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탈뷰티 앤 라이프 그룹 본에스티스(VONESTIS)가 롯데백화점, 갤러리아, AK백화점을 통해 오프라인 접점을 넓힌다. 35년간의 헤리티지를 담은 하이엔드 코스메틱 브랜드 ‘파이테라피(piTherapy)’,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파이코어(piCore)’ ‘파이헤리티지(piHeritage)’까지 총 3개의 자사 브랜드를 한번에 만나볼 수 있는 오프라인 공간으로 꾸몄다. 이번 입점을 통해 ‘본에스티스뷰티 앤 스파’ 프로그램에서 직접 사용하고 있는 파이테라피의‘레저렉션’ 라인과 메이크업 제품, 파이코어의 새로운 얼리-안티에이징케어 라인 ‘스네일퍼펙션’을 포함한 총 25종의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 본에스티스의 창업자인 한도숙 대표는 “전국 백화점 매장 확대 입점을 통해 한정된 고객들에게만 운영되던 본에스티스의 오더 메이드제품들을 직접 체험해보고 싶은 소비자들을 위해 오프라인 매장 확대를 결정했다.”라며, “이번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좀 더 많은 소비자들이 제품을 직접 경험하며 본에스티스가 전하는 아름다움의 가치와 진가를 알아가기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본에스티스는 자사 브랜드 제품들을 ODM이 아닌, 직접 생산할 수 있도록 자체 공장 및 생산 라인까지 갖추고
토니모리가 다이소 전용 브랜드 ‘본셉’을 4월 26일 론칭한다. 레티놀 라인 6종을 출시하고 5월엔 색조라인을 내놓는다. 브랜드명인 본셉(Boncept, BEAUTY+CONCEPT)은 본연의 내 모습을 더 아름답게 가꾸어주며 ‘나만의 뷰티 콘셉’을 만들어 준다는 의미라고 한다. 론칭과 동시에 피부 탄력과 모공케어의 고가, 고효능 레티놀을 함유하면서도 1천~5천원 대 가격으로 승부를 건다는 전략이다. 나노 리포좀 공법의 안정화된 ‘독일산 순수 비타민A 레티놀’은 캡슐 상태로 피부침투력을 향상시키며, 피부 자극을 최소화한다. 이어 △ 레티놀 2500IU 링클샷 퍼펙터-주름개선 기능성 인증을 받은 고기능성 안티에이징 크림 △ 레티놀 500IU 세럼-고농축 제형의 피부 케어 △ 레티놀 토너-앰플 타입의 보습 토너 △ 레티놀 500IU 크림-영양 보습 크림 △ 레티놀 아이크림-눈가 케어 △ 레티놀 세럼 마스크-피부 탄력 리프팅 효과 등으로 제품 간 시너지를 볼 수 있다고 소개했다. 본셉 개발담당자는 “토니모리만의 기술력과 노하우가 함축적으로 담긴 ‘본셉’은 가성비와 효능을 모두 잡은 브랜드다”라며, “다가오는 5월에는 무더워지는 계절에 활용하기 좋은 강력한 워터프루프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연작(YUNJAC, 然作)이 25일 5년 간 준비해 온 고가 스킨케어 라인 ‘알파낙스(ALPHANAX)’를 론칭하며 럭셔리 화장품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시장 양극화로 럭셔리 스킨케어 수요를 겨냥해 기존 제품보다 약 2배 이상 높은 가격대로 VIP 및 2040 영리치 고객을 정조준한다는 전략이다. 이는 럭셔리 시장이 연평균 8.6% 성장 전망에 따른 선제적 대응이라는 설명이다. (2032년 시장 규모는 4.9억 달러(약 6884억원, 비즈니스리서치인사이트 조사) 알파낙스는 개인별 맞춤형 피부 진단과 상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백화점 오프라인 매장 단독 상품으로 출시된다. 알파낙스는 알파인(Alpine: 높은 산)과 알파(Alpha: 뛰어남), 파낙스(Panax: 불로초)의 합성어.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강인한 생명력의 원료로 만든 포뮬라를 상징한다. 알파낙스 라인에는 핵심 성분인 알파낙스™ 콤플렉스(Alphanax™ Complex)가 함유되어 있다. 극한지대에서 자라는 세 가지 식물인 흑효삼, 송라, 천산설연을 최적의 조합으로 배합해 항노화에 효과적인 특허 성분을 완성했다는 설명이다. 알파낙스™ 콤플렉스에는 구증구포(9번
