로 중국어-한국어 동시 통역으로 진행한다. 강의는 중국 인증전문기업 매리스그룹코리아(Maris Group Korea)의 Laric. Liu(刘雅丽) 화장품허가등록, 법규 총괄팀장이 맡는다. 그는 NMPA 및 중국식품약품검정연구원, 위생감독학회 등 고급과정을 이수한 중국 내 손꼽히는 전문가다. 2012~19 화장품 및 의약품 연구, 원료 분석, 성분단상자 제조공정 심사, 화장품 법규 및 규정 전문가로 활약했다. 이번 강의에서는 기업들이 실무로 부딪히는 다양한 법규의 현장 적용 문제를 집중해 설명한다는 소식이다. 매리스그룹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