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경제학상에 행동경제학 권위자인 리처드 세일러 미국 시카고대 교수가 받으면서 ‘넛지 마케팅’이 화장품 업계에서 화제다. '넛지(nudge)'는 우리나라에서도 40만부나 팔린 베스트셀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에 남자 소변기 중앙에 파리 그림을 그려놓았더니 변기 밖으로 튀는 소변의 양이 80%나 줄었다. 요즘 화장실에 가면 파리 그림이 그려진 이유다. 의사가 수술로 살아날 확률이 90%라고 할 때와 죽을 확률이 10%라고 말했을 때, 죽을 확률을 말한 경우 대부분의 환자가 수술을 거부한다. 범죄도시로 유명했던 뉴욕시가 할렘가 유리창을 갈아주고 지하철 낙서를 지속적으로 청소하자 범죄율이 크게 감소했다는 등의 정책을 편 것도 넛지 효과를 노린 것이다. 넛지란 ‘(팔꿈치로) 슬쩍 찌르다‘라는 뜻. 세일러 교수는 “사람들은 △바쁘고 △정신없고 △게으르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며 “사람들이 중요한 일을 하게 만들고 싶으면 △마음을 편하게 해주면 되고 이를 위해 △장애물을 제거해줘야 한다”고 설명한다. 넛지 효과를 마케팅에 접목한 게 ‘넛지 마케팅’이다. 기존 마케팅이 상품 특성을 강조해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한다면 넛지 마케팅은 유연하고 부드러운 방
12일 뷰티데이에 화장품 최대 60% 할인행사가 온라인에서 실시된다. 이날 행사에는 신라면세점 등 15개사가 명품화장품, 향수 등을 판매한다. 도한 할인쿠폰 추가발급과 적립금 부여 등의 프로모션도 함께 진행된다. 업체에 따라서는 추가 할인과 덤앤덤(1+1, 사은품) 판매, 무이자 할인기간 확대 등도 추가로 이뤄진다. 또한 국내 배송비도 10% 인하된다. 참여업체는 홈&쇼핑·위메프·신세계몰·롯데닷컴·갤러리아·신라면세점·NS홈쇼핑·11번가·G9·ㅊCJ홈쇼핑·애경몰·옥션·G마켓·현대몰 등이다. 아모레퍼시픽은 이니스프리 전제품 대상 5만원 이상 구매시 20% 할인한다. 에스쁘아는 립스틱 노웨어·글로우라이저·파운데이션 브러쉬·메이크업 툴 33% 할인(2+1)을, 아리따움은 라네즈 슬리핑 라인·베이직 케어 라인·퍼펙트리뉴 라인 전제품을 20% 할인한다. 에뛰드도 마스크 시트 10개 구매 시 10개 증정, 10만원 이상 구매시 10% 할인(외국인 고객 대상) 한다. LG생활건강은 이자녹스/수려한 등 프리미엄 상품 20%, 비욘드 추석특별세트 30%, 보떼 세트상품 최대 30% 할인한다. 더페이스샵은 잉크래스팅 파운데이션 슬림핏, 예화담 환생고 크림 50% 할인한
관세청은 10월 10일 해외 대량구매자 판매 제한을 한시적으로 폐지하는 내용의 중소·중견 면세점 지원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은 △해외 대량 구매자 판매 제한을 2018년 8월 31일까지 폐지 △면세점 영업장소 이전 1회에 한해 신청 허용 등이다. 앞서 김영문 관세청장은 17개 중소·중견 면세점 대표와의 간담회에서 애로사항을 듣고 보완 지시에 따라 오늘(11일)부터 시행된다. 현재 대량 판매 비율은 평균 15% 내외로 이번 조치로 재고부담을 덜고 유동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면세점 영업장소 이전도 광역자치단체 내에서의 신청은 허용된다. 한편 관세청은 3개 업체의 영업개시일 연장을 심의하고 △탑시티면세점·신세계디에프는 2018년 12월 26일까지 △현대백화점면세점은 2019년 1월 26일까지로 연장 허용했다. 또 창원 대동면세점의 특허장소 이전 심의도 진행해 의창구→성산구 이전을 허용했다. 또 관세청은 특허심사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하는 면세점 특허 심사제도 개선안을 확정했다. 앞으로 면세품 관리와 국내 유통 우범구매자에 대한 정보분석을 강화하는 등 보세화물 고나리 사각지대 해소에 힘쓴다는 방침이다.