(사)대한화장품학회(회장 박영호는 5월 10일(금) The-K Hoteal 컨벤션센터 2F 그랜드볼룸에서 2024년도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춘계학술대회는 오전에 초청강연 세션에 이어 오후에는 4개 분과(소재·평가·제형·피부) 별 주제 발표 및 우수 포스터, 선진창의혁신상 등 시상식이 진행될 예정이다. 초청연사로는 △ 화장품 원료 및 효능의 실시간 시공간 다변량 정량평가를 위한 형광 분자인식 센서 기술 (성균관대학교, 조수연 교수) △ 메이크업 제품 개발을 위한 트렌드 컬러 센싱 (한국콜마 CX Studio, 최원정 센터장) △ 대규모 이미지 데이터 기반 입술 노화 특성 연구 (LG생활건강, 김윤관 수석연구원) △ AI 기반 뷰티테크 기술 동향 및 사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문섭 책임연구원) 등 화장품 분야의 DX 동향이 발표된다. 이번 춘계학술대회에 발표될 논문은 구두발표 16편, 포스터 115편이다. 학회는 연구 의욕을 고취하기 위하여 ▲ 화장품과학기술상 중 2023년도에 대한화장품학회지(국문지)에 게재된 41편 중 3편의 우수논문상을 시상하며 ▲ 춘계학술대회 시 발표되는 포스터 중 심사를 통해 우수 포스터 발표상(후원 ‘선진뷰티사이언스
LG생활건강은 10분기만에 ‘24년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고 25일 공시했다. 1분기 전사 매출액은 2023년 1분기 이후 4분기만에 증가(+2.7%)했고 영업이익도 2021년 3분기 이후 10분기만에 성장(+3.5%)했다고 설명했다. 사업별로 HDB(Home Care & Daily Beauty) 매출은 소폭 감소했으나, Beauty 및 Refreshment(음료) 매출은 모두 증가하며 전사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 특히 Beauty사업은 더후 리뉴얼 제품 출시, 국내 온·오프라인 고성장 영향으로 매출이 늘었고, 중국과 북미 사업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영업이익도 동반 상승했다. 뷰티 사업의 매출 증가는 차세대 안티에이징 성분인 NAD+를 함유한 ‘더후 비첩 자생 에센스 4.0’, 천기단 등 더후 리뉴얼 제품군의 판매 호조라는 분석이다. 채널별 마케팅 활동을 강화함에 따라 △ 온라인, H&B채널 고성장 △ 면세 소폭 감소 등의 양상을 보였다. 중국 사업은 온라인 매출이 한 자릿수 성장했으며 ‘더후’는 두 자릿수 성장으로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됐다. 신제품으로는 △ 더후 비첩 자생 에센스 4.0 △ 빌리프의 효능과 성분
마케팅은 어렵다. 과잉시대이다 보니 “소비자의 95%는 자기 의지로 물건을 사지 않는다”고 한다. (Duck Tape Marketing, 존 잰스) 하물며 외국의 이름 없는 중소 브랜드가 북미를 두드리면 당연히 벽에 부닥칠 일뿐이 없다. 그래서 “구조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북미 컨설턴트 ALC21 알렌 정 대표는 말한다. 셀러(seller)인 브랜드사라면 북미 바이어(buyer)의 마인드를 읽을 줄 알아야 한다는 게다. 소비자를 알고, 바이어의 마음을 훔칠 수 있어야 한다. 이른바 초크 포인트(choke point)를 공략할 수 있어야 한다. 22일 열린 씨앤씨뉴스와 ALC21이 주최한 ‘북미 현지화 마케팅 및 글로벌 유통 세미나’에는 ‘정확한’ 마케팅을 원하는 10개사만 초대돼, ‘진솔한’ 대화를 나눴다. 기업들의 어려움은 북미 시장의 낯섦과 ‘메이저’라는 무게감이다. ALC21 알렌 정 대표는 “소비재 중에서 뷰티 아이템은 마진이 크다. 바이어들이 취급하고 싶어 하는 상품이다. 또 메이저에서 통하면 글로벌 어느 곳에서라도 판매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시장의 성격에 대해 그는 “한국에서 마케팅 목표가 매출 성적서라면 북미에선 고객 이해에 중점을 둬야
