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언택트 소비 맞춘 온라인 마케팅 지원

중국, 온라인 한국상품전, K-소비재대전 등 개최로 코리아 붐 조성
북미, 중국 신뢰도 하락 틈새진출 기회 발굴

최근 코트라는 ‘코로나19가 바꾸는 세계시장, 주요지역별 시장진출전략’ 보고서를 내고, 대응방안을 제안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별 소비시장 트렌드와 향후 전망을 살펴보고, 코트라의 향후 계획을 정리 소개한다.



북미시장


북미의 소비시장 트렌드는 ▲소비진작 유도를 위한 재난지원금 지급으로 소비 상승세 ▲오프라인 영업중단으로 온라인 매출 급증, 온라인 구매에 익숙해지는 소비자 ▲언택트 소비 활성화로 소비습관의 변화 또는 오프라인 소비에 대한 그리워 할 것인가 등으로 요약된다.


소비자 경기 전망도 온라인 선호도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며, 대형유통망 중저가 PL제품 구매율 증가 등의 변화가 엿보인다. 이에 따른 소비시장 동향을 보면 △원격진료 인지도 상승 △온라인 동영상 관람 80% 증가 △페이스북, 구글 등 광고 수입 급락 △뷰티크 스튜디오, 온라인 피트니스 등의 수요 급증 등이다. 유통업계는 대형 슈퍼마켓 매출 증가에 비해 쇼핑몰, 백화점, 중소 소매점 매출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 북미본부 관계자는 “아마존 등 온라인 입점 지원체계 강화, 미국 소비자의 대중 신뢰도 하락을 활용, 우리 기업의 틈새시장 진출 기회 발굴 및 마케팅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중국


중국 소비는 1분기 이어 4월에도 마이너스로 부진했다. 급속한 보복성 소비 기대와 달리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는데, 2020년 소비증가율은 예년의 3분의 1 수준인 3% 증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다.


도소매는 3월 이후 호전되고 있으나 생필품과 달리 선택적 소비재는 상당기간 부진이 우려된다. 소비영역이 더 많이 온라인화 된다면 추가 상승 기대도 있다. 포스트 코로나 유망분야는 홈[H(헬스케어)·O(온라인)·M(무인화, manless)·E(홈코노미)]이 꼽힌다.


코트라 중국본부는 중국정부의 소비진작책을 활용해 코리아 붐을 조성할 것을 제안한다. 즉 ▲온라인 한국상품전-소비재 빅5, 전시+화상상담+후속마케팅 ▲K-소비재대전-하반기 중국 대표 오프라인 소비재 전시회 ▲미니 한류박람회-한국 브랜드 활용, 한류문화상품 판촉전 개최 ▲공관과 중 지방정부 협력하에 미개척, 내륙시장에 한류 붐 조성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유럽


유럽은 코로나19로 인한 락다운 조치를 서서히 풀면서 경제위기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이 가운데 유럽 수출 유망품목 키워드는 SAFE[개인 안전 제품(safe)+홈코노미 제품(at home)+식품류, 주방제품(foods)+IT,전자제품(디지털화 가속)]다. 홈코노미 제품 중 홈뷰티케어 제품(미용기기, 마사지기기, 셀프네일케어 등)이 유망하다.


코트라 유럽본부는 ①수요 급증 품목 타겟 마케팅 강화(정부 조달 마케팅, 인플루언서 활용 국산소비재의 온라인 수출 확대, 언택트 및 디지털 기술 관련 온라인 로드쇼 개최 ②글로벌공급망관리(GVC) 재편에 따른 EU내 생산기지 진출 지원, 생산설비 수출확대 추진, 공급처 다변화를 위한 신규 협력수요 대응 등에 적극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CIS


러시아의 코로나 시기에 수요가 2배 이상 증가한 품목은 위생용품(2만%), 헤어 액세서리(617%), 탁구(254%), VR기기(211%), 트레이닝 운동기구(173%), 사무용품(171%), 책(166%) 순이다. 특히 러시아인들은 비대면 활동 하에 개인 스포츠, 정원 관련 품목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다.


향후 포스트 코로나 유망분야는 ▲보건의료분야(9월까지 인공호흡기, 마슼, 방호복 등 외국산 응급 의료용품에 관한 관세 부과 완화)→제품 인증 및 등록 간소화 가능성 대비 보건부 등 기관 네트워크 에이전트 발굴 중요 ▲자동차 산업→러시아 내 완성차 제조사의 밸류체인 구축 시 수요 부품 및 설비 공급 진출 ▲제조업 기술협력→러시아 산업육성 지원기관인 산업개발펀드(IDF) 등 현지기관과 협업, 파트너 발굴 매칭 활용 ▲농식품→온실기자재, 스마트팜 기술 및 노하우 수출 검토 중요 등이라고 CIS본부는 분석했다.


코트라 러시아본부는 오는 10월 19~21일 모스크바에서 한-러 수교30주년 기념 모스크바 한국우수상품전을 개최해 러시아의 소비진작책 활용한 코리아 붐 조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별 소비 트렌드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홈코노미'다. 이에 따라 화장품기업들도 진출 국가별로 현지 소비자의 언택트 소비습관에 맞춤형 온라인시장 진출 전략을 새롭게 구축할 필요가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