방판 채널 트렌드를 주도하는 기업은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다. 온라인 구매가 보편화되자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해 아모레퍼시픽은 2015년부터 방문판매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했다. 이를 위해 모바일앱 ‘뷰티Q'를 론칭했다. 뷰티Q는 △미용정보 △사전예약 혜택 △포인트 페이백 등 혜택 정보 제공에 중점을 뒀다. 또 카운셀러 찾기 서비스를 구현해 신규 고객도 방문판매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아모레퍼시픽은 매년 '아모레 카운슬러 대회'를 개최하고 우수카운슬러를 선정·수상하는 등 공로에 대한 보상에도 힘쓰고 있다. 올해는 아모레퍼시픽 경영방침 '처음처럼'을 주제로 정보를 공유하고 우수한 성과를 낸 카운슬러 57명을 시상했다. LG생건은 자사 판매원(카운셀러)을 뷰티 전문가로 만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콘텐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자체개발 모바일 교육시스템 ‘엘-레몬’ 앱을 통해 판매원들이 언제든 교육 콘텐츠를 활용하도록 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방판 사업 특성상 우수 판매원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며 "카운셀러가 고객을 직접 만나 소통하기 때문에 한번 관계를 맺으면 단골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화장품 방판 채널에서 단연 화제를 모
‘후원 방문 판매’란 방문 판매 및 다단계 판매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되 판매원 자신과 직하위 판매원 실적만 수당이 지급되는 판매 형태를 말한다. 후원 방문 판매 업체는 △본사와 대리점이 모두(아모레퍼시픽) △대리점만인 경우(LG생활건강) △본사만인 경우(아이기스화진화장품) 등의 세 형태로 구분된다. 반면 다단계는 판매원 가입이 3단계 이상으로 운영되며, 다른 판매원의 실적에 따른 후원수당이 지급되는 것이다. 공정위에 따르면 2016년 전체 후원 방문 판매 업체의 후원 수당 지급 총액은 8953억원으로 2015년보다 1249억원(16.2%) 증가했다. 후원 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 수는 22.3만명으로 1인당 연간 평균 후원 수당 수령액은 402만원이었다. 2015년 보다 16만원(3.8%) 감소했다. 상위 1% 미만(2200명) 판매원의 후원 수당 총액은 688억원이며, 1인당 평균 수령액은 3092만원이다. 화장품 8개사의 후원수당 수령 판매원은 10만4230명이며 지급총액은 5671억원이었다. 매출액 규모 순 화장품 기업의 후원수당 지급액을 보면 아모레퍼시픽이 3183억원, LG생활건강이 1628억원을 지급했다. 이어서 코리아나화장품(310억원)-제이앤코슈
화장품 기업들의 방판 채널 순위가 요동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전 업계 1, 2위를 차지하면서 방판 채널을 강화한 반면 코리아나화장품·한국화장품은 경쟁에 밀리면서 매출이 감소했다. 또 신생 (주)제이앤코슈가 전체 9위에 오르면서 혜성처럼 등장했다. (주)아이기스화진화장품·(주)마임·(주)케이지씨라이프앤진도 매출이 쪼그라들고 순위도 크게 떨어졌다. 전통의 방판 화장품 기업의 몰락이 예고되는 분위기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의 ‘2016년 후원 방문 판매업자 주요 정보 공개’에 따르면 정보 공개 대상 판매업체 수는 2015년보다 72개 증가한 2777개였다. 매출액은 2015년보다 16% 증가한 3조 3417억원이었다. 후원방문판매 사업자 1, 2위는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었다.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 2개사가 후원 방문 판매업자 전체 매출액의 절반 이상(52%)을 차지했다. 가장 눈에 띄는 기업은 (주)제이앤코슈로 전체 9위를 차지하면서 새롭게 진입했다. 제이앤코슈는 펩타이드 전문 화장품 ‘닥터펩티’로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켰다. 상위 20위권에 랭크된 화장품 기업은 8개사였다. 2015년과 2016년 수치를 항목별로 비교하면 매출액은 13%