Korea Pack & ICPI Week 2024 전시회가 4월 23~26일까지 4일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가공 및 패키징 전시회인 Korea Pack과 제약·화장품·화학 및 물류유통에 관한 전시회인 ICPI Week가 2년 만에 통합해 개막했다. 전시회는 원료 및 소재 → 제품개발 및 투자 → 연구·실험(R&D) → 제조·공정 및 포장 → 물류·유통까지 해당산업 전주기의 Supply Chain을 담는 8개의 전시회로 구성되어 해당 산업계의 최신 기술과 미래 트렌드를 한자리에서 조망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킨텍스 1전시장과 2전시장의 모든 전시홀을 활용하여 국내 최대 규모로 막을 올렸다. 킨텍스 2전시장(7~8홀)에는 국제화장품원료·기술전(CI Korea), 국제의약품‧바이오산업전(Korea Pharm & Bio), 국제연구·실험 및 첨단분석장비전(Korea Lab)에 총 400개사, 950개 부스가 출품됐다. 주요 전시품목으로는 ▲ 화장품원료 및 소재, 분석 및 컨설팅 ▲ 원료의약품, 바이오신약 스타트업 및 수탁서비스, 신기술, 분석, 단체 ▲ 실험실 기초, 실험실안전, 측정 및 분석장비, 바이오·생명·제약·식품연
22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K-뷰티 테크 5개사의 피칭이 진행됐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과 KOTRA가 공동 진행한 이번 행사는 ‘스마트 뷰티 테크’ 산업의 투자를 유도하는 첫 행사로 주목된다. 미국 통계전문기관 Statista에 따르면 2026년 미국 뷰티테크 시장 규모는 34억달러로 예측됐다. 2021년 13억달러의 2. 5배로 미국은 뷰티테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나라이다. ‘K-Lifestyle in North America’로 명명한 프로그램으로 △ 한국화장품 판촉 이벤트, △K-Beauty Tech 피칭 행사 등이 진행됐다. 이벤트는 20일 미국 서부지역 문화축제(Northern California Cherry Blossom Festival)에서 열렸으며, 미국 소비자를 직접 만나는 오프라인 매장 입점 지원은 연중 계속될 예정이다. 축제는 샌프란시스코 상업 중심지 Japan Town을 중심으로 개최되는 미 서부 지역 대형 축제로 매년 22만여 명 방문한다. 이어 22일 열린 피칭 행사에는 프링커코리아,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위드닉스, 디피캄, 컬러버랩 등 신소재, IT기술, 빅데이터 등 뷰티와 기술을 접목한 국내기업들이 참가하였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이 ‘예쁜 쓰레기’라는 불리는 폐화장품의 오명을 씻어주는 첫 사업을 시작해, 업계의 관심과 찬사를 받고 있다. 지난 2월 공언한 바와 같이 아모레퍼시픽그룹은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와 함께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화장품 유리병 회수를 위한 시범사업을 본격 시행한다. 이번 사업은 지난 2월 15일 체결한 ‘화장품 유리병 회수·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먼저 경기도 오산시 아파트 단지 두 군데와 충남 천안시 아파트 단지 세 군데가 시범사업에 참여했다. 시범사업에 참여한 아파트 단지에는 화장품 유리병 수거함이 설치되었으며, 분리배출된 화장품 유리병은 오산물류센터에서 1차 선별을 거쳐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 유리병 재활용 회원사로 반입 후 선별과 파쇄 등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 아모레퍼시픽그룹 1차 용기 협력사인 베르상스퍼시픽의 재활용 원료에 포함되어 다시 화장품 용기가 된다. 베르상스퍼시픽은 지난 3월 유럽 유리용기 협회(FEVE, The European container class federation) 기준에 따라 화장품 용기 10% 재활용 유리 원료 사용에 대한 제3자 검증을 완료한 협력사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이번 아
