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일본 화장품 트렌드 ‘가성비’ 확산

2018년 글로벌코스메틱포커스 일본편 발간, 일본 현지 젊은 세대 가성비 뜻하는 ‘쁘띠프라’ 용어 등장
보여주기식 쇼핑 성향 공략 위한 독특‧예쁜 디자인 개발 중요 강조

일본 밀레니엄 세대를 중심으로 ‘쁘띠프라(가성비 높은 제품)’ 용어를 사용하면서 품질뿐만 아니라 가격 합리성까지 따지는 새로운 화장품 소비 성향 등장을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이 발간한 2018년 글로벌코스메틱포커스 제1호(일본편)에서 자세히 다뤘다.



제1호 일본편은 일본 젊은 층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화장품 소비 패턴을 주의 깊게 다뤘다. 소비 집단은 단순히 쇼핑을 즐기기만 하는 것이 아니고 가격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최근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쁘띠프라(Petit price: 가성비 높은 제품)’의 용어가 등장한 것. 성능뿐만이 아닌 가격 합리성도 따지는 성향이 특징이다.

일본 뷰티 블로거 ‘후나야마 아오이’는 일본 시장 진출 전략에 대해 “젊은 세대의 인터넷 이용행태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들은 기본적으로 검색과 뉴스, 쇼핑과 SNS 등 대부분의 일상을 모바일로 해결한다”며 “보여주기식 쇼핑 성향을 감안할 때 독특하고 예쁜 디자인 개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최근 대일본 수출의 높은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10대를 중심으로 한류 열풍이 재점화 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시장 확대에 유리한 환경”이라고 평가했다. 또 “온라인 마케팅에 능한 우리 기업들이 온라인 채널 및 SNS 마케팅 등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일본편에는 엘엔피코스메틱과 엔앤비랩의 성공사례를 소개했다. L&P코스메틱은 단기적 성과를 위해 무리한 광고나 홍보 대신 현지 전문가 채용과 일본 전용디자인 개발의 장기적 관점의 시장 접근이 성공 요인이었다. 또 N&B랩은 독창적 제품 개발, 발빠른 바이어 응대, 전문성 존중을 십분 활용해 일본 시장을 개척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외에도 인기 스킨케어‧메이크업 제품 분석, 일본 시장 진출 사례, 현지 마케팅 사례 등이 소개됐다.

한편 올해 3월부터 매월 제공하는 2018년 글로벌코스메틱포커스의 제2호는 태국‧베트남편이 4월에 발행될 예정이다. 

현재 연구원은 현지 유통제품 중 인기제품의 성공 요인 분석을 강화하고 현지 마케팅 사례 등을 신설했다. 또 시장 성장 가능성을 고려해 조사 국가를 일부 조정(인도네시아, 필리핀, 스페인, 콜롬비아 → 싱가포르, 미국,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했다. 작년까지 보고서에서 제공된 수출입 통계와 정책 등에 대한 정보는 사업내용이 유사한 ‘온라인 수출가이드북’으로 이관된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