요즘 정부 부처마다 ‘화장품’이 인기다. 1분기 화장품 수출이 21.7% 증가하자 반도체 빼고 그닥 내세울 게 없는 사정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것. 마침 화장품 업계가 ‘제조업자 표기 삭제’ 등 애로사항을 정확히 전달해야 할 시점이자 호기임은 자명해 보인다. 이를 반영하듯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등 수출현장지원단이 아모레퍼시픽 본사를 방문하여 K-뷰티 수출 현황을 점검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아쉽게도 기자들은 참석하지 못한 관계로 세부 내용을 알기 어렵다. 보도자료를 통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수출 7천억 불 달성과 수출 플러스 기조 확대의 일환으로, 최근 한류 확산으로 각광받고 있는 프리미엄 소비재의 대표 주자인 K-뷰티 산업이 미주, 중동, 아세안 등 신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➊ 온라인 유통 플랫폼 입점을 지원하고, 유수의 뷰티 해외 전시회 참가, 수출상담회 및 무역사절단 지원, 한류를 연계한 마케팅을 통해서 프리미엄 소비재 기업들의 글로벌화 적극 지원 ➋ 올해 K-뷰티 분야에 1조 원이상의 무역보험을 공급하고 중견‧중소기업 대상 수출보험도 확대 ➌ 해외 소비재 거점무역관
중국 NMPA는 4월 22일 화장품 안전성 평가 시스템에 따른 풀버전 제출을 2025년 5월 1일로 1년 연기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날 NMPA는 ‘화장품 안전성 평가 관리 최적화를 위한 조치 발표’ (国家药监局关于发布优化化妆品安全评估管理若干措施的公告)에서 ➊ 화장품 안전성 평가 보고서를 기업이 참조할 수 있도록 보관 ➋ R&D에 일정기간 소요 및 자원에 대한 중복투자를 피하기 위해 간소화 버전 제출을 명기했다. 이에 대해 매리스그룹코리아(Marisgroup Korea) 김선화 차장은 “NMPA는 전체 버전 제출을 위한 전환기간 도입을 검토했으며, 중국 매체 보도에 6개월이 아닌 1년으로 연장했다”라는 의미이며, “그렇다고 기한 연장에 의미를 두기보다, 더 이상 중국 진출을 늦추면 안된다고 받아들여야 한다. 간소화 버전이 허용될 때 진입해야 차후 무역장벽(TBT)으로 작용될 때보다 유리하다”고 풀이했다. 그동안 NMPA의 풀버전 제출이 2024년 5월 1일로 코앞에 닥치면서, 중국 NMPA 공식 신문인 중국약품보는 “NMPA가 광범위한 사전 조사를 거쳐 화장품 안전성 평가 관리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연구하고 수립하고 있다”라고 보도했었다. 또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플라스틱 쓰레기 및 재활용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 오염 방지 및 패키징 생산자 책임법’(SB 54)의 세부 규정 초안을 발표했다. SB 54는 “2032년까지 캘리포니아주에서 생산 및 사용되는 모든 일회용 패키징 및 식기류를 재활용 혹은 퇴비화 가능하도록 의무화”를 규정하고 있다. 지난 2022년 6월 SB 54을 입법 후 2년간 현황 분석 및 준비단계를 거쳐 캘리포니아 자원 재활용 및 복구국(CalRecycle)이 지난 3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가장 큰 특징은 재활용 처리·수집 및 분류 시설을 포함해 재활용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비용을 지역사회의 재활용 업계나 납세자가 아닌 플라스틱 패키징 생산 업계가 부담토록 한 점이다. 이들 생산자는 2027년부터 10년에 걸쳐 50억 달러(매년 5억 달러씩)를 모금해야 한다. ‘생산자(Producers)’에는 ▲ 일회용 패키징과 플라스틱 식품 서비스 용품(식기류)을 ‘생산(Create)’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 일회용 패키징 및 플라스틱 식기류에 자신들의 제품을 ‘포장(Package)’하는 기업도 포함된다. 이 법의 또 다른 특징은 패키징 생산 업계의 기업들에 2032년
국가기술표준원은 18일 ‘제8차 한-중 FTA TBT위원회’를 통해 화장품 관련 이슈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화상회의로 개최된 양국 현안은 ① 고려홍삼수입약재표준 개정(안) 협의, ② 화장품 안전성 보고서 간소화 버전 수용 기간 연장, ③ 화장품 등록 시 중국 외 시험기관의 성적서 인정, ④ 국제기구 공인 동물대체시험법 수용, ⑤ 의료기기 허가 시 국제공인시험기관 성적서 인정, ⑥수입식품의 신고제 적용 대상 확대 등이다. 화장품 업계가 주목하는 내용은 화장품 안전성 보고서의 ‘자료 제출’ 요구다. 1유형 화장품(기능성화장품)의 경우 안전성 보고서 풀버전 제출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를 유럽, 미국처럼 ‘보유’로 변경되길 원하고 있다. 또한 중국 내 시험기관의 성적서 제출을 한국 또는 국제적 인정을 받는 자료의 인정은 반드시 관철되어야 할 문제다. 그렇지 않으면 수천만~억대에 달하는 임상비로 인해 중국 진출을 꾀하기 어렵다는 게 업계 의견이다. 사실 중국도 화장품 성분의 안전성 자료 등을 선진국 학술 연구를 이용해야 할 상황인데다, 한·중·일 3국의 경우 식물성추출물의 안전성 학술 연구도 미미해 실제 NMPA 제출이 쉽지 않다. 중국 임상기관 조차 안전성 연구성과
한국의 2대 소비재 수출품목은 자동차와 화장품이다. 특히 화장품은 수출경기와 무관하게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무역흑자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무역통상연구원(IIT)은 “전세계 화장품 시장이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신흥시장 공략과 함께 점유율 확대가 화장품 수출과제”라고 진단하고 있다. 신 유망시장으로 인도, 튀르키예, 멕시코, 태국 등 4개국을 선정, 진출 전략을 소개했다. 먼저 소비재 수출품목 중 화장품(8.2%)은 자동차(59%)에 이어 2위였으며, 가전(6.6%)을 앞섰다. 전체 수출기업 가운데 화장품 기업은 7위(8285개사)로 3.4%를 차지했다. 또 전체 소비재 수지는 마이너스였으나 화장품은 68억달러 흑자였다. 그만큼 국부 창출 기여도가 높다. 특히 화장품은 중소기업 수출품목 1위로, 대기업보다 중소 브랜드사가 수출을 주도하며 전체 수출액의 64%(‘23)를 차지했다. 3대 수출국 가운데 중국은 감소, 미국+일본은 두 자릿수 증가 추세다. 이에 따라 IIT는 △ 수입수요 △ 한국 관심도 △ 시장잠재력을 고려하여 ➊ 인도 ➋ 튀르키예 ➌ 멕시코 ➍ 태국을 4대 시장으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유망국가는 ▲ 수입액을 기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은 부산광역시와 협력하여 제3차 화장품 안전성 평가 실무 교육을 5월 17일 BEXCO 제1전시장 2홀 내 세미나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화장품 안전성 평가 실무교육은 부울경 지방 소재의 화장품 기업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충청북도 오송과 경기도 수원 개최에 이어 교육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내용은 △국내 안전성 평가 제도 도입 및 국가별 규제 현황 △ 차세대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전략 소개 △화장품 원료 및 제품의 노출평가 및 안전성 평가 △화장품 성분 안전성 검토 시스템 활용법 △중국 화장품 규제 동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장품 안전성 평가 교육은 물론 2028년 도입 예정인 국내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이 준비해야 할 사항도 소개되며, 특히 중국 규제 동향을 상세히 다룰 예정이다. 연구원 관계자는“더 많은 기업에게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5월 16일~18일 2024 글로벌 헬스케어위크 기간에 BEXCO에서 개최한다. 교육 수강과 함께 박람회 참여를 통해 다양한 뷰티 브랜드들의 최신 트렌드와 뷰티 정보를 얻어 갈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니 경상권 화장품 기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